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은 그렇게 끝나지 않는다
줄리언 반스.팻 캐바나 지음, 최세희 옮김 / 다산책방 / 2014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N22021

누군가가 기억한다면 곁에 없더라도 사라지는것은 아니다. 사랑은 그렇게 끝나지 않는다.


"줄리언 반스"의 <사랑은 그렇게 끝나지 않는다>는 소설인지 에세이인지 다소 모호한 작품이다. 하지만 이러한 점이 이야기의 흡입력을 높게 해준다. 소설의 재미와 에세이의 진정성을 모두 느낄 수 있다.


영어의 원제는 <Levels of Life>로, <비상의 죄>, <평지에서>, <깊이의 상실> 세개의 장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이야기는 독립적이면서도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첫번째 장은 하늘을, 두번째 장은 땅을, 세번째 장은 지하(죽음)를 배경으로 한다.




<비상의 죄>

이 장에서 "줄리언 반스"는 열기구의 개척자이며 사진작가인 실제인물 "나다르"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보헤미안으로 살아가고 싶었던 그는 무작정 하늘을 갈망한다. 책을 읽으면서 "줄리언 반스"는 왜 "나다르"에 대한 이야기를 첫장에서 다루고 있는지 몰랐었는데, 해설을 읽고나서 어렴풋하게 이해가 되었다. 상승과 추락을 할 수 밖에 없는 기구를 통해 그는 자유를 갈망하지만 결국은 제자리로 돌아올 수 밖에 없는 인간의 슬픔을 이야기 하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기구는 자유를 대변했다. 그러나 그 자유는 바람과 날씨의 권력에 영합하는 자유였다.]  P.21

[태초부터 새들에게 날개가 있었으니, 새는 신이 만드신 것이었다. 천사들에게 날개가 있었으니, 천사는 신이 만드신 것이었다. 남자와 여자는 긴 다리와 아무것도 달리지 않은 빈 등을 타고났으니, 신이 이유가 있어 그리 만드신 것이었다. 하늘을 나는 문제에 개입하는 건 신의 섭리를 거스르는 행위였다. 오랜 투쟁과 교훈적인 전설을 증명하는 거나 다름없는 행위였다.]  P.23




<평지에서>

이 장에서는 "나다르"와 마찬가지로 기구에 빠져서 사는 또다른 인물인 "버나비"와 그가 사랑하는 여인 "베르나르"와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자유로운 보헤미안이었던 "버나비"와 "베르나르", 하지만 사랑에 대한 두 사람의 생각이 달랐다. 그녀와 결혼하여 영원한 사랑의 비상을 꿈꿨던 "버나비",  하지먀 "베르나르"는 그와의 사랑은 일시적일 뿐이며, 열기구가 예측할 수 없는 바람에 기댈 수 밖에 없듯이 그에 대한 그녀의 사랑은 일시적일 뿐이라고 생각하여 그의 청혼을 거절한다.

[모든 사랑 이야기는 잠재적으로 비탄의 이야기이다. 처음에는 아니었대도, 결국 그렇게 된다. 누군가는 예외였다해도, 다른 사람에겐 어김없다. 때로는 둘 모두에게 해당되기도 한다.]  P.60

[그는 3개월 동안 그의 능력껏 그녀를 사랑했고, 그녀 역시 마찬가지였다. 다만, 그녀의 사랑에 타임스위치가 내장되어 있었던 것 뿐이다.]  P.101



그리고 "버나비"는 그녀를 떠나고 이후 다른 여인과 결혼한다. "베르나르" 역시 그녀의 말과는 다르게 다른 남자와 결혼한다. 그렇게 둘의 사랑은 끝이 났지만, "버나비"는 그녀를 잊지 못하고 하늘에 떠있는 기구 안에서 그녀와 함께 비상하지 못함을 안타까워 한다.

[그는 그들이 커플이 되어, 떨어져 있던 것을 하나로 이어, 하나의 삶을 이루어가는 모습을 그려보았다. 그의 상상 속에서 그들은 언제나 움직이고 있었다. 그는, 그들은, 위로 날아오르고 있었다.]  P.81

[지금, 하늘에 둥둥 떠있는 그의 귀에는 오로지 그녀의 음성만 들려왔다. 몽 셰르 카피텐 프레드, 수많은 세월이 흘렀는데도 그 말에 여전히 가슴이 아렸다.]  P.104




<깊이의 상실>

이 책의 하이라이트는 바로 마지막 장인 <깊이의 상실>이다. 이 장에서 "줄리언 반스"는 그가 너무나 사랑했던 아내를 갑작스럽게 잃고나서 그가 느꼈던 절망의 감정을 처절하게 표현하고 있다. 너무나 사랑했기에 그의 상실감은 너무나 컸었고, 아내 없이 혼자서 지내야 했던 그의 삶은 처절하기만 하다. "줄리언 반스"는 슬픔을 토해내지 않는다. 그저 담담하게 이야기한다. 그래서 더 아련하게 읽었다. 누군가의 영원한 부재는 슬프기만 하다.

[그렇게 사라진 빈자리는 애초에 그 자리에 있었던 것의 총합보다 크다. 이는 수학적으로는 가능하지 않은 일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감정적으로는 가능하다.]  P.109

[누군가가 죽었다는 사실은 그들이 살아 있지 않다는 것을 의미할지 모르지만, 그렇다고 그들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건 아니다.]  P.169



첫장에서 마지막장으로 갈수록 배경의 고도가 위에서 아래로 낮아지는데, 반대로 슬픔은 마지막 장으로 갈수록 더 깊어진다. 상실은 너무나 슬프다. 그래도 살아남은 사람은 어떻게든 견뎌야 한다. 그래야 사랑을 기억할 수 있으니까, 그래야 사랑은 끝나지 않으니까 말이다.

댓글(20) 먼댓글(0) 좋아요(4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삭매냐 2022-02-04 19:30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줄리언 반스의 책을 제법
읽었는데 이 책은 읽었는지
읽지 않았는지 기억이 가물
가물하네요...

새파랑 2022-02-04 19:34   좋아요 3 | URL
이 책은 그렇게 유명한 책은 아닌거 같아요. 전 제목에 끌려서 먼저 읽었는데 아주 만족했습니다 ㅋ 다 읽고 나서 딴 책을 읽을 수 없었어요 ^^

청아 2022-02-04 19:43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60페이지의 대목은 유명한지 많이 들어본것 같아요! 별이 다섯개인데다 208페이지라니 바로 찜입니다. 새파랑님 불금 즐겁게 보내세요😄

새파랑 2022-02-04 20:12   좋아요 4 | URL
페이지가 적은데 종이가 두꺼워서 책은 두툼합니다 ^^ 이 책 좋아요 ㅋ 읽다보면 책을 내려놓을 수 없어요. 미미님도 아름답게 금요일 보내세요 😆

페넬로페 2022-02-04 20:16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하늘, 땅, 죽음~~
내용이 의미심장할 듯 해요^^
그 중에서 역시나 죽음은 제일 힘든것 같아요^^
자유를 갈망하지만 결국 돌아올 수밖에 없는 인간의 숙명이 참 슬픕니다^^

새파랑 2022-02-04 20:22   좋아요 5 | URL
최근에 읽은 책들이 다 좀 슬픈 책들이었어요 ㅜㅜ 오늘은 좀 안슬픈 책을 꺼내야 겠어요 ^^ 페넬로페님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mini74 2022-02-04 20:20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소설과 에세이의 경계인가요. 그 줌이 또 흡입력을 높인다니 ~~ 새파랑님 소설읽기 따라쟁이는 넘 힘듭니다 헉헉 ㅋㅋ 그녀의 사랑에 타임스위치가 내장되어 있었던 ~ 문장 은근히 슬픈데요 ㅜㅜㅜ

새파랑 2022-02-04 20:27   좋아요 5 | URL
새로움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겐 저런 타임스위치가 있는거 같아요 ㅋ 갑자기 내 사랑의 유통기한은 만년으로 하고 싶다는 이야기가 떠오르네요 ^^ 전 원래 에세이파였는데 최근에는 소설이 더 좋아요 ~!

coolcat329 2022-02-04 20:39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줄리언 반스 이런 책도 있군요.
새파랑님이 좋아할 제목 맞네요~^^

새파랑 2022-02-04 20:42   좋아요 4 | URL
제가 요런 제목의 책이랑 내용에 많이 약해요 ^^ 두번째 세번째 이야기는 너무 좋았어요 ~!!

그레이스 2022-02-04 21:08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배경의 고도와 슬픔의 깊이의 대조,,, 읽고 싶게 만드는 문장입니다👍

새파랑 2022-02-04 21:58   좋아요 4 | URL
그레이스님은 이 책 좋아하실거란 생긱이 들어요~! 두번 읽을수 밖에 없는 책입니다 ^^

바람돌이 2022-02-05 14:21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줄리언 반스에 다시 도전해봐야겠군요.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가 딱히 안맞아서 살짝 비켜가는 작가였는데 말이죠.

새파랑 2022-02-05 16:18   좋아요 3 | URL
제가 예감은 아직 안읽어봤지만 제가 읽어보고 차이점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희선 2022-02-06 01:02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어떤 만남이든 끝이 있지요 가장 슬픈 게 죽음으로 헤어지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 언제나 슬퍼하면 안 될지도 모르겠군요 세상을 떠난 사람을 기억할 사람은 산 사람이니... 기억하면 그 사람은 아직 산 걸지도...


희선

새파랑 2022-02-06 08:00   좋아요 3 | URL
언제나 헤어짐은 슬픈거 같아요. 그래도 언제까지 계속 슬퍼할 수는 없으니 가끔씩 좋았던 순간을 기억하는것만으로 위안을 삼는게 좋은거 같아요~~

물감 2022-02-06 21:0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줄리언 반스 작품 요새 눈독 들이는 중이에요. 읽기 쉬운 편인가요?

새파랑 2022-02-06 21:32   좋아요 2 | URL
저도 두권 밖에 안읽어봤지만 어려운 편은 아니더라구요. 읽다보면 계속 읽게 됩니다 ㅎㅎ 제가 최근에 읽은 ˝윌리엄 트레버˝보다는 쉽게 읽을 수 있었어요 ㅋ 근데 제가 읽은 책(시대의 소음, 사랑은 그렇게...)이 다 정통(?) 소설은 아니어서 확답은 못드리겠습니다. 전 다음 작품으로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를 읽어보고 싶네요~!!

쑤양 2022-02-09 20:0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줄리언반스 책은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만 읽었는데 이 책도 도전해 봐야 겠어요~

새파랑 2022-02-09 20:15   좋아요 0 | URL
저는 반대로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에 도전해 보겠습니다~!! 이 책 좋았어요 ^^ 쑤양님에게도 좋았으면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