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패스트 러너 - 변화에 강한 사람들은 어떻게 살아남는가
한상만 지음 / 청림출판 / 2025년 10월
평점 :
도서 제목이나 표지를 볼 때는 러너가 달리는 사람으로 오해할 수도 있겠지만, 배우는 사람을 의미한다. 시대와 트렌드에 따라서 배우는 것에 대한 의미의 본질은 큰 변화가 없을 수도 있겠지만, 배워서 추구하는 대상은 변할 수 있다고 생각이든다. 변화에 강한 사람이 되어야한다고 본다. 변화의 흐름은 우리가 어떻게 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대체될 수 없으면, 뒤처지는 것은 이제 당연지사가 될 수 밖에 없다. AI는 우리 인간들보다는 적어도 몇 배는 뛰어난 능력을 갖고 있기때문이다. 누구보다 빠르게, 누구보다 다르게 배우고 똑똑하게 대처해야만한다. 민첩성이라는 것이 운동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학습에도 이제는 스펙트럼이 넓어지는 셈이다.
이 도서의 저자는 한상만 선생님이신데, 25년 경력의 인재개발 코칭전문가시다. 학습도 빠르게 패워야한다고 강조한다. 진도를 빠르게 하라는 것보다, 변화에 민첩하게 반응하면서 그런 것들을 배워야하는 것이 아닐까? 예를 들어서 법. 판사나 검사는 법이라는 잣대안에 제시하고 판결을 내리는데, 이러한 것들도 AI가 대체할 수 있다. 그러면 사법고시를 준비하거나 합격하신 분들의 공부한 내용이 나중에는 무의미하거나 쓸모가 없을 수도 있다. 일자리까지 빼앗기는 것이다. 학습민첩성을 간단히 이야기하자면, 처음 접하고 어려운 상황에서 성과를 내기 위해 새로운 역량을 학습하려는 의지와 능력이다. 변동적이고 Volatility , 불확실하고 Uncertainty, 복잡하고 Complexity, 모호한 Ambiguity 인 VUCA시대에 가장 확실한 투자처는 바로 자신의 실력이다.
자신의 역량을 정확히 찾아서 인지를 하고, 강점도 무엇인지 찾아야만한다. 내가 어떠한 노력을 해서 성장형 인재가 되는 것도 중요할 것이다. 수명이 늘어났기에 편하게 탱자탱자 사는 것이 아니라,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은 무조건 필수이지 않을까? 그렇게 본다. 이 상황을 인정하고 받아야할 준비가 필요하다. 기회는 준비하는 사람에게 먼저 찾아오는 것이다. 내가 준비하고 마음을 쓴 만큼 남은 인생이 달라진다. 더 열심히 공부하고 학습민첩성을 키워야 겠다. 인간의 속도와 리듬, 그리고 방향성에 관한 총체적인 성찰이다. 빠르기만 한 세상에서 나만의 속도를 찾는 일은 단순한 자기 계발이 아니라 생존 전략이다. 동기부여에 그치지 않고, 현실적이고 뼈를 때리는 조언들로 가득하다. 인생은 달리기지만, 이제는 조금 더 빨리 뛰어야겠다. 페이스를 조절해 나가면서.
출판사의 지원으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