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 같은 날은 없다 블루픽션 (비룡소 청소년 문학선) 61
이옥수 지음 / 비룡소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옥수 작가의 소설은 '푸른사다리'를 읽어본 적이 있다. 안타깝게도 내용이 잘 기억나지 않아서 전에 써두었던 기록을 참고해서 다시 볼 요량이다. 쨌든 이름이 익숙한 작가로 '개 같은 날은 없다'라는 제목과 함께 작가의 이름이 크게 눈에 들어왔다. 제목만으로는 어쩐지 날이 서 있는 것 같기도 하고, 영화 개 같은 날의 오후를 패러디 한 것 같기도 하고, 정면으로 부정하는 것 같기도 했다. 그러나 제목만으로는 이 책의 진정한 가치를 다 표현할 수 없었던 것을 책의 마지막 장을 샅샅이 다 읽어내고서야 깨달았다. 남은 글자는 없는지 더 읽을 것이 없는지 아쉬워서 책에 쓰여진 까만 글씨를 모조리 훑고서야 눈을 뗐다. 읽기 전까지는 모른다. 이 가벼운 문장들이 동동 떠다니는 것 같은 소설이 얼마나 무거운 감동을 주는지. 멋부린 말도 없고, 특별할 것 같지만 특별하기 위해서 이곳저곳에서 너무나 많이 끌어 사용해 오히려 흔해진 것들을 소재로 한 이 흔하지만 특별한 이야기가.

 

 "며칠 전부터 아이들은 이번 시험은 배짱으로 보겠다고 떠들어대며 분위기를 몰아가고 있다. 그래서 공부하는 아이들은 멋쩍어하며 괜히 반 아이들 눈치를 봐야 했다."

 

 특히 좋은점 중에 하나는 청소년 도서들이 흔히 아이들의 말을 실감나게 담아내기 위해 사용하다 오히려 글의 흐름을 더 어색하게 만들곤 하는 우를 범하기가 쉬운데 이 책은 그런 어색함이 크게 느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지나치게 생생하게 만들고 싶은 마음에 과장된 말이나 상황을 만들어내거나 극적인 인물을 설정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하는 말의 반이 넘게 욕이거나 신조어, 줄임말들이 난무하는 것이 아이들의 실제 모습이라고 하지만 그것을 소설 속으로 옮겨왔을때는 오히려 생생함이 줄어들어거나 인터넷 소설을 보는 듯한 느낌도 들게 만드는데 이 책에서는 그런 부분이 적어 오히려 더 진심같고, 인물에 가까워질 수 있는 도움을 준다. 

 

 두 사람의 주요 인물이 큰 단락을 서로 나누어가며 이야기를 이끌어나가는데, 그 하나는 남강민. 중학생 남자아이로 어머니가 일찍 돌아가셔서 아버지와 형, 세 식구가 같이 산다. 형은 아버지에게 약하고, 나는 형에게 약하고, 아버지는 나에게 약해서 매번 큰소리가 날 때마다 서로 부딪히게 된다. 다른 하나는 최미나. 20대 초반의 과체중 여성으로 부모님, 군대 간 오빠를 두고 외삼촌 집에서 얹혀 생활한다. 서로 얽힐 공통분모 없어 보이는 그 둘은 강민이 키우던 개 찡코를 통해 연결된다. 계속되는 가정 폭력을 견디다 못한 강민은 찡코를 우발적으로 죽이게 되고 찡코의 죽음을 우연한 계기로 알게 된 미나는 그 뒤로 환상같은 과거의 기억을 떠올리게 된다. 두 사람에게는 남에게 채 다 표출하지 못한, 자신조차 어쩌지 못한 아픈 기억이 있었다. 두 사람이 덮어두었던 상처를 다시 끄집어 내어 자신의 마음을 치유하는 과정, 갈가리 찢겨 회생하기 어려워보이던 가정이 그 안에 강렬한 회귀의 욕구를 가지고 있었던 모습, 노력하여 변해가는 흐름을 읽으며 깊은 감동을 받았다.

 

 "오빠에게도 뭔가 아픔이 있을 거예요. 지금도 아파하고 있을지도 모르고. 이렇게 서로가 상처를 덮어 놓고 사는 것은 참 외로운 일이지요. 어쨌든 미나 씨, 고마워요. 그 아픔을 잘 견뎌 주어서. 그리고 힘든 이야기를 내게 들려주어서."

 

다른 사람의 아픔을 덜어주는 일은 대신해서 무언가를 해주거나 큰 위로의 말이나 표현이 필요하다기 보다는 이해해주고 공감해주는 작은 일이다. 상처를 준 사람도 받은 사람도 결국은 상처를 하나씩 갖고 있다. 그 상처를 바라보고 인정하고 치료하지 않은 채 살아가면 사람은 점점 딱딱해지고 굳어져서 외로워지게 되는 것 같다.

 

 엄마의 부재에서 오는 괴로움, 가족끼리 주고 받는 상처가 점점 큰 딱지로 굳어가는 심각함, 학교에서 사회에서 적응하지 못하는 소외감, 치유되지 않은 상처, 잃어버린 기억, 동물의 마음을 읽는 애니멀 커뮤니케이터, 심리치료사, 정신과 상담, 집단 폭행, 친구를 속이고 기만하는 아이들, 탈선 등 우리 사회가 갖고 있는 문제, TV에서 볼 수 있는 호기심 거리들을 한데 잘 어우러 재미있으면서도 읽는 이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좋은 이야기를 풀어내었다.

 

비룡소에서 나온 청소년 도서를 몇 번 접한 적 있었는데, 수줍을 정도로 생생하고 친근한 글을 읽었던 경험이 떠오른다. 청소년들을 위한 책이 상처와 아픔으로 성장해나가는 이야기들로 왜 이렇게나 가득한지 안타까운 마음이지만 알 수 없는 요즘 아이들을 조금 더 이해하기 위한 통로로 생각하며 책을 읽어보고 싶었다. 상처받은 이에게.. 마치 세상에 혼자 남겨져 버려진 것 같을지라도, 사실은 사람 사이가, 세상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함께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줄 것 같은 작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