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지우(문화평론가) 님이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그대로 싣는다
"다 부질없는 개뻘짓이다. 진짜 조상 잘 만나 조상덕 본 사람들은 지금 다 해외여행가고 없다. 조상덕이라곤 1도 못 본 인간들이 음식상에 절하고 집에와서 마누라랑 싸운다."
대한민국의 명절을 바꾼 전설의 댓글이라 불리는 댓글이다. 이 댓글의 영향력이 얼마나 강력한지, 한 번 본 사람은 잊을 수 없다고들 할 정도이다. 개인적으로 나도 이 댓글을 보고, 뒤통수를 맞은 것처럼 강렬한 느낌을 받았다. 그래서 한 번 이 댓글을 분석해보기로 했다.
이 댓글은 일종의 비속어를 쓰면서 시작하는데, 그보다 강력한 건 그 다음 문장이다. '조상덕 본 사람들은 다 해외여행가고 없다'는 이 한 줄은 많은 사람들에게 강렬한 박탈감을 불러일으킨다. 나는 무엇을 위해 조상에게 절하고 있는 것인가? 물론, 그 중에는 진심으로 조상을 애도하고 있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애도는 꼭 명절에 해야하는 건 아니다.
엄청난 교통체증에 시달리며 간신히 고향을 찾지만, 많은 사람들이 어떤 부조리함을 느낄 법하다. 하루이틀 자고 돌아갈 거라면, 이런 날이 아니라 명절 이주 전에 와서 부모님 얼굴을 보면 안되나? 정말 조상님께 절하는 게 복 받는 일일까? 명절에 친척들이 모여서 정말 행복하고 즐겁나? 좋아하는 친척이라면 다른 날 만나 웃으며 술 마시고 행복할 수도 있는 거 아닌가? 그런 생각들을 한 번쯤 해봤을 법하다.
그런 와중에 진짜 조상 덕 본 사람들, 흔히 금수저라고 상정된 어떤 존재들은 다 해외여행 가 있을 거라는 말이 너무도 와 닿는다. 공항은 100만 명 이상이 몰리고, 그들은 행복을 찾아 떠나는데, 나는 왜 이러고 있어야 하나 싶은가 하는 생각이 든다. 이 댓글 한 줄이 우리 나라 명절에서 많은 사람들이 느끼는 묘한 부조리를 폭로해버린 것이다.
그 다음 줄은 더 잔인하다. 행복하기 보다는 힘들다고 느끼는 순간이 더 많을 수 있는 이 명절 속의 '나'를 비하하는 듯한 묘사가 가슴을 파고든다. 고작 세 문장, 실질적으로는 두 문장에 불과한 이 댓글이 많은 사람들을 결심하게 만들었을 것이다. 더 이상 이렇게 살지 않겠다. 진짜 내가 좋아하는 삶을 살겠다. 관습의 강박을 뿌리치겠다. 정확하게 내가 원하는 시간을 살겠다. 그렇게 마음먹게 했을 것이다.
물론, 명절 문화에는 좋은 점도 있고, 온 가족들이 긴 연휴에 함께 만나 행복하고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경우도 많을 것이다. 그러나 모두가 그럴 수는 없다. 저 댓글은 '그렇지 못한' 사람들의 마음을 대변한 것이다. 명절에 행복한 사람은 관습대로 행복하면 된다. 그러나 명절에 행복할 수 없었던 사람들은 관습을 떨쳐낼 수 있는 계기가 필요하다. 그들에게 그것은 더 이상 관습이 아니라 인습이다. 필요한 건 인습을 떨쳐낼 용기였던 것이다.
더 이상 관습이 모든 사람들에게 똑같은 의미로 작동하는 시대는 끝이 났다. 내게 이로운 관습은 존중하고, 내게 해로운 관습은 과감하게 물리쳐야 하는, 우리는 개별적 삶을 살아간다. 다른 날 가족과 친척을 만나고, 연휴에 해외여행 떠나는 게 행복한 사람은 그렇게 살아야 한다. 한번 뿐인 나의 삶, 지나고 나면 돌아오지 않을 나의 시간을 위해 용기를 내야 한다. 삶보다 우선인 건 없다. 왜냐하면 우리는 나에게 주어진 얼마 없는 시간을 쓰고 죽을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필사적으로 내게 가장 좋은 삶을 살아야 한다. 그것은 때로 관습의 반대편에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