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추억의 절반은 맛이다 - 박찬일 셰프 음식 에세이
박찬일 지음 / 푸른숲 / 2012년 7월
평점 :
소소한 일상 음식들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있다. 직접 요리한 음식들에 대한 이야기는 아니고, 박찬일 셰프의 추억이 담긴 음식 이야기가 주를 이룬다. 때때로 요리에 대한 팁이 있긴 하지만 음식을 만드는 법이나 자신이 만든 음식에 대한 이야기가 주를 이루는 것은 아니다. 우리도 흔히 먹고, 접할 수 있는 음식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짜장면이나 짬뽕, 만두같은 중식 트리오도 나오고, 꼬막, 바지락 칼국수, 해장국 얘기에, 햄버거, 쌀국수, 라멘 등 외국에서 만난 음식에 대한 이야기도 있다. 그리고 끝에 가면 문학 작품 속에 등장한 음식들에 대한 이야기를 따로 정리해 둔 부분이 있다. 소설가 김중혁과 함께 한 일화가 있어서 부러웠다.
이 책을 처음 접하면서 일본의 본격 음식 만화 심야식당과 비슷한 느낌이 나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그렇지는 않다. 차분한 분위기는 비슷하나 어디까지나 박찬일 셰프의 경험과 맞물려진 에세이라서 음식과 함께 연관된 일기장을 한편씩 뒤적여보고 있는 기분이 든다. 표지 뒷 편에 있는 볶음밥에 대한 이야기도 그렇고 어려웠던 시절을 지나온 셰프의 이야기가 담겨있는 부분도 있어서 읽다보면 감동을 받거나, 그땐 그랬구나 하고 알게 되는 부분도 있다. 누나들 틈에 있는 유일한 아들이라 닭을 먹으면 다리는 꼭 자신의 차지였던 일이나, 어렸던 누나가 그보다 어린 동생을 챙기려고 짜장이나 짬뽕보다 비싼 볶음밥을 늘 셰프 몫으로 시켜줬다는 이야기는 소소한 감동을 준다.
여러 음식 얘기가 많이 나오는데, 특히 만두에 대해 이야기 하면서 만두당이 있다면 그 당에 가입하겠다고 하는 부분은 웃기면서도 공감됐다. 만두라고 하면 이름 난 곳을 듣고선 찾아가야 직성이 풀리는 열혈 당원이라. 어린 시절부터 이북식 만두를 매년 해먹었었는데, 만두는 어떻게 먹어도 맛있는 묘한 음식이다. 그런데다가 에피소드 말미에 인천 차이나타운에 있는 유명한 만두집 '원보' 이름이 언급됐을때는 더 이상 참을 수가 없어 이번 주말에는 원보에 다녀와야겠구나 싶을 생각이 들었다. 다녀오는 길에 양꼬치도 먹고.
또 하나는 김승옥의 소설 '서울, 1964년 겨울'에 언급된 참새구이에 대한 것. 생각해보니 나도 어린 시절에 참새구이를 먹어본 적이 있던 것 같다. 그런 경험이 없이 그냥 참새구이라는 말을 들었다면 멘탈이 붕괴될 정도로 뜨악해했을 것인데, 경험자로서 그냥 그럴 수도 있지 하고 넘어갔었으나 아마, 지금 이 책을 읽을 젊은 사람들은 좀 뜨악해할지도 모르겠다. 근데 먹을 것도 얼마 안 되어 보이는 참새를 바싹하게 구워서 마치 통닭구이같은 모습으로 내왔을 때 생각보다 거부감이 덜 들었었고, 그 가느다란 뼈 사이의 살을 골라내어 먹으면서 생각보다 고소한 맛이 났었던 기억이 있다. 지금은 그냥, 먹으라고 해도 그닥 먹고싶어지지 않은 음식이 되었지만 그 당시에는 나름 맛있게 먹었었다. 한 이십년은 된 추억인데 새삼 떠올랐다.
읽다보면 내가 그 음식을 먹었던 기억이나 얽혀있는 추억도 떠오르고 생각에 생각을 거듭하다보면 오랜 시간을 들여서 이 책을 읽고 있는 것을 깨닫게 된다. 짧은 글 사이사이로 생각이 켜켜이 들어차며 읽게 되는 에세이였다. 마치 저자와 독자가 함께 씨실과 날실을 엵어가며 읽어야만 한 권으로 완성하는 책처럼. 읽으면 배고파지고, 어디로든지 맛있는 음식점을 향해 금방이라도 나갈 채비를 서두르고 싶어지는 책이다. 그래서 밤에 읽으면 안될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