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암사 나쓰메 소세키 소설 전집 9
나쓰메 소세키 지음, 송태욱 옮김 / 현암사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래 걸렸으나 짧았다. 독자 역시도 책 앞에서 그저 열어달라 문을 두드리는 사람에 지나지 않았다. 두드려도 소용이 없는 일을, 그 안은 스스로 열어 들어가야 하는 것을.

 

 그간에 읽어왔던 전기 3부작의 마지막이었다. 앞의 '산시로'니 '그 후'를 읽으면서는 어떤 '재미'를 느낄 수 있었는데, 점점 비슷한 나이대로 옮겨옴에 따라 단순히 내용을 '재미'로 느낄 수 없게 되었던 걸까. 가장 심각하게 읽게 되었던 것 같다. 어쩌면 좀 부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봤는지도 모르겠다. 도덕과 사랑 중에 후자를 택한 소스케와 오요네를 심정적으로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행복하기 위해 선택한 사랑인 것을, 도덕을 선택했더라도 그들의 음울한 생활이 계속 진행되었을까 의심하게 만든다. 어찌되었든 그들은 그렇게 살 '운명'이 되었겠지만.

 

 처음에 소스케와 오요네가 자신들의 몫으로 챙겼어야 할 유산을 얼렁뚱땅 가로채인 채 궁핍하게 지내게 되었으면서도 답답할 정도로 우유부단한 태도로 그저 어쩔 수 없는 일이지"하고 여기고 말아버리는 태도를 보이는 점이 마음에 들지 않았다. '배짱이 없는 사람'이라고 여겨질 정도로 답답했는데, 순응하는 듯한 모습때문에 더욱 그랬다. 절벽 아래에 볕이 들지 않는 곳에서의 생활처럼, 그들 역시 어딘지 모를 음울함이 묻어나는 생활을 부여잡고 안주하고 있는 이유를- 그런데도 묘하게 그 자체로도 충족되어 있는 듯한 느낌을 이해하기 힘들었다. 마치 범죄를 공모한 범인들 사이의 유대와 의리처럼, 그들은 그 낮게 움츠려들어 있는 삶에서 고여있는 듯이 보였다. 애정어린 눈으로 바라보기 힘든 주요인물들이었다.

 

 그들이 외부의 어떤 것도 연연하지 않고 그저 두사람만의 생활에 만족하게 되기까지, 두 사람에게 어떤 일이, 어떤 전환이 되었을까. 사람의 앞에 새로운 문이 열려 그 이전의 생활과 그 이후의 생활이 전혀 달라지게 될만한 일이 생긴다면 그것은 대체 얼마만큼의 열량을 필요로하는 일인 것일까. 선택 이전의 그들이 그 후의 자신을 알 수 있었다면 과연 선택을 했을까 의문이 들었다. 도덕을 저버리고 선택한 사랑이 원래의 형태와 다른 모습으로 남아 그것을 그저 운명으로 여기고 남은 온기로 서로를 의지하여 생활하고 있는 듯한 두 사람의 모습에, '근래의 근'자를 어떻게 쓰는지 잊은 소스케처럼 자신을 자신답게 만드는 면모조차 희미하게 잊은 것은 아닐까 생각됐다.  

 

 자전적인 요소도 들어갔으며, 소세키 자신의 건강도 좋지 않았던 시기에 쓰여졌던 탓인지 전체적으로 밝은 부분을 찾기는 어려웠다. 그래서 아쉬웠으나, 그래서 좀 더 묘한 느낌으로 상념에 꼬리를 물게 만드는 행간들이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