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낌없이 살아보는 중입니다
임현주 지음 / 유영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뉴스를 볼 때도 그렇지만, 어떤 프로그램을 볼 때 진행자가 남녀의 조합으로 있으면 가끔 물끄러미 기울기를 가늠해볼때가 있다. 주요한 흐름을 전달하는 역할은 누가 하는지, 연령대는 어떻게 되는지, 경력은 어떤지, 그들 사이의 비언어적 신호는 어떤지, 외모는 어떤지, 심지어 안경을 썼는지 아닌지 같은 것들도. 예민한가? 그렇게 생각할수도 있겠지만 반대로 당신의 무심함을 자각해보면 어떨까. 몇번만 살펴봐도 은근하고 확연한 불균형을 감지할 수 있다. 에세이에서 가장 처음 마주치게 된 "잘 버텼어."(26)라는 말과 "언제까지 선택받아야 할까?(37)"의 내용을 읽고 잠시 마음을 가다듬고 읽었다.

 

 틀에 박힌 역할을 사양(243)하는 것처럼 책의 내용은 다소 덜 정리된 분위기였다. 개인적으로는 좀 아쉬운 부분이지만 어찌보면 그때그때의 솔직한 심경을 그대로 드러낸 모습으로도 느껴진다. 책을 읽기 전과 초반부에 아나운서로 생활하면서 풀어내고 싶었던 경험과 생각을 차분한 흐름으로 묶었을 것이라 예상했던 것과는 또 달랐다. 생각의 흐름을 그대로 옮겨놓은 듯이 내용이 바뀌면서 글의 분위기도 조금씩 달라지는 것이 느껴졌다. 개성이 묻어났다. 콩국수 한 입 때문에도 화내는 면(107)이 있는, 팬 앞에서 어색해하는(222), 여성주의(194)라는 단어를 표현하는 사람이었다. 사람은 누구나 그렇지, 싶으면서도 하나같이 매력있었다.

 

 그의 다양한 면모는 책 속에 고스란히 녹아들어 가족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는 아는 지인처럼도 느껴지고, 라오스나 순천 다녀온 내용을 읽다보면 살짝 아쉬운 여행 에세이 속의 젊은 여행자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 같고, '안경'에 대한 얘기를 꺼내들었을때는 또 한동안 매체에서 몇번이고 되풀이해서 조명했던 소문의 그 아나운서의 소신을 만나는 것 같았다. 그러다 문득 계속해서 평가하는 눈을 하고 있었던가 싶어 스스로도 그에게 '예쁜 여자 아나운서'라는 타이틀을 붙여놓고 선입견으로 바라본 건 아닐까 생각했다. 읽다가 잠깐 멈추고 내 안의 선입견을 찾아내는 시간도 가졌다.

 

 솔직히 최근에 읽은 몇몇 에세이들만큼 피부에 와닿는 공감을 하기는 어려웠다. 슬프게도 세대차이로 오는 엇갈림같았다. 그의 지금을 현재로 같이 나눈다면 좋겠지만 요즘은 중년에 들어서는 사람들의 관심사가 자꾸 궁금해진다. 다만 나랑 좀 다르면서도 같다고 생각하며 읽은 것 중 가장 공감을 많이 한 것이 '브래지어 없는 날(177)'의 내용이었다. 겨울이 반가운 이유 중 하나는 노브라여도 크게 불편함이 없다는 것에도 있다. 아무래도 여름처럼 옷이 얇을 때는 브래지어를 하지 않고 바깥을 나서기는 어색하다. 누가 뭐래지 않더라도 시선이 달갑지 않은 탓도 크다. 브래지어를 하지 않고 카메라 앞에 서기로 마음먹고 실천했다는 것이 또 한층 달라보였다. 대단했다.

 

 솔직히 임현주 아나운서에 대해서는 단편적인 일화와 이미지만을 알고 있었는데 책을 읽고 나니 좀 가까워진듯한 기분이 들었다. 앞으로 텔레비전에서 만나게 될 때는 어떤 생각을 어떤 태도로 드러내고 있을까 궁금해하며 볼 것 같다. 책이 완전히 만족스러운 깔끔함을 담아내지는 않았지만 아주 솔직하고 기대 이상으로 거침없는 공개였다는 점은 좋았다. 첫번째 에세이라는 말이 처음엔 어색했는데, 다음을 기대해도 괜찮을 것 같은 여지로 느껴졌다. 아마 그는 자신의 성장과 원숙해짐을 특유의 솔직함으로 담아낼 것이라 예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