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년과 개
하세 세이슈 지음, 손예리 옮김 / 창심소 / 2021년 2월
평점 :
개와 함께 살고 있는데, 그래서 그런지 길을 걷다가도 지나가는 개들을 보면 시선이 저절로 간다. 개에 대한 소식이 있으면 한번쯤은 보게 되고 또 책이 나왔다는 소식을 보고는 읽어보고 싶어졌다. '소년과 개'를 소개하는 글에 '개를 의인화하지 않고 사람들과의 이야기를 담아'냈다는 미야베 미유키의 코멘트가 인상적이었다. 어린시절 읽었던 시튼의 동물기를 보면 사람의 시점으로 동물의 행동과 심리를 표현했던 것이 떠올랐다. 개를 의인화하지 않았다는 것이 어떤 것일까 직접 읽어보고 싶었다. 그리고 개와 인간이 나눌 수 있는 이야기를 어떻게 담아냈기에 나오키 상을 수상할 수 있었을지도 궁금했다.
여섯개의 큰 이야기를 묶어낸 소설인데 제목인 '소년과 개'는 마지막 꼭지의 제목이었다. 다몬이라는 이름을 가진 개가 사람들을 만나며 각자의 삶과 충돌하는 순간을 다룬다. 막연히 개가 나오니 따뜻하고 좋은 이야기로만 채워져있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첫 인물인 남자, 가즈마사의 결말부터 의외였다. 새 가족들의 품에서 서로 치유와 안정을 주고 받으며 교훈적으로 마무리 될 거라 예상했는데 가즈마사의 잘못된 선택이 계속되며 다몬은 다음 사람과 함께 하게 된다. 다몬이 향하는 남쪽에서 기다리고 있는 것은 무엇일까 궁금하기도 하고 이렇게 사람에 의해 끌려다니는 다몬은 괜찮을까 염려도 되었다.
이야기가 계속될수록 생각보다 더 어두운 내용이 이어졌지만 각자의 상황에 공감이 되기도 했다. 다몬이 가장 힘든 시간에 위로가 되준다는 것, 그게 저자가 생각하는 개와 사람 사이의 유대가 아니었을까 싶어졌다. 실제로 다몬이 만난 사람들에게 위로가 되어주려고 했을지 혹은 사람들이 다몬의 행동에 의미를 부여했을지 모르지만, 다몬이 마지막까지 히카루를 위해서 노력했던 것과 히카루가 그 나름대로 다몬을 기억하는 방식은 소소한 감동을 남겼다.
아마 개와 함께 사는 사람들은 공감할텐데 개들이 얼마나 기민하게 마음을 읽고, 또 존재 자체만으로 위로가 되는지 이 책을 읽으며 다시 생각해보게 될 것이다. 집에 있을 개를 생각하면서 읽었다. 책을 읽다가도 문득 강아지가 보고싶어질 책이다. 밝기만한 이야기는 아니지만 그래도 길을 떠나는 개, 다몬의 여정을 함께 하는 시간동안 위로와 감동을 느낄 수 있을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