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은 위대한 화학자 - 잃어버린 식물의 언어 속에 숨어 있는 생태적 의미
스티븐 해로드 뷔흐너 지음, 박윤정 옮김 / 양문 / 2013년 9월
평점 :
품절




자기 안의 어린아이에게 다가가는 문을 열면, 세계는 물론 세계 속의 미묘한 의미에 다시 다가가는 문도 열린다.......식물과 소통하는 많은 원주민이 어린아이 같다는 사실은 예사롭지 않다.(333) 

유아에게는 모든 일을 일어나는 즉시 알아차릴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유아는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다.......세계를 전체로 인식하기 때문이다.(334)

 

정신치료 분야의 상처 입은 내면아이라는 용어는 치료 받으러 온 사람은 물론 일반인에게도 제법 널리 알려져 있다. 어린 시절 상처를 입어 성장을 멈추고 방어 자세로 고착되어 있는 정신 상태를 개별 인격체로 이미지화한 것이다. 이 내면아이는 어른으로 성장시킬 대상이므로 본문이 말하는 자기 안의 어린아이또는 유아와는 전혀 다르다. 전혀 다른 상처 입은 내면아이 이야기를 들머리에 꺼낸 이유가 있다. 바로 언어라는 관건 때문이다.

 

언어를 전혀, 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어린아이는 당연히 그만큼 언어를 매개로 하는 사유에 지배당하지 않는다. “세계는 물론이고 세계 속의 미묘한 의미전체로 인식한다. 전체로 인식하는 것은 분석하지 않는 것이다. 분석은 틀이 있어야 하므로, 분석하지 않는 인식은 틀이라는 매개 없이 직접 세계를 본다. 직접 전체를 인식해 도달한 지식, 그러니까 반야 지혜는, 그것을 품은 주체, 그러니까 어린아이의 존재와 행위에 합일된 생명 사건이다.

 

주체의 존재와 행위에 합일된 반야 지혜야말로 낭·풀의 본성에 가 닿는 유일한 길이다. 이런 진실을 어떻게 알 수 있었나. 임상가인 나는 상처 입은 내면아이를 통해 알게 되었다. 상처 입은 시기가 이를수록, 그러니까 언어 사용이 차단될수록 치유는 어려워진다.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상처 또한 주체의 존재와 행위에 합일되는 반야사건이다. 반야 상처는 언어로 치유되지 않는다. 언어와 언어의 경계에서 고요를 모셔야 한다. 고요가 바로 영이다.

 

영인 고요는 언어로 성장시킬대상이 아니다. 인간이 그 참된 기원을 기리며 끝내 보존해야 할 지성소다. 언어 어른 안에 있는 고요 아이는 단순히 한 개인의 시생대에서 그치지 않는다. 고요 아이는 

인간 역사의 아득한 시원, 저 고대인의 시간을 간직하고 있다. 생명 역사의 아득한 시원, 저 낭·풀의 시간을 간직하고 있다. 고요 아이를 깨울 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식물은 위대한 화학자 - 잃어버린 식물의 언어 속에 숨어 있는 생태적 의미
스티븐 해로드 뷔흐너 지음, 박윤정 옮김 / 양문 / 2013년 9월
평점 :
품절



 

식물은 오래 전부터 우리의 스승이자 치료사였다. 체로키족과 크리크족은 이를 익히 알고 있었다. 그들 사이에는 식물이 자손인 인간에게 연민의 정을 느끼기 때문에, 제각각 인간의 질병 치료를 위한 약을 제공해준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이 생각 속에는 깊은 지혜가 담겨 있다. 인간을 식물의 자손으로 생각하면 가족적 유대감이 생겨난다. 그럴 때, 식물을 이용가치 있는 자원으로 보는 관점에서 벗어나 가족의 일원, 나아가 연장자로 대우한다. 관계 양상이 바뀌는 것이다. 게다가 힘을 지닌 쪽은 인간이 아니라 식물이라는 사실도 깨닫는다. 식물은 재산이 아니며, 오히려 인간이 그의 자손이라는 사실을 분명하게 각성하는 것이다. 이런 관계로 말미암아, 우리가 아프면 모든 부모가 그러하듯, 식물도 우리를 도우려 한다는 것을 알아차린다. 고대 그리스인은 어떤 식물을 일컬어 생명을 주는 자라는 의미의 암브로시아라고 불렀다. 그들 또한 식물과 관련한 중대한 각성에 이미 도달해 있었던 것이다.(315~316)

 

국가화한 인간이 건국설화나 상고사, 심지어 신화까지 전거 삼아 기원 문제를 앞세우고 나올 때는 반드시 정치적 노림수가 있기 마련이다. 기원을 예찬하는 척하는 것은 자신의 권력을 공고히 하는 데 유용하기 때문이다. 이 정치판에서 낭·풀이 인간의 기원이라는 진리 주장은 그야말로 귀신 씨 나락 까먹는 소리다. 천상에서 강림한 위대한 존재 기원은 인간 자의식의 과잉 팽창을 반영한다. 음성 피드백의 고리가 끊어진 진화의 폭주가 이런 예술을 창조했다. 이 예술의 끝판왕은 단연 신이 자신의 형상을 따라 인간을 창조했다는 서사다. 신의 형상인 인간에게 낭·풀은 죽인다는 생각조차 없이 죽여도 되는 존재일 뿐이다. 인간의 이런 어리석은 생각과 무관하게 낭·풀이 인간의 생육자요 교육자요 치료자라는 진실은 불변이다. 이 진실의 부정은 지구 역사의 부정이며 인간 현존 자체의 부정이다. 인간본성에서 낭·풀 본성을 제거하면 인간은 무엇일까? 인간 아닌 게 아니라, 아무것도 아니다. 그런 것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광화문 교보빌딩 뒷길에도 버드나무가 있다. 인사동 버드나무가 그랬듯, 이 버드나무를 통해 나는 이 길이 백악산 동편 계곡 삼청동에서 발원해 청계와 합류하는 중학천을 복개해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인간이 덮은 역사를 나무는 묵묵히 열어 보인다. 따라잡을 수 없을 정도로 빨리 변해가는 인간과 자본의 시간 속에서 어느덧 노년의 세월로 흘러가며 망연히 나무를 본다. 이 시대를 나무로 산다는 것은 정녕 미친 짓일까, 공연히 빈 호주머니를 뒤진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얄라알라 2021-04-16 14:0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찬란합니다

bari_che 2021-04-19 11:14   좋아요 0 | URL
오, 찬란!^^
 


조그만 숲처럼 가꾼 반포천변 산책로를 따라 퇴근한다. 한 가족이 앞서 걸어간다. 아빠가 조팝나무 앞에 멈춰선다. 가만가만 꽃잎을 만져본다. 아들에게 말한다. "몽글몽글하구나. 만져봐." 재빨리 엄마가 가로막는다. "진딧물 많아!" 나도 몰래 발길이 뚝 끊어진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얄라알라 2021-04-16 14:0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짧은 대화를 옮기셨지만, 어떤 뉘앙스인지 감이 확 옵니다....

bari_che 2021-04-19 11:15   좋아요 0 | URL
네~ 감사합니다.^^
 
식물은 위대한 화학자 - 잃어버린 식물의 언어 속에 숨어 있는 생태적 의미
스티븐 해로드 뷔흐너 지음, 박윤정 옮김 / 양문 / 2013년 9월
평점 :
품절



 

역사적으로 인간은 1~8만 가지의 식물을 음식으로 섭취해왔다. 이 중에는 물론 재배한 것도 있었지만, 대개는 야생에서 수확한 것이었다. 그리고 계절에 따라, 거주지의 식물 분포에 따라, 인체의 필요에 따라 각기 다른 식물을 섭취했다.(284)

 

·풀도 인간도 박테리아 공생체다. 공생은 어느 한 박테리아가 다른 어느 한 박테리아 몸속으로 들어가 일부가 됨으로써 시작되었다. 거꾸로 말하면, 어느 한 박테리아가 다른 어느 한 박테리아를 자신의 일부로 받아들여 한 몸이 됨으로써 시작되었다. 이 사건은 식행위며 동시에 성행위다. ·풀이 인간의 몸속으로 들어가는, 인간이 낭·풀을 몸속으로 들이는 일 또한 마찬가지다. 문명이후 인간이 이 사실을 망각하고 있을 뿐이다.

 

식 행위는 단지 목숨 부지하기 위한 도구적 행위가 아니다. 다른 한 생명과 더불어 더 큰 한 생명이 되는 의례며 축제다. 다른 그 생명에게 예를 갖추어야 한다. 성 행위는 단지 쾌락을 추구하기 위한 도구적 행위가 아니다. 다른 한 생명과 더불어 더 큰 한 생명이 되는 의례며 축제다. 다른 그 생명에게 예를 갖추어야 한다. 예를 갖추는 것은 자세를 넘어 삶의 결을 이룬다. ·풀 본성을 인간 본성의 한 축으로 받아들여 온 생명의 큰 길을 연다.

 

·풀이 인간의 몸속으로 들어가는 일은 단지 영양이나 약으로 투입되는 것이 아니다. 인간의 몸을 관통함으로써 제 본성 너머 이동하는생명본성으로 번져간다. 부동immobility의 혹독한 희생은 동mobility의 홀가분한 해방과 비대칭의 대칭을 이룬다. 흔쾌히 혹독함으로 나아가며 감사히 홀가분함에서 노닌다. 이데아 없는 이상향을 이루고 완전함 아닌 온전함에 오른다. 저 온전한 이상향에 대하여 인간의 몸은 운명과 천명 둘 다다.

 

음식식물의 이동을 의례와 축제로서 맞이해야 할 인간은 그 본질과 가치를 망각한 채, 함부로, 생각 없이, 심지어 동물보호를 위한 수단으로 먹어치운다. 더 맛있게 먹으려고나 침 흘리며 달려든다. ·풀이 이동을 거부하는 날 오면 어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