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성적이지만 말 잘하고 싶습니다
조현지 지음 / 빅마우스 / 2025년 3월
평점 :
말이라는 건 양날의 칼인 것 같다. 말을 잘하면 상대방에게도 기분좋게할 수 있고, 관계가 유지도 될 수 있는데, 그 반대의 경우라면 상처주고, 사이가 틀어질 수도 있다. 그만큼 말은 어렵고 또 어려운 것이다. 그렇기에 말하는 방법을 배우려고하고, 화술관련해서 책들이 많이 나오는가보다. 그리고 또 궁금한 것이 말을 잘하는 사람은 말을 하기전에 어떻게 생각을하고, 어떻게 연습을 했는가...? 이다. 더군다나 성격까지 내향적이면 문제가 될 수도 있다고 보았다. 자신감도 결여되어 보일 수도 있고, 어눌하게 보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SPEAK은 다 알겠지만 말하다는 뜻이다. 그런데 이니셜로 그렇게 분리를해서 소개를하니 더 신선하고 충분히 실천만 가능하다면 얼마든지 극복할 수 있다는 의미가 아닐까? 그렇게 생각도 가져보았다.이 도서의 저자인 조현지 커뮤니케이션학 박사인데, 나답게 말을 잘하는 나를 찾아가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그러면서 나를 발견하고 당당히 사람들에게도 표현을 할 수 있게끔 궁극적인 목표를 추구한다. ‘See(내면 관찰하기)’, ‘Practice(혼잣말 실행하기)’, ‘Express(타인에게 표현하기)’, ‘Attention(주의 사로잡기)’, ‘Keep(지속하기)’ 등 총 5단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나도 성격이 내성적이라 나에게도 적합한 도서라 여겨서 기분이 좋았다.
말실수가 곧 실점이라고 생각한다. 말을 잘하는 건 둘째치고, 말 실수를 하지 않는 것도 더 중요하다고 생각이 들어서다. 하나는 상대의 동의 없이 하대하는 경우다. 이 경우는 존중이 없는 걸로 봐야한다. 존중이 없으면 상대방으로부터 신뢰감을 얻을 수 있고, 예측치 못한 상황에서도 상대방에게 실수를 할 확률이 줄어든다. 자신감있게 말하는 것은 좋다. 흔히 직설적인 화법이라고 들어는 보았을 텐데, 돌려말하지 않고, 대놓고 할 말 다하는 화법. 그런데 이런 경우로 직장 내 괴롭힘도 되는 경우가 종종있다고한다. 말이 단순하게 괴롭힘으로 끝나는게 아니라, 피해자들엑 정신적 고통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원칙도 지키면 도움이 되겠지만, 이 원칙은 정말로 꼭 지켜야겠다. 어떻게 말을 하느냐에 따라서 그 사람의 품위와 인격도 고스란히 묻어나오는 것이기 때문이다. 어쩌면 이렇게 하는 것이 상대방도 나도 서로 원하는 바일 수도 있다고 여겨진다. 인터넷 악플도 말로 하는게 아닐 뿐이지 언어폭력이나 다름없지 않는가...? 이 책을 참고삼아서 나만의 말하기 원칙을 새로 정립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출판사의 지원으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