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픽 #02 - 멋진 신세계, 2021.1.2.3
문지혁 외 지음 / 다산북스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픽에 대한 소식을 듣고 그 도전이 궁금했다. 문예 계간지라니. 곤궁한 인맥 때문일까 문예지와 계간지를 혹은 그 둘 모두라 할지라도 찾아 읽는 사람을 본 적이 그리 없다. 더 솔직히는 책 읽는 사람마저도 보기 어렵다. 책을 읽는 것이 내밀한 취미생활이 되어버렸는지 인터넷에서는 책 읽는 사람을 찾아보기 어렵지 않은데 실생활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요즘은 미용실에서도 핸드폰을 하지 잡지는 잘 안읽는다. 우리는 하루씩 '읽기'와 멀어지고 있는데, 어쩌면 그 안에서도 확고한 취향이 존재하는가 싶은 픽션과 논픽션을 아우르는 서사 중심의 문학잡지!라는 기조를 내세워 창간할 수 있었을까. 그래서 에픽이 어떤 색을 가지고 어떤 말을 하는지 궁금했다.

 

 에픽의 필진들과 그들의 글을 보면서 불현듯 21세기에 되살아난 살롱문화를 떠올렸다. 에픽은 아마 기획자들이 꿈꾸는 살롱 그 자체가 아닐까 싶다. 이 살롱에 초대받은 자들이 자유롭게 각자가 가진 교양과 지식, 재능을 펼쳐내보이는 모습을 지켜보는 것은 조금 낯설고 또 흥미로웠다. 어떤 글이든 그렇겠지만 에픽 안에서 만난 글에는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한다는 느낌이 더욱 강했다. 그래서 확신의 수요가 있을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자유로운 발언을 할 수 있는 거대한 사교모임의 장을 열고자 한 느낌이다. 에픽이 그들만의 리그처럼 느껴지게 될 것인지, 협업과 기획으로 분야를 넘나드는 플랫폼이 될 것인지 앞으로가 기대된다.

 

 '모든 텍스트는 문학이다'라는 문구가 강렬한 이 문예지를 읽으며 새로운 재미를 느꼈다. 평소 다른 분야의 글들보다는 소설 읽는 것을 가장 편하게 느끼는데 에픽 안에서는 오히려 논픽션 쪽의 글이 더욱 흥미로웠다. 몰랐는데 나 르포 좋아하네. 여성 노숙인의 이야기를 다룬 구술생애사 최현숙의 글이나 응급실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룬 남궁인의 글이 가장 인상깊은 꼭지였다. 솔직히 이 두 글의 방향성이 어떠하리라고 예상한 정도의 범위안에 있다는 점('여성' 노숙인의 현실을 통해 여성주의 담론으로 확장되는, 응급실 근무의 어려움, 사명감 그리고 노동자들의 처우 같은)은 아쉽지만, 그래도 매번 타인의 삶 - 그것도 쉽게 경험해보기 힘든 삶을 살아가는 이들의 삶을 건너볼 수 있다는 것은 매번 흥미를 끈다.

 

 그렇다고 해서 픽션이 마냥 열세였다는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도 글의 강렬함이야 제목부터 남다른 김홍의 '이인제의 나라'를 넘어설 수는 없겠지만, 아니 애초에 왜 '이인제'일까. 개인적인 감상이야 어찌되었든 암튼 이 제목을 이인제씨가 좋아합니다. '이인제의 나라'라니 정치인에게는 정치 인생의 꿈같은 제목 아닌가. 그리고 필진 중 가장 익숙하고 반가운 이름이었던 황정은 작가의 글도 기대되었었다. 공교롭게도 '기담'에서 " 남자는 궁지에 몰린 사람처럼 현관 안쪽으로 안쪽으로 뒷걸음질하면서 알고 있다고, 아이가 많이 뛴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답했다. 저도 아이를 혼내고는 있는데요, 그래도 생각을 좀 해주셨으면 하는 게요...... 이 이상 아이를 컨트롤하려면 때리는 수밖에 없다고 그는 말했다. 뭐라고요? 제가 아이를 때릴 수밖에 없어요.(320) " 요즘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층간소음과 폭력 모두를 내포하고 있는 내용에 깜짝 놀랐다.  

 

 에픽을 처음 읽어본 나로서는 확실히 낯선 느낌을 받았다. 이것이 요즘 사람들이 유료회원으로 가입한다던 살롱문화 같은 것인가 싶기도 했고, 새로운 문예계간지의 등장이 어떤 변화를 일으킬지 궁금해지기도 했다. 이 첫만남으로는 아직 확신할 수 없지만 창간호와 그 다음호에 들이는 각오가 흔들림없이 이 다음 에픽에서도 유지된다면. 우리에게 이것이 부재했고, 이것이 필요했다.는 확고한 의지가 느껴진다면 앞으로도 에픽의 계절을 기다리게 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