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든 것을 본 남자
데버라 리비 지음, 홍한별 옮김 / 민음사 / 2024년 2월
평점 :

1988년 가을의 런던. 28세 남성 솔 애들러는 애비 로드를 걷다가 자동차에 치이는 사고를 당한다. 차에서 내린 운전자는 병원에 데려다 주겠다고 했지만, 여자친구 제니퍼를 만나러 가는 길이었던 솔은 가벼운 찰과상을 입었을 뿐이라고 말하고는 원래 가던 길을 간다. 제니퍼와 만난 솔은 사진 작가인 제니퍼의 촬영을 도우며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 하지만 얼마 후 갑자기 제니퍼가 솔에게 이별을 선언하고, 충격을 받은 솔은 동베를린으로 떠난다. 역사학도인 솔의 전공은 동유럽 공산 국가 연구인데, 그곳에서 만난 언어 강사 발터 뮐러에게 묘한 감정을 느낀다.
영국 작가 데버라 리비의 소설 <모든 것을 본 남자>는 먼저 읽은 그의 에세이 <알고 싶지 않은 것들>, <살림 비용>과 비슷한 점이 별로 없다. <알고 싶지 않은 것들>, <살림 비용>이 작가 자신이 여성으로서 경험하고 생각한 것들에 관한 책이라면, <모든 것을 본 남자>는 남성인 주인공의 청년 시절부터 노년의 일을 그리기 때문에 여성만의 경험이나 생각에 관한 비중이 적고, 있어도 주변 인물의 그것으로서 등장할 따름이다. 그렇다고 해서 이 소설이 여성의 목소리를 축소하거나 무시하는 내용인 건 아니다.
주인공 솔 애들러는 1980년대를 살았던 남성으로서는 드물게 눈 화장을 하고 어머니의 유품인 진주 목걸이를 하고 다닐 정도로 관습이나 전통에 얽매이지 않는 인물이다. 여성과 남성 모두를 사랑하는 양성애자이기도 하다. 그는 또한 유대인이고 노동계급 출신이며 공산주의자인 아버지를 두었다. 여러 면에서 그는 약자, 소수자의 정체성을 지녔고, 그 자신도 그것을 인정한다. 하지만 여자 관계에 있어서는 절대 약자가 아니다. 제니퍼를 사귈 때 그는 제니퍼의 룸메이트에게 추파를 던졌다. 발터와 자면서 발터의 여동생 루나를 탐했다.
루나는 솔에게 많은 걸 바라지 않았다. 그저 영국에서 동베를린으로 올 때 파인애플 통조림 하나만 사달라고 부탁했을 뿐이다. 그러나 솔은 루나가 좋아하는 비틀즈의 앨범 재킷을 모방해 자신이 직접 애비 로드에서 찍은 사진 한 장을 루나에게 가져다줄 뿐이다. 동베를린에서 탈출해 리버풀에 살면서 의대에 다닐 거라는 루나의 계획을 도울 마음도 없다. 그저 루나의 몸을 탐하고 루나에게 사랑(주지 않고) 받기만을 원했던 대가는 수십 년이 흐른 후에 의외의 장소에서 의외의 만남으로 찾아온다. 모든 것을 보았지만 진정으로 본 건 없는 남자의 쓸쓸한 말로가 씁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