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읽는 엄마
신현림 지음 / 놀 / 2018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삶은 생각보다 길지 않다. 함께하는 시간도 유한하다. 나이가 들수록 이런 사실을 절절히 깨닫는다. 추억을 함께한 때만이 서로를 기억할 수 있다. 우리가 잘 살아가려면 제대로 사랑하는 법밖엔 없다. 더 많이 사랑하고 더 많이 추억을 쌓으려면, 혈육일지라도 관계를 단단히 재정립할 시간이 필요하다. 좋은 관계는 서로 배우면서 성장한다. 그럴 때 인생은 더 깊고 숭고해진다. p.7 _ 프롤로그 "

 

 신현림의 '시 읽는 엄마'를 읽으며 정신없이 회전문을 빙글빙글 돌아나오는 기분을 맛봤다. 책을 읽으면서, 개인적으로는, 그 책에 대한 전체적인 호불호를 가늠하게 되는 편이다. 일주일에 한두권은 시집을 읽어보기로 노력하고 있는 와중에 시와 얽혀진, 그것도 오랜만에 읽게 되는 에세이를 마주하게 되어 내심 시도 읽고 편독하는 장르인 에세이도 읽게 되니 일석이조구나 계산했다. 다만 그것이 꼭 마음에 든다는 법은 없었다. 에세이는 개인의 내밀한 체험이나 생각이 녹아있기 때문에 사건에 대한 세대적으로나 관점적인 차이가 두드러지게 와닿는 것 같다. 개인적으로는 그랬다.

 

 " 살다 보면 가족이나 친구, 지인과 의견 충돌을 피할 수 없을 때가 있다. 그런 의견 차이를 다툼으로 끝내는 관계를 보면 서로를 더 이해하면 친해질 수 있는데, 하는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다들 자존심이 철근같이 세다. 시간이 지나면 그 자존심도 양파 껍질처럼 아무것도 아닌데 말이다. 사람과 사람 사이가 깨지는 원인을 잠잠히 들여다보면, 거의가 말에서 비롯되는 것 같다. p.63 _ 지금 세계가 필요로 하는 것 "

 

 주로 딸과의 관계, 어머니와 자신의 관계에 집중하는 내용이지만 그 안에서 인간관계에 대한 폭 넓고 깊이 있는 내용들도 발견한다. 의견 충돌로 인한 것이 아니더라도 나이를 먹을수록 자신과 맞지 않는다고 느껴지는 관계를 더 쉽게 끊어버리게 된다. '나이먹으면 친구 사귀기도 힘들다' 는 말이 왜 생겨났는지 느껴진다. 세월에 따라 어느 정도 정립된 세계와 패턴이 타인으로 인해 유연해지기 힘든 것이다. 때문에 내가 남을 끊기도 하지만 남이 나를 끊어내는 경우도 있다. 개인적으로 이 문제에 대해 생각이 많은 시기에 읽었던 터라 인상깊었던 부분이었다.

 

 저자가 딸을 낳으며 느끼게 되는 모성과 관련된 부분은 경험해보지 못한 일이라 그런지, 혹 '케빈에 대하여'나 '다섯째 아이'를 강렬하게 본 탓인지 좀 어색했다. 혼자 속으로 과연 모성이 모두에게 다 주어지는 것일까! 아이를 혼자 감당하기까지의 여건이 저자에게도 이리 어려운데 다른 처지의 사람은 어떤 선택을 할까! 애초에 선택도 못하지만! 등등의 궁시렁을 삼켰다. 저자가 전달하는 계획에 없던 일이지만 뱃속에서 느껴지는 생명의 소중함, 삶의 지탱이 되는 자식의 의미, 여자의 삶에 의지가 되는 딸의 존재 등등의 내용은 공익광고 같은 장점의 극대화와 정보 전달의 깔끔함이 느껴진다. 마치 아이 계획이 없다는 사람에게 '낳아봐, 니 자식 낳으면 생각이 달라질걸?' 이라고 말하는 사람 앞에서 느껴지는 난감함이랄까.

 

 거기에 책의 마무리는 우리나라를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전통문화를 사랑하는 사람으로 성장하길 바란다며 끝을 맺는다. 갑작스럽게 애국심이 등장하며 마무리 된 탓에 이렇게 끝난 것이 맞나 의아했다. 출산장려와 모성애, 모국어와 전통문화로 이어지는 애국심까지 진짜 요즘 시기에 사회가 원하는 공익광고의 내용인가 싶은 것이다. 물론 딸에게 보여주고 싶다는 생각으로 쓴 내용이라면 이렇게 건-전할 수 있다고 이해됐다. 하지만 그보다 더 인간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삶을 날 것으로 보고 싶었다는 생각이 있었던 것 같다. 

 

 나와는 감성이 좀 다른가보네, 하고 읽다가도 어떤 부분은 '그래 우리 삶에는 이런 결이 있었지, 서로 무늬는 달라도 삶을 살면서 같은 결을 나이테처럼 쌓아가고 있구나' 싶어지기도 했다. 그런 부분들이 반복되면서 이 책 괜찮네 혹은 나랑은 좀 안 맞는 부분이 있네 하는 마음이 정신없이 회전문처럼 오갔다. 하지만 읽고 난 뒤에 시간이 흐르면 흐를수록 어쩌면 시간이 더 지나고 더 많은 것들을 경험하고 나면 지금은 공감하지 못하는 부분들에 대해 더 이해하게 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