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개 도시로 읽는 세계사 - 세계 문명을 단숨에 독파하는 역사 이야기 30개 도시로 읽는 시리즈
조 지무쇼 엮음, 최미숙 옮김, 진노 마사후미 감수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점이든, 혹 어느 곳에서든 '30개 도시로 읽는 세계사'의 표지를 마주하게 되면 어떤 행동을 하게 될까? 자신도 모르게 30개 도시 중에 익숙한 이름이 있을지 서둘러 목록을 살펴보는 일을 했을 것이다. 우리나라가 면적이 작긴 하지만 나름 '현존하는 최고의' 수식을 붙인 기록물들도 많고, 30개나 되는 목록에 빠질만한 이유도 없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안고서. 익숙한 도시 이름이 있긴 하지만, 우리가 찾던 도시는 없을 것이다. 세계 문명과 한국은 어쩌면 큰 상관이 없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아시아의 다른 나라들이 자신의 도시를 올려놓은 것을 보면 어찌됐든 입맛은 쓰다. 미리 알려두지만 우리나라는 목록에 없다. 얼마나 대단한 역사를 풀어내려고 한국을 빼놨을지 단단해진 눈매로 책을 읽기 시작했다.

 

 생각보다 딱딱한 내용이었다. 350쪽 정도 되는 분량에 30개의 도시들을 넣어두려면, 거기다 세계 문명의 역사를 얽어놓기까지에는 너무나 많은 내용을 담아둘 수 없을테니 좀 더 가볍고 부드러운 흐름으로 되어 있지 않을까 예상했었다. 하지만 뜻밖에 간결한 문장으로 정리된 정보를 빼곡히 담아두고 있었다. 생각보다 정보의 양이 많기 때문에 잘 몰랐던 도시들에 대해 신기하게 생각하기도 하고, 수업 교재 보는 듯한 마음으로 읽기도 했다. 어떤 기준으로 도시들을 선별해서 넣었는지 명확한 설명이 있다면 더 좋았을 것 같다. 도시별로 편차가 느껴지기도 하고, 도시라는 키워드가 유행이 되어서 이용된 것인지, 문명을 중심으로 형성된 세계사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한 키워드이기 때문인지 불분명한 느낌이다.

 

 읽으면서 같은 아시아 국가이기도 하고, 최근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중국편'을 읽어본 탓에 장안과 베이징에 대한 내용이 눈에 많이 들어왔다. 중국은 문명의 발생지 중 하나이기도 하고, 큰 땅덩이 안에서 현재까지 오랜시간동안 아시아 지역의 한 축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두 도시나 꼽히게 된 것도 이해가 됐다. 과거 실크로드를 통한 서역과의 문화교류까지 영향력이 크기 때문이다. 하지만 더불어서 교토가 함께 소개된 데에는 좀 아쉬웠다. 2차 세계대전 당시의 일본의 야만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는 세계사라면 모를까, 일본의 오랜 수도로서 교토가 세계사적으로 갖는 의미는 딱히 없다. 관광 안내서도 아니고, "전 세계의 관광객을 매료시키고 있다(128)"는 끝맺음이 어색했다. 상하이에 대한 내용도 다소 부실한 게 아닌가 싶었다. 

 

 어느새 도시에 대해 평가를 하며 책을 읽고 있었다. 세계사적으로 의미가 있는 도시가 맞을까, 제외된 도시들보다 더 나은 점이 있는걸까, 자신만의 도시목록을 만들어 볼 수도 있겠다. 개인적으로 우리나라 도시 하나만 넣어줬어도 좀 덜 모나게 읽었을 것 같은 느낌이 들지만, 어쨌든 담고 있는 정보들은 꽤 유익한 책이다. 평소 세계사를 좋아하고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넓고 얕은 지식을 수집하는 단계에서 순수히 재미를 느끼며 읽게되지 않을까 싶다. 어쩌면 수능 사회탐구 세계사 선택을 한 학생에게도 이 책을 한 번 읽어보는게 좀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 각종 그림과 지도, 사진 자료들도 함께 제시하고 있고 지리적, 역사적 내용도 골고루 담고 있어 책을 읽는 것처럼 공부를 할 수 있다. 보통 세계사에 관심이 있어도 시간 순서대로, 대륙별로 너무나 크고 넓은 범위 때문에 부담스러울 수 있는데, 그런 부담없이 접할 수 있는 접근 방법이 매력적인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