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의 인문학 - 넓게 읽고 깊이 생각하기
장석주 지음 / 민음사 / 2012년 9월
평점 :
품절


감각적인 색채와 그림의 표지보다도, 한가운데 강렬하게 박힌 제목보다도, 먼저 이 책을 집어들게 만드는 것은 바로 저자의 이름 세글자이다. 독자를 책 앞으로 이끄는 힘을 가진 저자의 이 이름 세글자. 나 역시도 그 세글자에 이끌려 이 책을 만나기를 소망했다. 책을 읽는 것이 어디 어렵겠냐만, 기대가 컸던 책인지라 아껴가며 읽었다. 하루에 한숨에 다 읽어버릴 새라 조금씩 틈을 주어가며.

 

인문학이라는 것에 부쩍 왜 관심이 가는지 한두가지 이유로 설명하기 어렵다. 그저, 좀 더 알고싶고, 좀 더 알아야겠다는 생각이 앞선다. 수많은 책을 읽으면서도 결국 내 사고는 나아지는 것이 없고, 내 자신이 그 것들은 단지 수행하고 있을 뿐이지 소화해내지는 못한 채 흘려버리고 있다는 위기감이 많이 들었다. 나이를 먹어가면서 좀 더 성숙해지고, 깊어지고 싶다는 욕구가 생기면서, 자신이 부족함이 스스로 더 아쉬워지면서 더욱 인문학을 찾게 되는 것 같다. 짧게 쓰자면 무식한 자신이 싫어서.

 

저자의 방대한 독서량에 놀라는 것도 놀라는 것이고, 그 수많은 컨텐츠들을 잘 버무려놓는 문체에도 놀란다. 특히 매번 언급되는 책이나, 말미에 붙어있는 함께 읽으면 좋은 책들 목록을 보면서 내가 읽은 책인가 아닌가 체크해볼때마다.... 슬프고 깊은 한숨이, 늘 다음으로 미뤄둔 책 목록에 대한 후회가 물밀듯이 찾아온다. 늘 독서를 해야겠다고 안간힘을 쓰며 생활하고 있지만, 거의 전무하다고 봐야 할 정도로, 독서가 부족함이 드러났다. 이 책을 통해 자극받는 사람들이 많은 것이라 생각한다.

 

전반적인 내용으로 봤을때 확실히 부담스럽지 않은 범위에서 다양한 주제로 이야기가 이어진다. 하지만 결코, 그 깊이가 얕지 않음은 저자의 깊고도 깊은 내공에서 나온 완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읽는 이를 배려한 산물이리라. 저자의 책을 많이 읽어본 것은 아니지만, 매번 그 정확한 정도를 넘지않는 흐름으로 이야기가 진행되는 점을 볼 때마다 감탄스럽다. 다양한 키워드로 길지 않은 분량의 내용이 이어지기 때문에 인문학적 사고가 낯선 이들도 난해하게 받아들이게 되지만은 않을 것 같다.

 

특히 다른 사람이 전해주는, 쉽게 접하기 어려운 책의 요지나, 에피소드를 듣는 것을 좋아하는 편인데 그런 내용들이 많아서 읽으면서 더욱 재미를 느꼈다. 전부 읽어서 소화하기는 부담스러운데 이런 내용이 있구나 알게 되고 그로인해 관심을 가지게 되어 긍정적인 독서로 이어진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저자의 책은 많은 도움이 되는 것 같다. 이번 가을에 함께 할 책으로 강력히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