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삶을 바꾸는 책 읽기 - 세상 모든 책을 삶의 재료로 쓰는 법
정혜윤 지음 / 민음사 / 2012년 6월
평점 :
이 책의 저자인 정혜윤의 책은 '세계가 두 번 진행되길 원한다면'이라는 제목의 책을 전에 읽었던 적이 있다. 그 때도 그랬지만, 이 번 책을 읽으면서도 그녀만의 분위기가 물씬 느껴지는 책이라 인상적이었다. 내용도 내용이지만 특히 문체가 인상적이었다. 상당히 담담하면서 조근한 어투처럼 느껴지는 문체인데, 비슷한 투로는 영화평론계의 아이돌 이동진 기자가 있다고 생각된다. 어떤 한 분야에 조예가 있고, 그것을 일반 대중의 구미에 맞게 변환하여 소개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들의 공통점인 것 같기도 하고, 어쩌면 그냥 나만의 생각일 수도 있다.
"먹보는 먹보같이 사랑하고, 이기적인 사람은 이기적으로 사랑하고, 계산적인 사람은 계산적으로 사랑하고, 깨끗한 사람은 깨끗하게 사랑하겠구나. 그리고 이런 생각도 들었습니다. 사람이 뭔가를 아주 좋아하면 세상만사를 그걸로 설명할 수도 있구나. 그런 말이 있지 않습니까? 돈을 좋아하는 사람 눈에는 세상이 온통 돈으로 보인다고. 그때 이후로 줄곧 제게 남은 문제는 하나였던 것지도 모르겠습니다. 무엇을 사랑할 것인가? 무언가를 사랑하면 그 무언가를 사랑하는 모습 그대로 세상을 사랑하게 되겠구나."
책은 인상적인 부분이 상당히 많았다. 그리고 그 인상적인 부분들이 모여서 읽는 이를 감화시키기에 이른다. 우리가 단순하게 생각하는 것들을 강력한 힘을 가진 말로 바꿀 수 있는 것도 그녀가 가진 하나의 힘이다. 자신이 갖고 있는 사랑의 형태에 어떤 불만이 있는 사람이 이 문구를 보면 어떤 생각을 하게 될까. 먼저 스스로를 반성하게 될 것이다. 사랑의 형태를 만드는 것은 결국 자신인 것이다. 상대방이 내가 원하는 모습이 아닌 것이 아니라, 내가 무엇을 좋아하고, 어떻게 볼 것인지가 좌우하는 것이다.
"우리가 타인과 연결되지 못하는 이유를 많은 소설이 서투름이라고 설명하는 듯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연결되지 못하는 것은 서툴러서가 아니라 우리가 "너는 너, 나는 나."라고 주장하는 개인주의자들이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너 혼자서만 잘해라, 네 힘으로 스스로를 돌봐라, 라는 말을 넘치도록 듣고 살아서입니다. 이제 연인들은 서로 짐이 되고 싶지 않아서 헤어집니다. 어떻게 서로 힘이 될까 생각하기에 우린 개인적인, 너무나 개인적인 상태에 있습니다."
너무나 솔직하고 날카로운 지적이다. 우리가 서투르다고 말하고 있는 것은 사실은 '나에게 너는 중요한 사람이야, 하지만 내가 더 소중해'라고 하는 개인주의에서 비롯된 결과물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우리는 때로, 상대방에게 짐이 되고 싶지 않아 헤어지는 연인들의 이야기를 아름답고 슬픈 미담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정혜윤은 누가 누구에게 짐이 된다고 생각하는 자세조차도 개인적인 상태에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완고한 말인 것처럼 느껴지는 면도 있지만 어느 정도 공감이 되는 말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우린 고통을 어떻게 극복할 수가 있죠? 다른 방식의 위로란 것도 있을까요? 고통이 잊을 수 없는 거라면 우린 조금 욕심을 부려야만 합니다. 좋아, 너에게서 내가 의미를 끌어내 보겠다. 너를 승화시켜 보겠다, 너랑 싸워 보겠다, 이런 용기가 필요합니다. 적어도 고통은 없다는 듯이 굴지 말아야 합니다. 진짜 오만한 사람은 그 무엇에도, 자신의 고통에도, 타인의 고통에도 상처 받지 않으려 애쓰는 사람입니다."
이 책에서 가장 크게 영향을 받은 부분이다. 고통을 받았을 때, 괴로운 일, 슬픈 일이 있을 때 가장 쉬운 방법으로 그것을 외면하는 일을 선택했던 것 같다. 오만했다기 보다는 그것을 어찌할 바를 모르고, 직시할 수 없어서 모른척 덮어두었던 것이다. 누구에게 말하지도 표현하지도 못한 고통, 슬픔들을 그러안고 있다보니 이제는 어디더라도 익명의 상대에게 털어라도 놓고 싶은 생각이 들 때도 있었다. 그리고 아직도 그 고통을 직시하고 맞서 싸울 용기는 없다. 하지만 외면하는 행동만은 그쳐야겠다고 생각했다.
책은 이렇게, 사람의 생각과, 마음, 그리고 삶을 바꾸는 영향을 끼친다.
경험에서 우러나온 감상이니, 어느 정도는 믿어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