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기할까 했더니 아직 1라운드 - 미래가 두려운 십대에게 챔피언이 건네는 격한 응원 십대를 위한 자존감 수업 2
김남훈 지음 / 자음과모음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십대를 위한 자존감 수업 시리즈의 두번째 책이다. 진짜 십대들에게 이야기하듯, 강연하듯한 문체로 써있기 때문에 누군가 나에게 이런 말투로 말하는데 익숙하지 않은 나이가 된 입장에서는 어색했다. 어, 뭐야. 대뜸 말부터 편하게 하는데 꼰대아닌가. 요즘은 초면에 반말하면 노인에게도 무례하다고 하던데 설정 잘못 잡은거 아닌가, 싶었다. 텔레비전 채널이 세 개 밖에 없었다는 말로 시작하는 내용도 그랬다. 라떼는 말이야, 하고 시작하는 얘기가 얼마나 십대에게 어필할 수 있을까 싶기도하고 그래도 이비에스 포함 다섯개는 있었던 것 같은데 싶은 의문도 들었다. 무슨 얘기를 할까? 이 얘기들이 십대들의 자존감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지? 이런 생각을 하면서 뜯어보듯 책을 읽었다.


 어떤 핵심어가 유행을 하기 시작하면 조금 지겨워진다. 요즘 유행하는 MBTI도 좀 질렸다. 이 역시 절대적인 것도 아니고, 시간이 더 지나고나면 혈액형이나 별자리같은 것처럼 맹신할만한 게 아니라는 말이 나오지 않을까. 퍼스널 컬러에 대한 자료가 쏟아지던 때가 지나고 퍼스널 컬러에 의존하지말고 입고 싶은, 쓰고 싶은 색을 자유롭게 쓰면서 살자는 말이 나온 것처럼. 자존감이라는 말도 사실 그렇다. 특히 자존감을 좀 과하게 해석해서 적용하는 경우를 몇 번 보고나니 갑자기 유행한 자존감이란 말이 오히려 그걸 의식하게 만들고, 자기 자신을 쪼아대고 있는 건 아닌가 싶어졌었다. 다른 사람에게도 자존감이 부족하다, 자존심을 자존감으로 착각한다, 같은 평가를 하기도 하고.


 다행히 저자의 얘기는 재밌다. 스스로를 사랑하세요, 당신은 소중한 사람입니다. 같은 말을 분위기잡고 하는 게 아니라 나는 이렇게 살았는데, 살아보니 이렇더라.는 말을 최대한 진솔하고 경쾌한 어조로 전한다. 게다가 범상치않은 삶을 살아온 탓에 흔한 자기자랑으로 들릴 법한 과거사도 꽤 흥미롭다. 저자가 소년원, 이제는 00정보통신학교로 불리는 청소년 교화기관의 강사로 많이 강연하러 간다고 하는데 그 이유를 알 것 같다. 한껏 거친 청소년들의 외모에 밀릴 것 같지 않은 체격과 외모도 장점이 될 테고, 프로레슬링 선수라는 직업도 관심을 끌만한 요소일 것이다. 게다가 잠재적 고객들을 향한 확실한 서비스 마인드까지 갖춘, 시원시원한 솔직함이 읽으면서도 매력으로 다가왔다.     


 오토바이를 타고 동쪽으로 달리고, 언박싱을 좋아하고, 프로레슬링 경기를 하는 것을 행복으로 꼽는 40대는 많지 않을 것이다. 솔직하다고 생각되면서도 주책이라고 느끼기도 했다. 스파링을 하다 십대에게 얻어맞고, 상대를 얕잡아봤다가 창피만 남은 일들은 주변의 누군가에게 있었다면 그런 위험한 일 그만하라고 했을지도 모른다. 그런데 저자가 드러내는 이 자기 자신의 모습이 오히려 십대들에게는 벽을 허무는 역할을 하지 않았을까 싶어졌다. 처음 이 사람 꼰대아닌가 싶었던 의심이 옅어지면서 점점 더 편한 마음으로 책을 읽었다. '가드 올리고 한 발 앞으로' 나아가라고만 할 것 같다가도 청소, 요리, 정리정돈을 해야 한다고 말하는 꼼꼼함에 감탄했다.


 저자의 이력만큼이나 독특한 분위기의 책이었다. 저자가 어떤 사람인지 궁금해서 검색해봤더니, 확실히 강렬한 인상이었다. 책을 읽으면서 계속해서 강조했던 외모와 어울리지 않는 말빨과 문장력에 대한 언급이 어떤 의미였는지 이해가 갔다. 프로레슬러로 챔피언도 하고, 오토바이를 타는 취미를 즐기는 거친 면모를 가지고 있으면서, 20년 동안 방송일을 할 정도로 말을 잘하고, 책도 쓸만큼 글도 잘 쓰는 것을 직접 보니 신기했다. 이런 사람들은 뭐라도 했을 법한, 나와 다른 성향을 가진 사람인것처럼 보이기도 했다. 하지만 정말 네가 원하고 도전하면 뭐든지 할 수 있다고 보여주는 증인처럼도 보였다. 특히 남자 청소년들이 관심을 갖고 재밌게 읽을만한 책이 아닐까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