행인 현암사 나쓰메 소세키 소설 전집 11
나쓰메 소세키 지음, 송태욱 옮김 / 현암사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믿음'이란 것이 무엇일까.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에서 어쩌면 가장 확신하기 어려운 것이 믿음이 아닐까 생각한다. 믿음이 수반되지 않은 관계는 사랑도 지옥으로 만들어버리고, 믿음의 뒤를 따라오는 의심이라는 것은 사람을 지옥 밑바닥까지 끌어내려 버린다. 행인을 처음 읽었을 때, 이치로의 어리석음에 동조한 다른 '의심하는 자'들을 떠올렸다. 그들이 갈구한 것은 믿음이었으나, 믿음을 갈구하기 위해서 치뤄야만 했던 '의심' 때문에 결국 자신도 관계도 파괴해버린 사람들. 나 역시 의심하는 자였고, 믿을 수 없는 자이기 때문에 "죽거나 미치거나 종교에 입문하"지 못한 채 스스로 만드는 지옥 그 밑바닥을 걸으며 힘겹게 책을 읽었다.

 

 소세키의 작품에는 언제나 가족들이 나온다. 그 중에서 특히 잦은 빈도로 눈에 띄는 것이 형과 형수라는 관계이다. 때로는 나의 결혼문제로, 때로는 빈한한 내가 형편이 나은 형에게 찾아가 손을 벌리려는 때의 중재자로 형수와 마주하여 대화하는 장면들이 종종 나오는데, 이번 책에서는 마치 지금까지 나왔던 관계들이 결국 이 종장에 이르러 터져나오기 위한 요소였던 것처럼 보여진다. '행인'에는 형 이치로와 동생 지로 그리고 형의 아내 나오 세 사람의 '불편한' 관계가 세밀하게 그려져있다. 동생인 지로에게 자신의 아내인 나오의 마음을 떠보길 종용하는 이치로의 모습은 그의 예민한 성격- 신경쇠약으로 이미 의심이 극에 달하였음을 보여준다. 이치로는 자신이 의심이 그저 헛된 의심었다는 확인을 원하기보다는 차라리 그 것이 사실이어서 인정해버리고 더이상 의심하지 않고 싶다는 소망에 가깝게 느껴졌다. 그런 형의 태도가 지로의 마음에도 불편한 걸림돌이 되어 늘 따라다닌다. 그리고 둘의 이해하기 어려운 관계를 바라보면서 독자의 입장 역시 조금 불편해진다.

 

 타인의 마음을 온전히 알거나 가질 수 있을리는 없다. 사랑을 하면서 타인의 모든 것을 손에 쥐어 확신하고 싶다는 마음은 누구나 느껴보았을 안타까움일지도 모르지만, 객관으로 바라본다면 확인할 수 없다하여 아내의 마음을 의심하고, 의심하다 못해 시험해보려는 남편의 태도는 불편을 넘어 경멸스럽기까지 하다. 의심이 시작되면 마음속에 귀신이 생긴다는 성어가 떠오른다. 이치로의 마음에 생긴 의심암귀는 와카야마로 떠났던 지로와 나오 두 사람이 의도치 않은 악천후로 하루를 지체하여 돌아오게 되자 점점 더 그 몸집을 부풀려 그 어떤 해명으로도 해결되지 않는 단단한 확신으로 자리잡는다. 소통은 불가하고 어느 길로도 자신을 선택할 수 없어 결국 어디서부터 길을 잃었을지 갈피조차 잡을 수 없게 된 이치로의 편지가 안타까움을 대신한다.

 

 '행인'을 읽으면서 많이 떠올렸던 것이 '리어왕'이었다. 늙은 왕은 자신의 딸들에게 자신이 가진 권력과 재산을 나누어주려 한다. 자신의 모든 것을 내어주기에 불안했던 왕은 자신을 끝까지 사랑하고 부양할 딸에게 더 큰 재산을 주려한다. 세 딸 중 두 딸은 아비에게 자신들의 애정을 맹세하였으나 막내 코델리아만은 침묵한다. 화가 난 왕은 그녀에게 아무것도 물려주지 않고 내쫓았으나, 오직 입으로만 애정을 맹세한 두 딸들에게 배신당하여 광야를 헤매이게 된다. 이 이야기는 결국에 모든 이가 목숨을 잃는 비극만이 남는다. 생각해보면 피를 이은 가족끼리도 사랑과 믿음을 확신하지 못하는데, 아내를 의심하게 되는 남자의 마음이야 어쩔 수 없는 것 같이 여겨져 이치로를 조금은 이해하게 되기도 한다. 

 

 '의심'이란 것이 어디서부터 오는 것일까 생각해보게 된다. 상대방과의 관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그 사람만의 공간을 이해하고 믿고 놓아주어야 한다. 애초에 타인을 온전히 이해하거나 모든 일을 공유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타인과 나 사이의 겹쳐진 부분만으로는 만족할 수 없고, 닿지 않은 여백이 항상 궁금한 것이 사랑이겠지만, 그 공간을 만족하고 놓아두는 것이 사랑을 대신할 오직 한 가지 믿음이라는 사실을 생각하며 책을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