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력자 - 2012 제36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최민석 지음 / 민음사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유쾌하고 뻔뻔한 글에 대해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어떡하기는, 그저 재미있게 즐기며 읽으면 되겠지.

 

2012년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이라는 영예로운 타이틀을 거머쥔 소설이다. 무려 민음사에서 출판된 책이기도 하고. 문학동네와 민음사 등은 출판사 이름만으로도 출간된 책에 대한 어떤 기대를 품게 만든다. 사람에게 학벌이 있듯이 책에게도 출판벌이 있는가, 왜 어디 출신이라고 하면 기대되는 것이 있다는 사람 심리가 참 공평하게도 적용된다. 뿌리뽑혀야 하는 악습임에도 불구하고. 그런데 고맙게도 이 책은 그런 기대감을 만족스럽게 채워주기까지 한다. 기대되는 책인데, 기대만큼 재밌기도 하다니!

 

솔직한 얘기로 작가 최민석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했다. 그리고 이런 솔직한 독자의 심정에 어울리게도 작가 스스로도 한수 깔고 들어가는 듯한 작가의 말을 남겨놓았다. 그것도 너무나도 생생하게, 그리하여 읽다 나도 모르게 현실웃음이 터지도록. 이 솔직담백한, 그리하여 너무나도 뻔뻔하다 싶이 여겨질만한 현란하고 신명나는 일명, 글빨에 환상적인 시간을 보낸 독자로서는 그래, 이제부터라도 최민석의 이름을 잘 기억해두어야 겠다고 다짐하게 되는 바로 그 시점을 지나게 되는 것이다. 기억해두자, 오늘의 작가를.

 

책의 제목을 보고 맨 처음으로 떠올린 것은 런닝맨의 김종국. 능력자라니, 그건 그의 애칭이었다. 더불어 권투에 대한 이야기도 나온다니, 그 연예인 역시 권투를 했었다고 하지 않았나. 이건 김종국에게 바치는 헌정 소설인가 하는 병맛 넘치는 비급 사유를 하게 되는 것은, -작가의 글을 너무나도 재미있게 읽은 탓도 7할은 있다고 하고 싶다- 어째서인가. 물론, 전혀 상관없는 이야기이지만. 어쨌든, 이 책에는 두명의 주인공이 나오고, 그 중 한명은 화자가 되는 신인작가 남루한이고 또 한명은 왕년의 챔프 공평수이다. 런닝맨의 능력자가 아니라.

 

일견 공통점이 하나도 없을 것 같은 글쟁이와 복서가 어찌하여 한 권의 책 안에서 서로 엉켜있느냐 하면, 공평수가 자신의 자서전을 의뢰하면서 그 둘의 인연이 시작되는 것이다. 세계 챔피언이었다가 무도장의 스텝을 밟는 춤꾼이었다가 어느새 매미의 에너지를 믿는 사기꾼 약장수 같은 모습으로 되어버린 공평수는, 너무나도 이상한 인물이었다. 그런 그에게 반쯤은 사기치는 심정으로 그저 돈이 필요하단 생각에 자서전을 써달라는 제의를 수락한 남루한이, 그의 모습을 관찰하듯이 보고 쓴 자서전이나 소설이라기 보다는 관찰일지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하는 내용이 바로 이 소설이다.

 

시종일관 무심한듯이 유머러스하게 이어지는 재기넘치는 문장들, 엉뚱을 넘어서 기괴하다고 여겨질만한 인물들의 인생역정, 오버에 오버를 더한듯한 뜨악한 사건들의 끊임없는 조화 속에 정신없이 웃으며, 그 다음을 궁금해하다보면 금새 책장이 넘어가고 만다. 그저 살짝 꼬인 시선으로 뇌까리는 듯한 말투로 묘사하고 있는 상황들에 가벼움을 느끼다가도 어느새 묵직한 한방을 날리기도 하고, 충분히 독자가 즐길 수 있는 무대를 마련해주었다가 생각할 수 있는 자리까지 깔아주고 물러나는 센스있는 작품이었다.

 

올 겨울, 한권의 책을 읽는다면 방바닥에 눌러붙어 귤 한상자를 까먹으며 이 책을 읽기를 권한다. 크리스마스를 혼자 보내도 심심하다 느끼지 않을만큼의 재미를 선사할 책이자, '작은 방 한편에서 몸을 웅크린 채 책에 의해 크게 되는 시간을 보낼 수도 있을' 것이다. 소설이 주는 오락성, 재미 면에서 손색이 없고 가볍게 볼 수 만은 없는 의미까지 두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오늘의 작가 최민석의 오늘의 소설 능력자를 추천한다. 물론 기대 이하의 책이라 느껴질 때는 작가의 말에 있는 것처럼 띠지에 있는 작가의 얼굴에 분풀이 하길 바란다.

 

"그러자 어느샌가 발아래 수치의 안개가 차오르는 것이 느껴졌다. 그 수치는 끈끈하게 내 몸에 달라붙어, 결코 산뜻한 기분이 들지 않았다. 무슨 까닭이었을까. 근거는 찾을 수 없지만, 훗날 그것이 나를 완전히 씻어 낼 동인이 될지도 모르겠단 예감이 들었다. 광장에서 바람에 의해 크는 사람이 있다면, 작은 방 한편에서 몸을 웅크린 채 수치에 의해 크는 사람도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