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5일 365일 1
블란카 리핀스카 지음, 심연희 옮김 / 다산책방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야외에 자리를 잡고 앉아 고요한 바다를 바라보았다. 이윽고 와인 한 잔을 들고 온 주인 할머니는 이탈리아어로 무어라 말하며 내 손을 부드럽게 쓰다듬었다. 이럴 수가. 무슨 말을 하는지 한마디도 알아들을 수 없었는데도 뜻은 너무 잘 통했다. 남자란 하나같이 개자식이라 여자의 눈물이 아깝다는 이야기였다.(47) "


 진짜 재밌다. 새롭고 세련된 재미라기 보다는, 너무나 익숙해서 그 전형적인 면이 웃겨서 감탄하며 읽었다. 솔직히 말하면 깔깔대며 읽었다. 환상속의 여자를 찾아 헤매는 남자, 눈 앞에 우연히 스쳐간 현실의 여자를 보자마자 납치 감금 계획을 세운다니. 게다가 그 남자는 거구의 매력적인 이탈리아인이고. 다소 감각적인 도입부를 시작으로 이쪽 분야에 관심이 조금이라도 있었던 사람이라면 어느 정도 제대로 맛은 내겠구나 예감할 수 있을만한 전개가 계속된다. 왜 인기 있었는지 알 것 같은 대기업의 맛, 프랜차이즈의 맛이랄까.

 

 제목만큼 365일의 시간을 준다는 마시모의 제안은 신사적이었다. 그간의 마이크로 데이터를 떠올려봤을때 이 정도면 아주 정중하고 매너있는 남주였고, 이런데도 무조건 거부하고 원래의 삶으로 돌려보내달라고 야수처럼 날뛰는 여주 라우라의 태도가 오히려 어색했다. 고작 총질 한 번에 숨을 못 쉴 정도로 간이 작은 여주가 어째서 목숨을 지킬 방법을 택하지 않는걸까. 무례한 전남친의 모든 행실은 기꺼이 참아주면서 매너있고 잘생기고 부유한 심지어 사람을 감금 살해할 수 있는 남주에게는 야생마처럼 대들다니.

 

 500쪽 가까이나 되는 분량인데 두 사람이 서로 밀당하는 내용이 반복되면서 제대로 된 이야기는 다 진행되지 않은채로 끝나버렸다. 게다가 아주 절묘한 순간에 내용이 끝나버리는 바람에 확실히 뒷이야기가 궁금해진다. 솔직히 말하자면 외국인들의 가치관과 사고방식이 나와는 맞지 않아 이 상황에 왜 이런 반응을 할까 싶을 때도 있지만 전형적인 로맨스 소설의 흐름을 따라가고 있기 때문에 얼마든지 수긍하고 넘어갈만한 내용이다. 365의 가장 큰 장점이자 단점이 전형성아닐까. 쓸데없는 비밀을 만드는 것도 어쩔 수 없이 떨어져야 하는 상황이 생기는 것도 재밌는데 아쉽다.


 마시모가 라우라를 베이비걸이라고 부를때마다 읽는 사람이 다 오그라들 것 같은 애칭이었는데, 어차피 해피엔딩일 결말이 과연 어떤 방식의 해피엔딩이 될지 알면서도 궁금한 책이었다. 간만에 로맨스 소설을 읽으니 평소와는 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었다. 누구나 한때 하이틴 로설에 빠지게 되는 시절이 있지. 아마 이렇게 추억을 느끼며 읽을 수도 있을테고 원래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너무 뻔하다고 불평하면서도 재밌게 볼만한 책이다. 그 유명한 그레이 이후로 수위가 좀 있는 로설들이 나오는가 싶은데 매운맛 중에 순한맛이라고 해야할까. 다른 독자들의 날카로운 평이 궁금해지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