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사람들
박솔뫼 지음 / 창비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안 넘어져도 자전거를 배울 수 있다(157) "


 나도 모르는 사이에 귀를 기울여 듣게 되는 책이다. ASMR을 글로 옮겨놓으면 이런 느낌일까. 박솔뫼의 문장들을 따라가다 보니 들어도 그만 듣지 않아도 그만인 것 같은 아무렇지도 않은 투로 끊임없이 이런저런 얘기를 유려히 늘어놓는 어떤 목소리를 듣고 있는 느낌이 들었다. 글을 읽는데 소리가 들리는 듯 하다니, 묘하다.


 아주 길고 긴 시를 한 편 읽는 것 같기도 한데, 표제작 '우리의 사람들'에서 숲과 숲에 간 친구들과 숲에 가지 않기로 한 친구들, 그리고 그 사이에 있는 자신을 떠올릴 수 없는 나(25)에 대한 문장들이 특히 매력적이었다. 가장 마음에 들었던 것은 '자전거를 잘 탄다(153)'의 내용이었다. 넘어지면서 배우는 것, 심지어 우리는 술자리 게임을 하면서도 마시면서 배우는 것이라고 하지 않나. 뭐든지 닥치고 깨지고 져봐야 결국 깨우쳐 이길 것이라는 말을 순순하게도 부정한다. 넘어질 것 같으면 이리저리고 피하고 피하다 결국 자전거를 던져 몸만 빠져나와서 까지 넘어지지 않고 배웠다는 얘기가 인상적이었다. 담담한 위로 아니었을까. 굳이 너 자신을 상처입히고 경험이라 위로할 필요 없다고, 넘어지지 않고 이룰 수 있다면 그렇게 성장해도 된다고 얘기해주는 듯 하다.


 아주 오래 전 여의도에서 자전거를 타지 못하는 친구에게 자전거를 가르쳐 준 기억이 있다. 손잡이를 잡은 친구가 발을 구르면 뒤에서 중심을 잡아주며 공원을 한두바퀴 돌자 어느새 손을 떼도 혼자 자전거를 타고 앞으로 나갈 수 있게 되었었다. 저마다 빌린 자전거를 쌩쌩타고 이리저리 공원을 누비는 친구들 사이로 자전거를 못 탄다며 애석해했던 그가 혼자 페달을 굴려 자전거를 탔다는 사실을 알았을때 보였던 웃음이 떠올랐다. 나도 누군가에게 저자처럼 '넘어지지 않고도 배울 수 있음'을 알려주었던 사람으로 기억되길, 바랐다.


 독특한 분위기에 처음엔 조금 묘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재미가 우러나오는 책이었다. 부산 사람과 만나다가 부산시장엘 나가야겠다(166)는 싱거운 농담에도 함께 웃어넘길 수 있는 한자리에 앉아 이런저런 대화를 나누는 친구가 된 기분으로 책을 읽었다. 요즘은 매일이 봄이다. 하루하루가 봄으로 다가가는 날인 것만 같은 때 싱그러움을 담은 푸릇한 표지의 '우리의 사람들'을 들고 밖으로 나가보길 추천한다. 볕 아래서 천천히 읽어보기 좋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