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금까지 알고 있던 내 모습이 모두 가짜라면 - 영원불변한 '나'는 없다
브루스 후드 지음, 장호연 옮김 / 중앙books(중앙북스) / 2012년 10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꽤 소름끼치는 내용을 주장하고 있다. 지금까지 알고 있던 내 모습이 모두 가짜라면? 이라는 제목을 가지고, 지금까지의 자아-
나라고 알고 있던 내 모습은 모두 착각이다. 라고 말하고 있다. 나 자신에 대해 누구보다도 잘 알고 큰 애착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물론
본인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충격과 배신의 놀라움을 느끼게 할만한 내용을 이야기하고 있다. 그렇다면 내가 내가 아니게 된다는
것일까? 나는 나를 잘 모르고 있다는 것일까?
어떤 실험에서, 사람은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실제 모습보다 5%정도 더 멋있는 모습으로 본다는 결과가 나왔다.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자신의 모습 중 장점을 더 부각시키고 단점을 가려서 보는 것이다. 눈이 보고 있는 세계에 대한 정보를 뇌에서 마음대로 조절하는 것이다.
실제로 우리는 우리가 본 것과 봤다고 생각하는 것에 대한 정보를 가끔 착각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그런 현상이 바로 자기 자신에 대해서도
객관성을 읽고 나타나게 된다는 것이다.
중간중간 관련된 내용과 연결되어 있는 실례를 들어가며 이야기가 진행되는데 사람의 심리와 사회현상에 대한 에피소드들이 다양하게 들어있어
읽으면서 내내 흥미롭고 재미있었다. 오줌을 참으면 얻어지는 것이나, 모방에 관한 이야기, 저렴한 가격의 제품에 혹하는 이유 등을 이야기하는
부분들이 특히 그랬다. 또 가끔씩 허를 찌르는 내용이 들어가 있어서 읽으면서 긴장의 끈을 놓지 않게 만든다. 중간에 기억력 테스트라고 해서 읽은
내용을 다시 떠올려보게 만드는 부분도 있었다.
주의력 결핍 장애 아동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 부분이 있었는데, 그 분야에 관심이 있어서 확 공감되는 부분이었다. 그 아이들이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제어하지 못하는 점이나 주로 어떤 식으로 문제점이 드러나는지에 대한 설명에서는 꽤 경험과 들어맞는 부분이 있었다. 절반 정도는 고쳐지고
절반 정도는 성인이 되어서도 문제를 그대로 안고 지내야 한다니. 요새 주의력 결핍 장애를 갖고 있는 아동이 꽤 많은데 자못 문제가 심각하게
느껴졌다.
또 하나 흥미로웠던 부분은 인터넷에 관련된 내용이었는데, 인터넷을 많이 이용하는 사람 중 하나로 인터넷 상에서와 실제 생활에서의 개인의
모습이 같을 수 없음에 많이 공감했다. 실생활에서의 모습과 인터넷에서의 모습은 노출 빈도나 수위도 다르고, 개인을 보여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매우 적으며 인위적인 조절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얼마든지 자신의 모습을 만들어낼 수 있는 익명성의
공간이 아닌가.
재미있게 읽을 수 있으면서 다양한 내용을 꽤 전문적인 내용을 겸해서 설명해 놓은 책이다. 우리가 그냥 넘어갈 수도 있는 문제들을, 한번 더
생각해보고 흥미를 느낄 수 있게끔 담아놓아서 즐거운 마음으로 완독할 수 있었다. 자기 자신과 사람의 심리, 그로인한 영향이 어떻게 끼치는지에
대해 알아볼 수 있는 책들은 언제나 독자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공감대를 충족시켜 주는 것 같다. 매력있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