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리커버)
심채경 지음 / 문학동네 / 2021년 2월
평점 :
품절




문과에 편중된 독서를 하는 편이지만 일 년에 서너 권씩 이과 계열의 책을 사곤 한다. 이 책은 문과로 분류하는 게 좋을까 이과로 분류하는 게 좋을까. 일단 저자 심채경은 이과 출신이다. 대학에서 우주과학과, 우주탐사학과를 전공하고 박사학위까지 받았다. 현재는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달 탐사 프로젝트에 참여 중이다. 이 책에도 저자의 전공 분야에 관한 이야기가 상당 부분 나온다. 저자의 전공인 타이탄의 의미, 유니버스와 코스모스, 스페이스의 차이, 천문학의 기원과 발전 등 나로서는 새롭고 흥미로운 이야기가 많았다. 


그렇다고 해서 이 책이 이과에 편중된 책은 아니다. 오히려 저자는 천문학자라는 이과형 인간으로서의 자신이 아닌, 고용이 불안한 비정규직 연구원 또는 대학에서 학생들을 만나는 선생, 일하는 엄마로서의 자신에 관한 이야기를 더 많이 들려준다. '과학자' 또는 '박사'라고 하면 우러러보는 사람이 많지만, 실제로 천문학자 중에 높은 연봉을 받는 사람은 드물고 천문학 박사 학위자 중에 정규직에 채용되는 사람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여성이기 때문에 받는 차별도 없다고 하기 어렵다. 임신과 출산, 육아 등으로 채용과 승진 과정에서 배제되는 경우도 있고, 한국 최초의 우주인 이소연 씨의 경우처럼 주어진 임무를 잘 수행하고도 편견 어린 시선을 받는 경우도 있다. 


이 책의 제목이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인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천문학자라고 하면 천체망원경을 들여다보며 별과 행성을 관측할 것 같지만, 실제로는 컴퓨터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다루는 시간이 더 길고, 그마저도 행정 업무를 처리하거나 이메일을 쓰거나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에 밀릴 때가 많다. 이렇게 보면 이과나 문과나 살고 싶은 대로 못 사는 건 비슷한 것 같다. 그나마 다행인 건 좋아하는 전공을 직업으로 삼았다는 것 정도? 천문학자라는 일의 기쁨과 슬픔을 여실히 보여주는 귀중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