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과 비평 189호 - 2020.가을
창작과비평 편집부 지음 / 창비 / 2020년 9월
평점 :
품절


 

  창작과 비평의 2020년 가을호 계간지가 나왔다. 계간지를 읽은 것이 십여년 전이었는데, 그때보다 지금 더 새삼스러운 마음으로 계절을 받는다. 시간과 계절의 흐름을 손안에 들어오는 책 한 권으로 느낀다는 것이 이제는 왜 남다른 느낌이 들까. 계간지를 읽는 방식이 달라져서 그런지, 시간이 흘렀기 때문인지 모르겠지만 지금이 훨씬 즐겁다.

 

 여름호를 읽는 동안은 우한 폐렴의 직격탄을 맞은 생생한 상흔이 고스란히 느껴졌다면 가을호에서는 아마 이어지는 삶에 대한 내용이 들어있지 않을까 싶었다. 특집으로 다루고 있는 코로나 19를 보며 역시, 하고는 계속해서 막막했다. 이어지는 흐름으로 리베카 솔닛의 글을 실은 현장 부분도 흥미로웠다. '팬데믹과 마스크 쓰지 않는 남자들'이라니.  

 

 작가조명에는 출간전 미리보기를 했었던 '철도원 삼대'의 황석영 작가가 등장했다. 제목이나 작가나 전부 독자에게 한껏 부담을 주는 이름들이다. 삼대 그리고 황석영. 내심 작가조명에 등장한 노작가를 향한 치켜세움을 의심하던 눈길도, 스스로에게 읽고 싶은 것만 읽어도 된다고 습관적인 관대함을 펼치려던 마음도 접었다. 작가조명을 통해 책도 다시보게 되었다.

 

 가을을 보내는 동안 천천히 아직 더 읽어야하지만 미리 기록해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