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서해줘, 레너드 피콕
매튜 퀵 지음, 박산호 옮김 / 박하 / 2014년 8월
평점 :
절판


책의 표지를 바라보며 어떤 내용일지 떠올려봤을때 사실, 음악과 마약이나, 총기 같은 것이 관련된 내용이 아닐까 생각했다. 읽고보니 온통 치열하고 복잡한 그야말로 자신과 싸우느라 지쳐 너무나 작아보이는 한 소년의 이야기였다.

 

 [ "내 삶이 나아질 거라고요? 정말 그렇게 믿으세요?" 나는 선생님이 뭐라고 말할지 알면서도 그렇게 물어봤다. 이런 질문을 받았을 때 대부분의 어른들이 의무적으로 그렇게 해야 하다고 느끼는 그런 대답이 돌아온다. 물론 압도적인 증거들과 그동안 쌓아온 경험으로 미루어 보건대 사람들의 삶이란 죽을 때까지 더 나빠지기만 하지만. 대부분의 어른들은 정말 행복하지 않다. 그게 진실이다. 하지만 실버맨 선생님의 입에서 나오면 덜 거짓말처럼 들릴 거라는 걸 난 알고 있었다. "그럴 수 있어. 네가 기꺼이 그 일을 하려고 들면." "무슨 일이요?"

"세상이 널 망가뜨리게 내버려두지 않는 거지. 그건 매일매일 싸워야 하는 전쟁이야." ]

 

 창밖으로 세 대의 소방차와 두 대의 응급차가 긴급한 경보를 울리며 도로를 헤쳐 달리는 경광등을 바라보았다. 어떤 이에게 벌어지고 있을 불운한 사고를 떠올린다. 방금 손에서 떼어낸 레너드의 이야기가 마음에 남아있는 와중에. 누가 혹은 무엇이 다른 존재를 죽음으로 내모는가 생각해보았다. 증오, 총이나 칼, 분노나 미움 같은 것들도 분명하지만 기댈 길 없는 외로움이나 풀어낼 수 없는 괴로움, 막혀있는 듯한 절망도 안에서 스스로를 좀먹어가는 죽음의 일부같다 생각했다. 레너드의 괴로움들은 너무나 일반적이고 일상적이어서 안쓰러웠다. 상처를 - '그의 것'을 통칭으로 상처라 불러야 하는 것이 유감이지만, - 받은 자가 어디에도 그 아픔을 호소할 수 없는 외로움에 고립되어 있을 때, 치료되거나 한 번도 드러내어진 적 없는 아픔이 어떻게 곪아가는가를 우리에게 적나라히 보여줬다. 끔찍하고 괴로운 일 앞에서 사람을 다시 서게 하는 것은 무엇일까, 전화번호를 건네주는 일이나 어리석은 일이라 한대도 택시비로 이십만원 정도로 써서 함께 돌아갈 여지를 남겨두는 일이 충분히 위로가 될 수 있는 사소함이라니. 막막한 와중에 한켠으로는 안심되도록 따뜻한 기분이 들었다.  

 

 레너드는 분명 복잡하고 또 까다로워서 다루기 힘든 소년이다. 그의 상담 선생이거나 학교의 교감이라면 때로 골치를 앓을 수 있을 만큼. 하지만 한편으로는 정말 많은 것을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또 기꺼이 그것을 웃음으로 만들 줄 아는 매력있는 학생이기도 하다. 그를 학생으로만 본다면. 애셔를 죽이고 자신도 죽을 생각을 하면서도 축하받지 못한 생일에 대한 미련이 뚝뚝 떨어지는 장면들은 그것에 아직도 많은 의미를 두는 레너드의 어린아이다운 점이기도 했다.  

 

 안쓰럽게도 그 아이는 누구에게도 사과를 받지 못한 소년이었다. 그래서일까 우리가 이 소년의 이야기를 하려면 반드시 그에게 사과를 건네야만 하는 작은 장치를 마련해놓은 점이 재치있다고 느껴졌다. 마치 모든 상처받은 사람들에게 우리 모두가 시대적으로, 또한 범인류적인 애도를 가지고 사과해야하는 것처럼. 다행히도 그의 이야기는 너무나 애처로우면서도 눈길을 끄는 상처받은 연약한 존재 특유의 사랑스러움이 느껴지므로, 누군가와 레너드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 싶을 때에 - 그 소년의 이야기를 들어본 적 있느냐고 알려주고 싶을 때에도, 반드시 사과받지 못한 그 소년을 위해 기꺼이 말할 용의가 있다. '용서해줘, 레너드 피콕."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