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님전 시공 청소년 문학 50
박상률 지음 / 시공사 / 2012년 5월
평점 :
품절


 개님전은 구수하다. 개님전의 황구, 누렁이, 노랑이 식의 표현을 따르면 노란 애기똥같은 매력이 있는 소설이다. 구수하다는 말이 색다르다는 말과 어울릴지는 모르겠는데, 확실히 이 책은 구수해서 색다르다. 청소년들을 위해 쓰여진 책 중에서 이렇게 구수한 맛을 내는 작품을 보기는 처음이다. 개인적으로는. 온통 사투리가 가득하고 구어체로 되어 있다. 판소리를 한마당 보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판소리치고는 좀 더 세련된 느낌이지만. 구식이라고 하기에는 세련됐고, 요즘 식이라고 하기에는 구수하다. 이 독특한 청소년 도서, 가볍게 읽히지만 그 안에 배움와 재미가 골고루 들어가 있다. 우리 토종인 진도개에 대해서 알 수 있고, 시골 문화, 사투리의 맛도 볼 수 있는 책이다.

 

 개님전은 말 그대로 개가 주인공이다. 진도에서 태어난 노란 털의 진도개, 황구와 황구가 낳은 마지막 새끼들 누렁이, 노랑이와 황구의 주인댁 노랭이 황씨 할아버지네 집에서 일어나는 이야기다. 생전 처음 들어보는 얘기도 있고, 어디선가 들어봤던 이야기도 나온다. 무엇보다 특별한 점은 개의 생활과 습성에 대해 아주 자세하게 나온다는 점이다. 집 안에서 키우는 사람같은 개가 아니라 개답게 자라는 개 본연의 모습으로. 소설은 액자식의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첫 장면이 황구네 집에 팔려갔던 누렁이가 돌아오는 것이다. 그리고 황구는 추위에 지쳐있는 누렁이를 보듬어주고, 황구가 누렁이와 노랑이 자매를 낳던 때의 시간으로 넘어가며 본격적인 이야기가 시작된다.

 

 "사실 쥐들은 개 냄새와 개 소리가 났을 때 이미 절반은 넋이 빠져나간 상태였것다. 그런 상태에서 패대기까지 쳐지자 더는 견딜 수가 없었던 것이렷다. 개 냄새와 개 소리는 고양이의 것과는 달리 치명적이었으니. 고양이 냄새는 별로 고약하지도 않고, 기분 나쁘기는 하지만 소리도 그다지 몸서리 쳐질 정도는 아니었것다. 그런데 개 냄새와 개 소리는 다르다. 개 냄새는 마치 연기에 질식되는 것처럼 괴롭고, 개 소리는 고막을 찢는 것처럼 아프고 공포스럽게 들렸으니."

 

 집에서 개를 키워본 적도 없고 애초에 집에 쥐가 들끓은 적도 없어서 집에서 키우는 개가 쥐를 잡는다는 얘기는 개님전 읽다가 처음 알았다. 나만이 아니라 이 책을 읽는 아이들도 멘탈이 붕괴 되는 얘기일 것이다. 쥐잡는 건 고양이인줄만 알았는데 옛날에는 개도 쥐를 잡았나 모르겠다. 개 좋아, 짱 좋아 뭐 이런 표현이 나오는 것만 봐서는 그렇게도 옛날은 아닌 것 같은데, 배경이 언제적인지는 잘 모르겠다. 쥐가 고양이보다 개를 더 무서워한다니. '고양이 앞에 쥐'라는 말도 있는데 개님전에 나오는 쥐잡는 개에 대한 얘기는 진짜 새로웠다. 진도개가 주인공이라서 있을 수 있는 에피소드일지도 모르겠다.

 

 "노랑이가 다시 물었다. "부르기 전에 뛰어 들어가믄 안 되는 것이여?" "미리 뛰어가 있을 필요까정은 읎어. 너무 앞어가도 우릴 재빠른 진도개라 안 하고, 눈치 빠른 여시 취급허거든." "근께 여시 취급은 당허지 말고, 그냥 개 취급 받는 선에서 살어라, 그 말이제?" "뭣이든 지나치믄 모자란 것보다 못헌 벱이여." "

 

 애기 똥을 먹는 수업을 받는 한 대목이다. 똥을 싸서 밖으로 내어놓으면 그 똥을 집어먹겠거니 하고 생각했는데 애기가 똥을 싸면 방 안으로 들어가 직접 애기 엉덩이에 묻은 똥을 핥아 먹는다니 이건 또 새롭다. 이 전에는 황구가 새끼들에게 앞으로는 애기 똥을 먹으라고 하자 개들이 그건 좀 비위상한다고 꺼려하는 내용이 나오는데 꽤 우습다. 개가 똥을 가리다니. 생각 이상의 것만 이 책에 담겨있나보다. 그 밖에도 황구는 쥐잡는 법, 노루잡는 법, 개가 지내여 할 개격에 대해 부지런히 새끼들에게 알려준다. 살뜰히 챙기는 모습이 사람과 다를 바가 없고 개들이 사람말을 다 알아듣고 사람처럼, 사람보다 낫게 생각하고 행동하는 탓에 배우면서 읽는 책이다.

 

 "노랑이도 떠나고 누렁이도 떠난 헛간에 황구는 홀로 엎드려 있는 시간이 많아졌것다. 무슨 일을 해도 흥이 나지 않았것다. 나이가 들어 더 그런지 모르겠지만, 요즘은 헛간에 엎드려 노랑이와 누렁이의 냄새를 떠올리는 게 아주 중요한 일이 되고 말았으니."

 

 꽤 감상적인 부분이다. 누군가와 이별했을때 그를 떠올리는 수단으로 냄새를 기억하는 일이 있다. 개뿐만 아니라 사람도 그렇다. 냄새를 맡거나 떠올리고 있으면 더 많이 생각이 나고 그리움도 짙어진다. 이 책은 단순히 재미만 주고 끝나는 것은 아니고, 개에 대해서 모르던 것도 알고, 또 황구와 새끼들의 이별을 통해 동물에 대해서 헤아려줄 수 있는 생각의 여지도 준다. 아동도서 '순둥이'가 떠오르는 부분이다. 순둥이라는 순한 강아지가 새끼를 낳게 되면서 어미 개로 성장하고 새끼들과 이별하는 과정을 그려낸 동화다. 이 책의 흐름과도 비슷하다. 초등 저학년에게는 '순둥이'를 추천하고 초등 고학년, 중등까지는 이 책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