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품은 맛있다
강지영 지음 / 네오북스 / 2013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좀 가벼운 느낌의 소설이 아닐까 생각했는데 생각 이상으로 몰입도가 좋았다. 가끔 젊은 작가들의 소설에서는 트렌디함을 무기로 그것을 자신만의 특색으로 만들려는 시도를 볼 때가 있다. 자기 자신만의 독특한 분위기나 문체가 그 작가가 써내려간 소설의 특색이 되는 것이 아니라, 소재가 독특함이 혹은 아직 여타의 작품들에서 많이 언급되지 않은 생소함이 그 소설의 특색이 되는 것이다. 처음 이경의 직업? 혹은 아르바이트에 대한 찬찬한 묘사를 보면서 그런 류의 불만스러움을 느꼈다. 고독사니, 유품정리사니 하는 최근의 이슈들을 끌어모아 독자의 관심을 받으려고 하는건가 싶었다. 그 뒤로 이어진 다운의 삶 역시 화려한 생활을 면면을 살펴보면서 막장을 무슨 마침표처럼 달고 다니는 드라마 속의 단골 주연의 생활처럼 느껴져서 실망스럽기도 했다. 하지만 그 두가지 실망을 넘어서면서 부터 소설의 이야기와 재미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실망은 잠시뿐.

 

소설은, 유품정리업체에 대한 생소함이 주는 특색에 의지하지 않아도 될 만큼 독특했다. 사실 그건 구성에 필요한 장치일뿐 그런 것에 의지하려는 의도조차 없었을 것 같다. 어느 순간 밤마다 다른 사람의 삶을 지켜보게 되는 두 소녀가 있다. 소녀라고 하기엔 좀 나이가 많지만. 여자라고 하기에도 살짝 아쉬운 그런 경계의 젊음. 그것이 잠들면 나타나는 사전적 의미의 꿈이 아니라 꿈과 비슷한 통로로 연결된 실제 다른 사람의 삶이라는 것을 알게 된 순간 누덕이는 삶 자체를 바꿔버릴 듯한 큰 사건 속으로 휘말려들어가게 된다. 이경이 다운의 삶을 바라보듯, 다운도 이경의 삶을 바라보고 있고 너무나 다른 줄 알았던 두 사람이 누구보다도 긴밀하게 연결되는 합을 바라보다 독자도 사건의 한복판까지 내달려 빠져든다.

 

이경은 청소업체의 일로 이미 죽은 다운의 원룸을 찾아가 사후정리를 한다. 그러던 중 스노우볼을 하나 집어 가져오게 되고, 어디서부터 얽혀있었는지 모르게 서로의 삶을 지켜보게 된다. 외모부터 생활환경까지 모든 것이 너무나 다른 두 사람이 자신들은 몰랐지만 주변의 인물들과 과거의 사건들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고, 미래의 삶까지도 좌우하여 두 사람 사이에 숨겨진 사건의 진실이 밝혀질 때까지 쉼없이 책을 읽게 만든다. 사건의 흐름이 단순하지 않아 그 뒤는 어떻게 될 것인가, 벌려진 일은 어떻게 수습이 될 것인가 관심을 기울이게 한다. 대부분의 설정들은 다소 현실감이 너무 없다고 생각되는 면이 있긴 하지만 독자로서 즐기면서 책을 읽기에는 충분히 재미있기 때문에 그런 부분이 흠으로 느껴지진 않는다.

 

다 읽고 나서야 표지 속 사진이 뜻하는 바가 무엇인지 문득 깨닫게 된다. 어떤 경계를 중심으로 마치 거울에 비춰진 양 서로 반대로 뻗어있는 다리, 붉고 어두운 배경. 누군지 몰라도, 첫눈에 마음에 드는 표지는 아니지만, 책을 읽은 독자의 눈에는 한눈에 모든 것이 되살아나는 듯한 표지를 만들어냈다. 다 읽고나니 표지까지도 만족스럽다. 제목이 좀 아쉽다고 여겨졌는데, 좀 더 강조되는 혹은 함축적으로 의미를 전달하는 제목이었으면 좋았을 것 같다. 책 안에서 제목을 강조하려는 시도가 내용으로 그대로 드러나 좀 서툴거나 거친 느낌도 났지만, 뭔가를 더 전달하고 싶어했던 작가의 의도가 느껴졌다. 근래 읽었던 책 중 재미면으로는 꽤 좋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