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과 소설가 - 오르한 파묵의 하버드대 강연록
오르한 파묵 지음, 이난아 옮김 / 민음사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르한 파묵의 하버드 대 강연록이다. 그를 강사로 모시기 위해 삼고초려하듯, 이 책을 만나기 위해 꽤 노력해야 했다. 노력은 결실을 맺어 독서로 이어졌다. 그리고 강연을 듣듯이 시간을 들여 천천히, 중간중간 딴짓을 하면서 책을 읽었다. 한마리의 길 잃은 어린양을 대하듯 친절하고 가능한 쉽게 이야기해주는 어조로 이어지지만, 역시나 조금은 길을 못 찾을 것만 같은 부분들도 있었다. 그건 파묵씨 탓이 아니다. 언젠간 깨칠 것들이라 생각하지만, 아직은 둔재인, 둔재일 수 밖에 없는 나의 탓이지.

 

" 어떤 작가는 소설을 쓸 때 자신이 사용하는 기교를 인식하지 못합니다. 머릿속에서 하는 온갖 작업과 계산도 잊고, 소설 예술이 제공한 기어, 핸드 브레이크, 버튼 들을 사용하고 있으며, 더욱이 이중에 새로 발명된 것도 있다는 것도 인식하지 못하지만, 아주 자연스럽게 저절로 씁니다. 소설 쓰기에(그리고 독서에도) 인위적인 면이 있다는 것을 전혀 의식하지 않는 이러한 유의 독자와 작가를 ‘소박한 사람’이라고 부릅시다. 이것과는 정반대되는 감성, 그러니까 소설을 읽거나 쓸 때 텍스트의 인위성과 현실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것에 마음을 빼앗기고, 소설을 쓸 때 사용되는 방법과 소설을 읽을 때 우리 머릿속에서 일어나는 일에 특별하게 관심을 두는 독자와 작가를 ‘성찰적인 사람’이라고 부르지요. "

 

읽으면서 그의 날카로운 분석에 놀라는 부분도 많았다. 특히 독자가 소설을 읽으면서 자연스럽게 수행하지만, 미처 깨닫지 못했던 의식의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놓은 부분도 그렇고, '소박한 작가', '성찰적인 작가'의 구분을 둠과 동시에 독자에게서도 그러한 면을 정리해놓은 부분에서는, 무릎을 치게 되기도 한다. 그리고 동시에 빈약한 감상, 그저 읽어냄을 기계적으로 수행하는 자신의 독서, 혹은 독서라는 명칭을 박탈당한- 그저 텍스트 읽기의 실행에 지나지않는 행동에 대한 자괴감이 물밀듯이 들어온다. 단순히 나는 어떤 위치에 선 독자인가를 생각할 수조차 없는 것이다. 자신감의 결여인지, 주제파악인지 모를 일이지만.

 

대부분의 독자들은 아마 나와 비슷한 위치에 있지 않을까 싶다. 과연, 일반 대중에게서 텍스트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는 문학적 감수성이 흔한 것일까? 또한 훈련되지 않은 독자의 머리속에서 텍스트를 분석하여 의미를 이끌어내도록 추론하려는 읽기가 쉬운 일일까? 우리가 느낀 것들,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일어난 사고의 흐름과 감정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옮길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재미의 있고 없음, 슬픔, 지루함, 흥미진진함, 무서움, 잔인함 등 그 빈약한 표현으로 독자임을 논하기에는 어불성설이다. 소설을 읽을 때 우리 머릿속에서 일어나는 일들은 어쩌면 일어나야 했을, 일어나길 바랬을 일들로 볼 수 있겠다 싶었다.

 

새로운 충격과 호기심이 연달아 오는 책이다. " 소설 읽기와 상상하기에 투자되는 노력의 이면에는 다른 사람들과 차별화되고 특별해지고 싶은 바람이 숨어 있습니다. ...중략... 하지만 무엇보다도 아주 ‘어려운’ 책을 읽기 때문에 기분이 좋은 겁니다. 머릿속 한구석에서 우리가 특별한 일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거지요. 조이스 같은 어려운 작가의 작품을 읽을 때 우리 두뇌 한구석에서는 조이스 같은 작가를 읽고 있는 우리 자신을 축하하느라 분주합니다. " 이런 구절을 읽을 때면 저절로 스스로에 대한 냉소를 지울 수가 없다. 사자 거죽을 뒤집어 쓴 나귀와 같은 치졸함, 부끄러움을 모르는 허영심의 치부가 사정없이 드러나는 것만 같아 차라리 눈을 감아버리게 된다.

 

언급되는 소설들과 오르한 파묵의 글을 이전에 접해본 적이 없기 때문에 읽으면서 말하고자 하는 것을 짚어내기 어려웠던 것이 가장 아쉽다. 안나 카레리나나 모비딕, 오르한 파묵의 소설을 좀 읽어보고 난 뒤에 다시 읽게 된다면 이 책을 좀 더 소화하기 쉽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그리고 좀 더 나은 독자여야 하지 않을까 생각하게 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