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노트>    무조건 좋게 결정지어서 맡겨놓기


날짜:2024년 1228

오늘의정진 無明實性卽佛性 (무명실성즉불성무명의 참 성품이 바로 불성이요 


u  100일 정진,  3일차


어제 증도가와 신심명의 가장 핵심 구절을 살폈다,

學無爲閑道除妄想不求眞

절학무위휴도인 , 부제망상불구진 

배움이 끊어진 함이 없는 한가한 도인은  망상을 버리지도 않고 진심을 구하지도 않네(증도가)

至道無難 唯嫌揀擇 지도무난유혐간택

지극한 도는 어렵지 않나니오직 간택하는 마음만 꺼리면 된다.(신심명)

깨달음의 경지는 분별이 끊어진 자리를 뜻 한다고 했다

이는 즉 분별의 사라짐은 곧 불이(不二이다분별하지 않는 마음이 바로 둘이 아닌 도리를 얻는 것이다

분별이 사라지는 불이문(不二门에 들어서는 것이야 말로 깨달음의 세계로 입장하는 셈이다.


오늘은  

無明實性卽佛性 (없을 무밝을 명참 실성품 성바로 즉부처 불성품 성)

(무명실성즉불성

무명의 실제 성품이 그대로 부처님 성품이요

幻化空身卽法身 (환영 환변할 화빌 공몸 신바로 즉법 법몸 신)

(환화공신즉법신

환영 같은 허망한 육신이 그대로 법신이네.

無明무명이란 업식으로 인해 가리워지고 어두운 상태를 뜻한다

즉 마음 자리가 밝지 않는 상태’ 인 것이다

유교에서 대학의 첫 구절이 明明德(명명덕)이다

‘밝은 덕을 밝힌다’ 는 뜻으로 풀이한다유교의 도는 덕을 최고로 친다

德덕은 불교의 佛性불성과 같은 위치에 있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대학에서 덕을 본래 밝은 상태로 보고 있다하지만 증도가에서는 무명의 상태즉 어두운 상태 또한 우리의 본성이요부처의 성품이란 것이다.

밝은 성품만이 부처님 성품이 아니고 어둡다밝다 하는 분별 없이 마음 그대로가 부처의 성품이란 뜻이다.

또한 우리의 육체는 유한하다그래서 생노병사를 피할 수 없는 육체를 두고 허망하다고 한다

하지만 이 태어나면 늙고 병들어 죽는 이 육신 그대로가 바로 법신즉 부처의 몸이라는 것이다.

우리 마음이 바로 부처의 마음이고 우리의 몸이 곧 부처의 법신이라는 것이다따라서 우리의 몸과 마음이 바로 부처라는 것이다.

이는 곧 우리가 부처라는 뜻과 다름 없다.


일반적으로 불교를 공부하면 무아라는 개념을 접하게 된다.

무아는 말 그대로 내가 없다는 뜻이다

그에 반해서 우리의 本性본성이 바로 부처라고 하는 참나真我진아의 개념이 있다.

이 무아의 개념과 참나의 개념은 불교를 教学교학으로 공부하다 보면 항상 상충하는 부분이 생긴다

내가 없는데 어찌 참나가 있냐’ 고 불교를 공부하면서 서로 모순 되는 도리에 도무지 납득이 안 가게 된다.

이는 나 역시 참구 중이며 얼핏 이해는 가지만 아직은 확연하지 않다.

다만 부처님 법은 고정되지 않았다는 것이 진리임은 안다.

진리는 어느 한가지 고정된 법은 없다는 것이다

무아와 참나는 근기에 따라 고정되지 않는 진리의 한 모습이다.

그래서 불법은 팔만사천 법문이 천차만별 사람의 근기에 따라 방편으로 설해진다고 했다.


증도가에서는 이러한 참 진리의 오케스트라를 들려주고 있다

오직 깨달음의 눈으로 보여져야 들을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아직 들리지 않는다고 속상해 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그래서 선을 깊이 공부하신 선지식의 지도가 필요하다.

교학으로만 아는 것은 지혜가 아닌 지식이고 알음알이에 가깝다.. 

무아든 진아든 모두 단박에 깨고 들어가는 선 공부가 필요한 것이다.

이 또한 분별 없는 마음에서 시작해야 한다

마음이 곧 부처라는 말이다

심즉시불心即是佛 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책을 책하다 학이사 독서아카데미 서평모음집 1
정화섭 외 지음 / 학이사(이상사)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제목: ()을 책()하다

지은이:  정화섭 외

 : 리뷰와 서평의 차이.... ?



제목이 너무 좋았다.  <하다> ... 책을 꾸짖다니...

책하고 싸운다는 뜻인가?

이 책은 책에 대한 서평을 모아 만든 책이다.

리뷰와  서평은 다른 것인가?

내가 알라딘에 올리는 독후감은 리뷰글이라고 하는데 서평은 어떤 수준의 글일까 싶었다.

아마도 독후감보다는 차원이 높지 않을까?


讀後感독후감이 책을 읽고 난 후 감상 위주로 글을 남기는 것이라면 書評서평은 책에 대한 논평이 들어가야 되지 않을까 싶다.

책에는 한강 작가의 <채식주의자>, 김훈 작가의 <현의 노래>, 현진건의 <운수 좋은 날> 처럼 비교적 친숙한 작품들 부터 유발 하라리<사피엔스>, 홈스의 <리바이어던> 같은 사회 과학 서적까지 다양한 서평이 수록 되어있다.

모두 15명의 서평가의 글들이 수록 되어 있는데 특히 한강 작가의 <채식주의자>와 김훈 작가의 <현의 노래> 여러 서평가들이 서평을 했다.

그 중  기억에 남는 서평이 <현의 노래>인데. 서평가 신호철은 이렇게 말한다.

<이 책은  한 번 읽어서 내 것으로 만들 수 있는 책은 아니다.>

너무나 솔직하게 평가한 것이 아닌가 싶다.

보통 서평가라고 하면 시선을 위에서 아래로 두고 작품에 대해 평가를 내리는가 싶었는데 너무 솔직히 말해서 놀랬다

서평가라고 해서 책에 대해 아는 척을 안하는 면이 신선했다.

신라에 멸망 당하면서 사라져 가는 가야의 소리를 지키려는 우륵에 대한 소설이라는데 나중에 꼭 읽어 봐야 겠다.


그런데 막상 리뷰와 서평의 차이점은 나는 아직 잘 모르겠다.

나 같은 아마츄어 글쓰기 보다는 수준이 높은 글쓰기. 그게 서평인가 싶기도 하다.

솔직히 말하자면 나는 이 책 보다는 지난주 읽었던 <나쁜 책>이 나한테는 더 맞는 서평 글인 것 같다.


<서평은

제 잘난 체 하거나

그 누굴 나무라기 위해서

또 무엇이 되어 사람을 치장하는 그런 것이 아니다.

이 세상의 주인인 내 이름을

스스로 찾아 부르고

제 삶 속에 웅크리고 있는

행복을 끄집어내는 공부다.

책 읽어 생각을 얻고

평 쓰며 생각을 나누어

품위 있는 삶을

즐길 수 있게 하는 공부다. > P. 192 마지막 페이지



책을 읽고 생각을 얻고 그 얻은 생각을 나눌 수 있다면 그게 리뷰든 서평이든 다 같지 않을까 싶다.


완벽하지 않은 기억이라도 결코 아름답지 않은 기억이라도 그것이 추억이 된다면 향수로서의 가치는 충분하다. - P60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24-12-29 09:0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서평 쓰는 방식을 알려주는 책을 쓴 저자들은 공통으로 서평을 이렇게 정의하더라고요. 책의 핵심 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하는 글이 서평이라면, 독후감은 글쓴이가 책을 보면서 느낀 감정들을 표현한 글이라고요. 그런데 저는 서평과 독후감을 명확히 구분하면서 쓰는 일이 어렵더라고요. 막 쓰다 보면 책에 대한 개인적인 감정이 문장이 되면서 나오거든요. ^^;;

마힐 2024-12-30 11:56   좋아요 0 | URL
네, 저도 감정이 문장이 된다는 cyrus님 의견에 공감합니다.
올해도 이제 내일이면 저물게 되네요. 한 해 마무리 잘 하시고 내년에도 좋은 생각 공유해 주세요. 감사 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관노트>    무조건 좋게 결정지어서 맡겨놓기


날짜:20241227

오늘의정진: 絶學無爲休道人(절학무위휴도인) 배움이 끊어지고 함이 없는 한가한 도인



u  100일 정진,  2일차


먼저 어제 언급했던 '보여지는' 약간의 수동적인 의미가 있는 것이라고 했었다

그리고 조금 깊이 보는 단계를 () 이라고 했다.

오늘 대해 깊이 보는 () 해보면 나타날 가깝다.

예를 들어보면 어두운 밤에 혼자 깜깜한 방에 들어가게 되면 눈으로 방안을 보면 어둡기 때문에 보이질 않는다. 그런데 방문 전등 스위치를 켜는 순간 밝아지면서 앞에 방의 전체 모습이 전부 드러나게 된다. 이때 비로소야 드러난 방의 실체를 눈으로 똑똑히 전부를 있게 된다. 이것이 바로 이고 깨달음이다.  

다시말해 견은 바로 나타나져() 보이는() 것을 뜻한다. 그래서 군불견, 그대 보이지 아니한가 뜻은 그대의 앞에 깨달음이 보이지 않는가 하고 묻는 것이다

깨달음은 나타나져야 있는 것인데 '그대 이제는 보이는가' 로 영가(永嘉) 스님(674~713)은  구절을 시작했다.

오늘은 증도가(證道歌)의 두번째 구절이다.


絶學無爲休道人(끊길 절, 배울 학, 없을 무, 할 위, 쉴 휴, 길 도, 사람 인)

절학무위휴도인 (배움이 끊어지고 함이 없는 한가운 도인은)

不除妄想不求眞 (아닐 부, 제거할 제, 망령 망, 생각할 상, 아닐 불, 구할 구, 참 진)

불제망상불구진  (망상을 제거하지도 않고 참을 구하지도 않는다.)


증도가 전체를 들어 가장 많이 알려진 구절이며 내가 가장 좋아하는 구절 이다.


이 구절은 승찬대사(僧璨510~606)신심명(心銘)의 첫 구절


<至道无难 지도무난 (이를 , , 없을 , 어려울 )

唯嫌拣择 유혐간택 (오직 , 꺼릴 , 가릴 , 가릴 )

도에 이르는것은 어렵지 않나니, 오직 가리고 택하는 마음만 꺼릴뿐이.>

더불어 선어록 중에 가장 유명하다.

어쩌면 증도가는 군불견 다음의 사실상 첫 구절인 '절학무위휴도인'과 신심명의 첫 구절 '지도무난' 은 의미로 볼 때 쌍둥이 처럼 서로 닮았다.


배움이 끊어지고 함이 없는 한가한 도인은 말 그대로 깨우친 사람을 말한다.

이것은 신심명의 도에 이르는 것 과 서로 상통한다.

그리고 그 경지는 어떻게 해야 도달하는가?

증도가에서는 망상을 제거하지도 않고 참, 즉 진리를 따로 구하지도 않는다고 했다.

신심명은 오직 가르고 택하는 마음, 즉 분별심을 꺼린다고 했다.

결국 도에 이르고, 도인이 된 사람들은 망상을 제거하거나, 진리를 얻고자 애를 쓰는게 아니다. 분별하지  않는 사람을 바로 도인 이라 부른다는 것이다.


에덴 동산의 아담과 이브가 선악과를 따 먹어서 원죄를 지은게 아니다.

선악과를 먹고서 분별을 했기 때문에 죄가 되는 것이다.

모든 죄의 근원은 분별심이다. 이것은 맞고, 저것은 틀렸다

즉 옳다.그르다, 좋다, 싫다로 나누는 그 분별심 이야말로 업을 지는 것이다.

그래서 승찬대사와 영가스님은 분별하지 않는 것이 도라고 하셨다.


도인이 되고자 해서 도인이 되는게 아니다.

그러니 배움이 끊어진 絶學 절학의 경지는 배울게 더 이상 없거나 배울 필요가 없다는 뜻도 아니다.

배워야 한다는 마음 자체, 즉 분별이 끊어진 상태라는 것이다.

뭔가를 일부러 지어서 할려고 하는 마음을 有爲 유위 라고 한다.

無爲 무위는 함이 없는 것을 뜻한다. 저절로, 자연 스럽게. 그러한 경지.

이 역시 수동에 가깝다. 그런데 이 수동은 수동이 되고자 해서 되는 건 또 아니다.

저절로, 자연스럽게. 그러하기 때문에 그러하게 되는 경지다.

분별이 사라지는 경지는 저절로 이루어 지는 경지다.

내가 분별을 하지 말아야지 해서 이루어지는 경지가 아닌 것이다.


노자(老子)의 사상을 접했다면 무위는 이해가 되는 단어다.

함이 없이 , 억지로 행하는 것이 아닌 行행 하는 가운데 한다는 생각 없이. 그냥

쉽게 말하면 그냥이다. 배고프면 밥 먹고, 목 마르면 물 마시고, 배 아프면 화장실 가고, 졸리면 자는 행위가 바로 그냥 하는 무위이다.

그냥 하는 경지. 분별이 없는 경지 그게 바로 무위다.

신심명과 증도가는 도의 경지를 글의 맨 앞 구절에 확실히 선포를 해버렸다.

깨달음의 상태에서 바로 그대로 들어가 버린 것이다.

마치 베토벤 운명 교향곡의 서곡과 같은 강한 충격과 인상을 마음 속에 새겨 놓는다.

증도가와 심신명의 첫, 두 구절뒤에 이어지는 구절들은 앞의 구절을 전부 변주하며 이어지는 것 과 같다.  깨달음의 오케스트라가 펼쳐지는 것이다.


絶學無爲休道人 절학무위휴도인 ( 배움이 끊어지고 함이 없는 한가운 도인은)

不除妄想不求眞 불제망상불구진 (망상을 제거하지도 않고 참을 구하지도 않는다.)

2000 1 7일은 내가 중국으로 처음 취업을 해서 오게 날이다.

지금이 2024 12 이니 벌써 25년이 지났다.

25년전 집을 떠날  나의 스승님께서 손수 그리시고 써주신 구절이 바로 증도가의 '絶學無爲休道人'  이였다.  

화선지에는 옛 사람이 크고 둥근 달 빛 아래 낚시대를 드려놓고 앉았고, 맞은편 멀리 초가집 한채가 옛 사람를 기다리고 있다.  

그림 아래 써 주셨던 '絶學無爲休道人'  구절은 지금도 내 마음 속에 간직되고 있다.

어쩌면 이번 100일 정진은 그 시절 , 그 마음 상태로 환본(還本)하는 정진이 될 지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관노트>    무조건 좋게 결정지어서 맡겨놓기


날짜:2024 1226

오늘의정진: 증도가(證道歌) 구절, 君不 그대 보이지 않는가


u  100 정진, 1 일차


어제 발심을 했고 오늘 정진 1일차 들어간다.


증도가(證道歌) 지은 영가(永嘉)스님(674~713) 중국 ()나라 시기에 살으셨던 분이다.  당시의 중국 불교는 육조혜능(六祖慧能: 638~713) 등장으로 ()불교가 중심으로 자리 잡았다. 기존에 교학(敎學) 중심으로 하던 수행방식을 완전히 전복 시킨 혁명과도 같은 수행을 내세웠기 때문이다.

돈오(頓悟), 단박에 깨닫는다 당시로서는 전혀 새로운 불교 수행이었다.

부처님 열반 이후 불법은 인도에서 28대조인 달마대사로 부터 중국에 전해졌다.

선불교에서는 달마대사를 선의 초조(初祖) , 1 조사로 삼는다.

핵심은 "불입문자 교외별전 직지인심 견성성불(入文字 敎外別傳 直指人心 見性成佛)" 이라 수있다.

직지인심, 바로 사람의 마음을 가르킨다. 마음을 깨치는 것이 부처라고 했다.

부처님 말씀을 경전을 통해 공부하여 부처와 같은 경지로 가는 것에서 경전을 통하지 않고 바로 마음으로 들어가는 것이 바로 '()' 이다.

선을 통해서 우리의 마음이 바로 부처와 같은 경지, 깨달음을 얻게 되는 것이 선불교가 번성하게 이유이다.

선에서 깨달음에 이르는 길은 돈오(頓悟)  점수(漸修) 나눠지는데 우리나라에는 성철 스님이 한때 논쟁을 불러 일으키기도 했었다.

돈오와 점수는 고려시대 보조국사 지눌스님(1158~1210) 의해 이미 정리가 되었다.


증도가는 '() 증득(證得) 노래()' 풀이할 있다.

증도가를 지은 영가스님은 혜능대사에게서 깨달음의 인가(認可) 받으신 스님으로 혜능대사 문하에서 직접 수행지도를 받으신 분은 아니라 한다.

혜능대사를 뵙기 전에 이미 스님은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렀고 그에 대한 인가를 혜능선사에게 받은 것이다.

수많은 수행자들이 깨달음에 이르렀어도 자신의 깨달은 바가 맞는지 검증이 필요하다고 한다. 거짓 깨달음에 빠질 수도 있고, 깨달았다고 착각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선지식(善知識) 찾아야 한다.

영가 스님이 조계산(曹溪山) 계신 혜능 스님을 찾아 뵙고 선문답을 통해 깨달음의 경지를 인가를 받게 된다. 인가를 마친 영가스님은 바로 떠나려고 했다.

그런데 혜능 스님은 영가스님을 하루 밤만 머물다 가라고 하셨다.

그래서 영가스님을 '일숙각(一宿覺: 하룻 밤의 깨달음)' 이란 별칭을 가지게 된다.

스님은 현세에서 하루 뿐인 인연이었지만 세세생생 함께 이어지게 된다.

공교롭게도 분이 713, 모두  같은 해에 세상을 떠나셨다.



증도가의 구절, (임금 , 아닐 , ) 군불견 으로 시작한다.

뜻은 통상적으로 군을 '그대' 라는 뜻으로 보고  <그대 보지 못하였는가>  혹은 <그대 보았는가> 해석한다. 성철 스님도 그렇게 해석하셨다.

그런데 나는 다르게 해석하고 싶다.

<그대 보이지 않는가>

이것은 전혀 다른 뜻으로 분명 차이가 있다고 생각된다.

본다는 뜻의 한자는 , , (, , ) 있다.

얼핏 같은 뜻인 같지만 사용되는 면에서 각각 차이가 있다.

중국어로 "看不见" (kan bu jian: 지엔) <보이지 않는다> 뜻으로 쓰인다.

이를 분석해서 보면 뜻은 사실은 <보는데 보이지 않는다> 뜻이 된다.

우리말로는 '' '' 전부 '보다' 뜻으로 있지만  앞의 간은 볼려고 하는 의도가 들어가 있다.

앞의 볼려고 시도하는 의지가 있는 능동적이고 , 뒤의 '보여지는' 약간의 수동적인 의미가 있는 것이다.

견은 보려고 하는 의지가 아닌 자연스레 혹은 저절로 보여지는 상태인 이다.

뉘앙스가 서로 전혀 다른 것이다.

따라서 불교에서 () '보려는 의지' 아닌 '보여지는 상태' 이해 해야 한다.

팔정도(八正道) 유명한  正見(정견) '바르게 보다' 뜻이지만 사실은 <바르게 보여지다> 이해해야 하는 것이다.

또한 깨달음의 단계에 해당하는 '견성(見性)' <성품을 보다> 아니라 <성품이 보여지는> 으로 이해 해야 뜻이 부합된다.


깨달음은 의지로 이루어 지는게 아니다. 성품을 볼려는 의지로 보아지는게 아니란 것이다. 깨달음이 와야한다. 성품이 보여져야 한다. 능동이 아닌 수동이다.

그래서 불교의 세계관에서 인연은 억지로 맺는게 아니다. 저절로 자연스럽게 되어져야 한다. 성품은 보여지는 것이다. 내가 본다고 해서 있는 것이 아니다.

깨달음이라는 경지에 다달아야지 저절로 보여지는 경지 것이다.

그렇다면 증도가 구절, (군불견) <결국 그대 보지 못하는가> 보다는 <그대 보이지 아니한가> 이해해야 한다.


증도가는 영가스님의 깨달음의 경지를 노래한 글이다.

그러니 '그대' 지칭하는 '' 아직   경지가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어느날 갑자기 보여지는 경지가 것이라고 믿는다.

문득 보여지는 경지.

그대 아직 보이지 아니한가.



마지막으로 () '' '' 모두 합친 상태의 '보다' 이해하면 좋을 하다.

관은 유위법(有爲法) 적인 대상과 사물을 바라보는 것이 아닌 무위법(無爲法) 해당하는 보이지 않는 대상을 보는 것을 뜻한다.

, '나의 마음을 들여다 본다' 때는 () 으로 써야 한다.

그래서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뜻이 세상의 모든 소리를 보는 보살이라고 했다.

소리를 어떻게 있는가? 그러니 무위법이다.

내면을 관한다. 이것도 역시 무위법이다. 보는 대상을 눈으로 보는게 아니기 때문이다.  

마음으로 관하는 , 그것이 바로 진정 나를 보는 것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잉크냄새 2024-12-26 14:4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첫걸음을 내딛었군요. 정진하시길...
 

 <관노트>    무조건 좋게 결정지어서 맡겨놓기


날짜:2024 1225

오늘의정진: 크리스마스 날인데 ... 마음 세우기 (발심 發心)


u  100 정진,  0일차

일전 부터 다시 ()어록을 보게 되었다.

하루에 구절이라도 참구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독서하고 독후감 쓰기도 벅찬데 매일 관노트를 쓰려고 하니 과연 해낼 있을까 싶다. 그런데 이미 2023 4 부터 7 까지 100 정진을 해본 경험이 있으니 이번에 다시 한번 도전해도 같다는 생각이 든다.

뭐든 한번 해봤으면 다음엔 쉬워지니까... 그걸 믿고 해야 겠다.

그때는 승찬대사의 신심명(信心銘) 풀어 봤는데 이번에는 영가(永嘉)스님(674~713) 증도가(證道歌) 해야 겠다는 마음이 자꾸 일어난다.

사실 증도가는 하고는 싶지만 감히

혹시 하루에 구절을 하더라도 개의치 말자고 다짐한다.

중요한 것은 발원이다. 발심을 내는게 중요하다.

그러니 오늘은 마음 내는 걸로 시작해야 겠다.


u  오늘 있었던

설이의 국가 장학재단 신청을 어제서야 신청을 하게 되었다.

사실 그전에 알고는 있었지만 귀찮은 마음이 강해서 그냥 모른 척하고 지나치려 했었다

그런데 쌍선이 형이 출근하자 마자 빨리 신청하라고 모르면 자기가 대신해 주겠다고 호들갑을 떤다.

피할래야 피할 없는 운명임을 느끼고 신청을 하기 시작했다.

내일이 신청 마감날 인데 홈페이지 내용만 봐서는 도대체 무슨 내용인지 이해가 안갔다.

오늘 전화로 물어 보려 했으나 계속해서 ARS 자동 응답만 들린다.

나중에 알고 보니 오늘이 크리스마스다. 한국은 크리스마스가 쉬는 날이었던 것이다. 이곳 중국은 전혀 상관이 없는데...

올해의 예수 보살님의 생일 축하 파티는 너무나 조용히 보내는 같다.

나만 그런가? 예수님, 성탄 축하드립니다. 메리크리스마스, 기쁘다 구주 오셨네.

잠깐, 여기서 구주는 救主, 구세주를 뜻하는 것이겠지?

세상을 구원하는 . 세상을 구하는 것은 잠시 미루고 ' ' 부터 구원해야 하는데..

그러니 정진해야 겠지....

암튼 신청 관련 질문은 내일 다시 전화로 의문나는 것을 물어 봐야 겠다.

그래서 연습장에 질문할 여러개를 적어놨는데 다른 부모들도 이럴까 싶다.

부모 노릇하기 쉽지 않다.

그런데 어쩌랴... 부모가 되서 해야할 일이 자꾸 생기는데...

이것도 돌려 놓고... 지켜 본다.

그래 이번 정진 발원은 "나 부터 구원하자."로 삼아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