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추리소설 필독서 50 - 셜록 홈즈부터 히가시노 게이고까지, 추리소설의 정수를 한 권에 필독서 시리즈 26
무경 외 지음 / 센시오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독서를 취미로 만드는 데 있어 추리소설만큼 좋은 시작점은 없다. 이건 일반론이 아니라 내 경험에서 비롯된 주장이다. 어릴 때부터 독서를 좋아했지만 학교 생활과 입시 준비 때문에 책에서 멀어진 시기가 있었다. 그 시기를 지나서 다시 독서를 시작하려고 했을 때는 어떤 책부터 읽어야 할지 몰라서 막막했다. 때마침 학교 도서관 인기 대출 도서 목록이 눈에 들어와서 그 책들부터 섭렵하기 시작했다. 우연인지 필연인지 그 시절 베스트셀러가 댄 브라운의 <장미의 이름>, 히가시노 게이고의 <용의자 X의 헌신> 같은 추리소설이었다. 그 책들을 읽으며 자연스럽게 유명한 추리소설을 섭렵했고, 그렇게 몸에 밴 독서 습관이 지금까지 이어져 현재는 책을 한 달에 10~20권씩 읽고 있다.


과거의 나처럼 추리소설 읽기를 시작하는 독자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을 만났다. <세계 추리소설 필독서 50>은 무경, 박상민, 박소해, 이지유, 조동신 등 한국의 추리소설 작가 5인이 직접 선정한 동서고금의 추리소설 걸작 50편을 소개하는 책이다. 작품 선정 기준은 크게 세 가지로, 첫째는 세월에 흘러도 읽을 가치가 충분한 작품인지, 둘째는 추리소설 역사에서 의미 있는 작품인지, 셋째는 현재 우리나라 독자들이 쉽게 구할 수 있는 작품인지를 보았다. 책 앞쪽에 추리소설 계보도 서양 편과 동양 편이 실려 있어 이 책에 소개된 작품들의 출간 순서와 작품 간의 관계들을 한 눈에 볼 수 있게 한 점도 인상적이다. 책마다 같이 볼만한 작품을 참고도서 형태로 덧붙여 독서의 확장을 안내하는 점도 유익하다. 


이 책에 따르면 추리소설의 시초라고 일컬어지는 소설은 에드거 앨런 포의 <모르그 가의 살인>이다. 1841년에 발표된 이 소설은 '탐정이 주인공이 되어 미스터리를 해결한다'는 추리소설의 기본 틀을 처음 제시했다. 1892년에 출간된 <셜록홈즈의 모험>은 명탐정의 모델을 확립하고 고전 미스터리의 형식을 구축했다. '세계 3대 탐정'이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이 셜록 홈즈, 에르퀼 푸아로까지는 쉽게 떠올리지만 남은 한 사람의 이름은 잘 떠올리지 못한다. 바로 그 주인공인 브라운 신부는 1911년에 발표된 길버트 키스 체스터턴의 소설 <브라운 신부의 순진>의 주인공이다. 탐정이나 형사가 아닌 가톨릭 신부가 주인공인 이 소설은 놀라운 반전 때문에 지금도 추리소설, 특히 단편을 쓰는 작가들에게는 필독서로 꼽힌다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