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소한 풍경
박범신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나홀로 이 책을 읽게 되었으면 어쩌나 오소소 몸을 떨었다.

 

 프롤로그부터 현실과 이야기의 경계에서 길을 잃었다. 그래서요, 그래서요? 하고 내 옆에서 묵혀왔던 이야기를 풀어내려는 저자의 다음 말을 재촉하듯이. 소설은 자신의 이야기면서도 늘 내 친구의 아는 사람의 이야기라고 한다리 건너서 멋쩍고 켕기는 이야기를 풀어내는 친구처럼 긴가민가하다. 진짜인거 같기도 하고 그저 믿기엔 맹랑한 뜬소문 같기도 하다. 안믿을 수도 있다. 그런데 이럴 땐 사실 '아니 땐 굴뚝에 연기날까'싶은 마음으로 그런 삶도 있겠거니 넘겨 들으면 더 재미있다. 그래야 다음 장으로 넘기면서 계속 그래서요, 그래서요? 하는 맛도 있으니.

 

 인상적이었던 것은 그녀의 실패한 결혼생활이었다. 꽤 오랜 시간을 사귀어왔으면서도 결국 서로를 알지 못했던 두 사람의 결혼 생활을 바라보며 깊은 공감과 절망을 느꼈다. 누군가가 나와 같은 모양의 패를 가지고 있었다 생각했는데, 사실은 같아보인다고 믿고 싶었을 뿐 다른 패를 모아온 삶이었다면. 내 짝일 것이라 믿었는데 하나같이 맞는 것이 없다면. 매번 다른 패를 내밀어보이는 그가 나쁜 사람처럼 보였겠지만, 그가 살아온 삶이 그랬던 것이고 그녀와 달랐지 틀렸던 것은 아닐 수 있다는 생각을 했다. 그와 맞는 패를 가진 사람이 분명 어딘가에 있을 것이다. 그녀가 내밀었던 패들도 그에겐 이해할 수도 없고 폭력적이었을 수 있었을 것 같다. 

 

 시멘트로 만들어진 데드 마스크로부터 시작한 이야기가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물구나무 서는 남자 ㄴ과 울근불근 싱그러운 살을 가진 여자 ㄷ까지 등장하면서 글쎄, 소소하달까 사실 언뜻 평범해도 묘한 위화감에 고갤 다시 한번 돌려서 보게 되는 기괴함을 안겨주는 세 사람의 짧은 동거 생활을 이야기 한다. 데드 마스크의 주인과 그 데드 마스크가 어떻게 만들어지게 되었는지 그녀의 입을 통해 저자가 옮겨주는 이야기는 계속해서 쓸쓸하고 건조하다. 삭막해 가물어죽지 않으려 가슴 속에 선인장 한 그루 간신히 키워내는 사람들을 보는 것처럼. 읽다보니 어린 시절 선인장을 기르려다 그조차 말려 죽게만들었던 기억이 떠오른다. 내가 좀 더 간절했더라면 그 선인장이 시들어 죽게되지 않았을까 생각해보게 됐다.

 

 일을 하러 가는 길, 끝마치고 돌아오는 길 동안 짬짬이 책을 읽었다. 사람들 사이에 부대끼다 앞에 빈 자리가 나면 뻣뻣해진 허리를 굽히고 가방안에 넣어온 책을 꺼내서 읽었다. 몇 정거장이고 마음을 놓고 읽다가 문득 책 안으로 너무 깊이 들어갔구나, 내가. 싶은 순간에 고개를 들어 내 옆과 앞에 앉은 사람들, 곳곳에 선 사람들의 면면을 주욱 한번, 그리고 주의깊게 다시 한번 훑어보았다. 그제서야 내가 혼자가 아니었구나 하고 안심했다. 셋이 한 덩어리가 되었다는 그녀와 ㄴ과 ㄷ의 사이에서 너무나 홀로인 기분을 느끼고 책을 덮게 되는 순간들이 있었다. 빛이 잘 들지 않는 내 방 안에서 이 책을 한밤동안 훌쩍 읽어버렸으면 어떡할 뻔 했어, 겁이 덜컥나도록. 그럴때마다 나는 나홀로 이 책을 읽게 되었으면 어쩌나 오소소 몸을 떨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