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딩의 여덟째 날
리루이 지음, 배도임 옮김 / 도서출판 삼화 / 2012년 12월
평점 :
절판


'장마딩의 여덟째 날'을 상당히 흥미로운 시선으로 바라보았다. 이건 나에게 있어 굉장히 이례적인 일인데, 나는 종교적인 색채가 들어갔다는 점에 대해 그리 긍정적이지 않은 평을 먼저 내려두는 일이 더 잦기 때문이다. 모든 이를 이해하고 사랑하라는 종교의 메시지에도 불구하고 모든 이의 이해와 사랑의 문제에 있어서 너무나 예민해질 수 있는 요소이기 때문에, 그런 요소로 인해 작품 외적인 부분으로 주의가 옮아가는 일이 생길까봐 좋아하지 않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특정 종교에 대한 언급이 있으면 그 안으로 깊이 들어가, 비종교인의 이해가 어려운 면이 있을지도 모른다는 점이 꺼려지기도 한다.

 

그래서 얼마간은 실망스러운 마음이 생기기도 했으나, 이 소설이 종교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더 크고 넓은 곳에 시선을 주고 있다는 점 때문에 더욱 흥미가 생기기도 했다. 중국발 소설들을 정말 손에 꼽을 정도로 조금 접했는데, 한권 한권 새로 읽게 될수록 괜찮은 느낌을 많이 받는 것 같다. 작년 초에 고향 하늘 아래 노란 꽃이란 책을 읽었던 기억이 떠오른다. 분량이 상당했는데, 한 마을 안에서 대를 이어 일어나는 일들을 담아놓은 책이라 재미는 있었지만 읽으며 지쳤던 것 같다. 그러다 최근에 실연 33일을 읽고 장마딩의 여덟째 날까지 연이어 읽게 됐는데, 독서 목록이 매우 빈약하지만 갈수록 좋은 느낌을 받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역사의 흐름을 따른 시대의 변화가 개인의 삶에서 어떤 모습으로 체감되는지 인간의 맨얼굴을 드러내듯이 나타내었다. 새로운 문화와 기존 문화가 충돌하며 생기는 첨예한 갈등의 날섬, 서로 다른 종교에서 같은 근원을 찾아내는 통찰, 엄혹한 생의 고통에서 비롯된 치열하고 잔혹한 삶을 살아가는 인간들. 특히 사람의 삶을 좀 더 본능에 가까운 모습을 보이는 날것으로 표현하려 했다는 점이 강렬하게 다가왔다. 조롱박이와 롄얼의 이야기가 순수한 아름다움을 처연히 남기고 끝난 것처럼, 남편의 아이를 갖기 위해 칼을 찬 남편의 곁으로 찾아든 장왕씨가 결국은 눈앞에서 붉은 피를 보게 된 것처럼, 진실을 위해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잃고 오로진 진실 하나만을 품은 채 죽어야 했던 장마딩처럼.

 

각자 자신이 가진 베이스에서 이 소설을 받아들이게 될 것이다. 이처럼 다양한 여지를, 궁금함으로 남겨두는 책을 또 만나 즐거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