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에겐 일생에 한 번 냉정해야 할 순간이 온다
한상복 지음 / 예담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혼적령기. 어느 사이엔가 그 말이 어울리다 못해 물리게 될, 시기가 온다. 삶은 내가 원하는 속도대로 굴러가지 않고, 나를 삶이 굴러가는 속도에 맞춰서 살도록 만들어야 하는 때가- 나이 들수록 더 많아진다. 결혼을 하는 시기도 정해져 있다는 것이 이상하다. 하고싶은 때, 할 수 있을 때에 하는 것이 정상 아닌가? 대체로 해야하는 시기가 정해져 있다니. 그것도 인생을 잘 살아가고 있다는 증거처럼 보이는 한 지표로 말이다. 하나둘씩 친구들이 결혼을 하고, 철모르던 대화의 주제가 결혼으로 옮겨지는 이십대 후반 삼십대 초반의 날들. 바로 그 때에 '여자에겐 일생에 한 번 냉정해야 할 순간이 온다.'

 

사실, 그때만 냉정해야 할 순간이 오는 것은 아니다. 요즘 시대에는 매번, 매 순간 손해나는 짓을 하지 않으려면 냉정해야 하는 순간이 불쑥불쑥 찾아온다. 저자는, 무엇보다도 냉정해지기 어려운 로맨스의 정점에 다다른 순간 - 선택에 앞서 냉정해지기를 권한다. 표지의 문구처럼, "이 남자, 같이 살아도 될까?" 스스로에게 문제를 제기하도록 말이다. 사랑에 빠져 길 잃은 어린 양이 된 여자들에게 그 냉정이란 것이 적재적소에 맞게 적용될 것인가, 먼저 우려가 된다. 뭔가가 잘못되었음을 알면서도 결국은 돌이키지 못하고 그저 끌려가는 수많은 사례들을 이미 '사랑과 전쟁'에 많이 봤으므로!

 

시작해 들어가는 에피소드부터 어디선가 들어봤음직한 결혼 문제로 합의되지 못한 고민을 해본 사람이라면 깊이도 공감할 듯한 대치 상황을 보여준다. 결혼은 타이밍이라고 했던가. 서로의 사인이 맞아떨어지는 그 타이밍의 순간에 만난 사람들끼리 이루어지는 것임은 이미 너무나도 잘 알려진 명제이다. 아무리 멋지고 좋은 상대라고 할 지라도 그 사인이 어긋나는 순간 내 짝이 아니게 되는 것이다. 만나온 기간도, 두 사람의 불타오르는 사랑도 그 타이밍 앞에서는 소용이 없어진다. 참으로 묘하게도 말이다.

 

책에는 어린시절 어머니에게서부터 영향을 받은 탓에 나쁜 남자의 모습으로 성장하게 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한 이야기, 결혼 준비를 하면서 겪는 갈등 '시'자 붙은 사람들과 겪게되는 반목과 다툼들, 바람을 피는 남자 그리고 또 그것을 눈치채는 여자의 감, 결혼하고 달라지는 여자들의 생활이 친구관계에서 어떤 식으로 영향을 끼치는 지에 대해 전반적인 내용이 약간의 과잉은 있지만 꽤나 현실감 있게 그려져 있다. 책의 제목을 딴 34번 에피소드는 안부글 형식으로 되어 있는 점이 독특하면서도 다소 간지러운 느낌이었다.

 

재미있게 읽었다. 공감되는 부분도 많고, 약간 잡지를 읽는 듯한 기분으로 보게 되는 부분도 있었다. 다소 가벼운 느낌은 있지만, 여성들의 구미에 맞는 재미있는 책 한 권이 될 것 같다는 느낌이 많이 들었다. 더불어 읽으면서 반면 남자에게는 이 시기가 일생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할 순간으로 여겨질까 궁금해지기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