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부식 열도 1 금융 부식 열도 시리즈 1
다카스기 료 지음, 이윤정 옮김 / 펄프 / 2012년 7월
평점 :
절판


벽 다섯시가 넘은 시간이다. 지금 이 시간까지 깨어있는 것은, 아마 이 소설의 영향이 열에 여덟, 아홉은 된다. 책의 첫 인상은 어둡다! 와 실용성! 이 가장 컸다. 어둡다는 표지의 전체적인 색과 다소 딱딱하게 느껴질 수 있는 제목의 글자체 때문인데, 재미는 있으나 가볍지 않은 내용인터라 충분히 강렬한 효과로 느껴진다. 또 하나 가장 굵직한 특징은 실용성에 있다. 크기는 성인의 손보다 조금더 큰 편이고, 두께는 약 3센치 정도 되지 않을까 싶을 정도인데 무게는 일반 양장본과 비슷하거나 그것보다 조금은 더 가볍지 않나 여겨질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게다가 책의 표지를 매우 간소화했다. 하드 커버도 아니고 책 내지보다 약간만 더 두께감이 있고 광택이 도는 종이 한 장이 앞뒤표지의 전부이다. 내지는 재생지로 생각되는데 확실히는 모르겠다. 덕분에 이만한 책 한권의 가격이 다른 것들에 비해 많이 저렴하다 싶이 여겨질 정도로 합리적이다. 전에도 이런 책을 본 적이 있는데, 실용성과 합리성을 강조한 출판이 슬슬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려고 준비하고 있는 것 같아 기대가 크다.

 

리뷰는 1권으로 집중하여 적을 예정인데, 이 책은 확실히 분량이 적지 않은 책이다. 1, 2권으로 나뉘어져 있고, 각 권마다 400쪽은 훌쩍 넘기는 분량을 자랑한다. 게다가 제목에서 예상할 수 있듯이 금융권과 관련된 내용이 전반을 이루기 때문에 그쪽에 문외한인 나로서는 사실 감히 넘봐도 될만한 이야기인가 하는 생각도 조금은 들었었다. 하지만 이 책을 읽기에 앞서 다른 펄프 시리즈 들 중 가장 기대작이라는 평가를 본 기억이 있어 기대를 하면서 봤었는데, 과연 읽는 이를 끌어들이는 당김이 예사롭지 않았다. 2권의 마지막 장에 가까워오면서 왜 이만큼 밖에 남지 않았지?'하는 의문을 품다가 결국 끝에는 3권은 어디없나?'하고 찾게 되는 변화를 맞게 된다. 거진 1000쪽 가까이 읽어놓고도.

 

염려되는 점은 일반 독자가 이 책을 서점에서 가벼이 집어들기에 '금융 부식 열도'라는 이 상징적인 제목, 까만 표지와 불붙은 돈은 다소 부담스러울 수도 있다. 사실상, 상당히 전문적인 내용이 많이 나오는 편이고, 주인공이라 할 수 있는 다케나카가 몸담고 있는 은행권만이 아니라 일본의 경제 전반을 아우르는 배경 지식이 있었다면..하고 아쉬워 할 만큼 경제와 관련된 이야기들이 많이 나온다. 하지만 지식이 있다면 더욱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첨가가 될 뿐이지 나처럼 관련 지식이 전무하다고 해서 전혀 모를 내용이거나 재미가 반감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주요 인물들 사이에 얽혀있는 갈등의 흐름에 더욱 집중하게 되어 스토리만으로도 충분하 재미를 느낄 수 있기도 하다.

 

책의 백미는 하루 아침에 교리쓰 은행 권력 다툼의 중심으로 끌려들게 된 다케나카가 과연 어떤 길을 걷게 되는가에 있었다. 마치 좌천으로 여겨지는 갑작스런 인사이동과 함께 은행내 제일의 야심가로 불리는 사토와 그의 꼭두각시로 전락하게 되는 회장 스즈키, 연줄 대기에 바쁜 거만한 동기 스기모토 들의 비밀 프로젝트에 끼게 된다. 원리와 원칙을 중요시 여기는 다케나카에게 불편한 자리가 계속 되지만 은행에 대한 충성심으로 자신의 몫을 해나가는 다케나가. 비밀 프로젝트로 시작된 문제는 점점 다른 문제들과 함께 몸집을 키우고, 다케나가는 최선을 다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다. 더불어 은행장 사이토, 부장 나가이 등이 점점 세력을 얻으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다케나가가 어떻게 자신의 중심을 지키면서 회사에 충성하고 꼬인 문제를 해결하려는 방안 만들어내는지가 상당한 재미를 주는 부분으로, 자신도 모르게 응원하게 만드는 매력을 지닌 주인공이다.

 

일본 소설을 좋아하고, 독자로 하여금 소설 속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을 함께 하고 있다고 생각하게 만들만큼, 생생한 현실감을 느끼게 해주는 소설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읽어볼만하다. 인물들이 읽게 되는 투서나 신문 기사, 보고서 등의 전문이 함께 실려 있어서 마치 현장에 동석하고 있는 듯한 기분을 들게 만드는 독특한 점이 있는 소설이다. 다만, 2부에 들어서 몇군데 오탈자가 눈에 띄었는데 이 역시 수정되면 좋을 것 같다. (98.7/446.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