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노트>    무조건 좋게 결정지어서 맡겨놓기


날짜:20241227

오늘의정진: 絶學無爲休道人(절학무위휴도인) 배움이 끊어지고 함이 없는 한가한 도인



u  100일 정진,  2일차


먼저 어제 언급했던 '보여지는' 약간의 수동적인 의미가 있는 것이라고 했었다

그리고 조금 깊이 보는 단계를 () 이라고 했다.

오늘 대해 깊이 보는 () 해보면 나타날 가깝다.

예를 들어보면 어두운 밤에 혼자 깜깜한 방에 들어가게 되면 눈으로 방안을 보면 어둡기 때문에 보이질 않는다. 그런데 방문 전등 스위치를 켜는 순간 밝아지면서 앞에 방의 전체 모습이 전부 드러나게 된다. 이때 비로소야 드러난 방의 실체를 눈으로 똑똑히 전부를 있게 된다. 이것이 바로 이고 깨달음이다.  

다시말해 견은 바로 나타나져() 보이는() 것을 뜻한다. 그래서 군불견, 그대 보이지 아니한가 뜻은 그대의 앞에 깨달음이 보이지 않는가 하고 묻는 것이다

깨달음은 나타나져야 있는 것인데 '그대 이제는 보이는가' 로 영가(永嘉) 스님(674~713)은  구절을 시작했다.

오늘은 증도가(證道歌)의 두번째 구절이다.


絶學無爲休道人(끊길 절, 배울 학, 없을 무, 할 위, 쉴 휴, 길 도, 사람 인)

절학무위휴도인 (배움이 끊어지고 함이 없는 한가운 도인은)

不除妄想不求眞 (아닐 부, 제거할 제, 망령 망, 생각할 상, 아닐 불, 구할 구, 참 진)

불제망상불구진  (망상을 제거하지도 않고 참을 구하지도 않는다.)


증도가 전체를 들어 가장 많이 알려진 구절이며 내가 가장 좋아하는 구절 이다.


이 구절은 승찬대사(僧璨510~606)신심명(心銘)의 첫 구절


<至道无难 지도무난 (이를 , , 없을 , 어려울 )

唯嫌拣择 유혐간택 (오직 , 꺼릴 , 가릴 , 가릴 )

도에 이르는것은 어렵지 않나니, 오직 가리고 택하는 마음만 꺼릴뿐이.>

더불어 선어록 중에 가장 유명하다.

어쩌면 증도가는 군불견 다음의 사실상 첫 구절인 '절학무위휴도인'과 신심명의 첫 구절 '지도무난' 은 의미로 볼 때 쌍둥이 처럼 서로 닮았다.


배움이 끊어지고 함이 없는 한가한 도인은 말 그대로 깨우친 사람을 말한다.

이것은 신심명의 도에 이르는 것 과 서로 상통한다.

그리고 그 경지는 어떻게 해야 도달하는가?

증도가에서는 망상을 제거하지도 않고 참, 즉 진리를 따로 구하지도 않는다고 했다.

신심명은 오직 가르고 택하는 마음, 즉 분별심을 꺼린다고 했다.

결국 도에 이르고, 도인이 된 사람들은 망상을 제거하거나, 진리를 얻고자 애를 쓰는게 아니다. 분별하지  않는 사람을 바로 도인 이라 부른다는 것이다.


에덴 동산의 아담과 이브가 선악과를 따 먹어서 원죄를 지은게 아니다.

선악과를 먹고서 분별을 했기 때문에 죄가 되는 것이다.

모든 죄의 근원은 분별심이다. 이것은 맞고, 저것은 틀렸다

즉 옳다.그르다, 좋다, 싫다로 나누는 그 분별심 이야말로 업을 지는 것이다.

그래서 승찬대사와 영가스님은 분별하지 않는 것이 도라고 하셨다.


도인이 되고자 해서 도인이 되는게 아니다.

그러니 배움이 끊어진 絶學 절학의 경지는 배울게 더 이상 없거나 배울 필요가 없다는 뜻도 아니다.

배워야 한다는 마음 자체, 즉 분별이 끊어진 상태라는 것이다.

뭔가를 일부러 지어서 할려고 하는 마음을 有爲 유위 라고 한다.

無爲 무위는 함이 없는 것을 뜻한다. 저절로, 자연 스럽게. 그러한 경지.

이 역시 수동에 가깝다. 그런데 이 수동은 수동이 되고자 해서 되는 건 또 아니다.

저절로, 자연스럽게. 그러하기 때문에 그러하게 되는 경지다.

분별이 사라지는 경지는 저절로 이루어 지는 경지다.

내가 분별을 하지 말아야지 해서 이루어지는 경지가 아닌 것이다.


노자(老子)의 사상을 접했다면 무위는 이해가 되는 단어다.

함이 없이 , 억지로 행하는 것이 아닌 行행 하는 가운데 한다는 생각 없이. 그냥

쉽게 말하면 그냥이다. 배고프면 밥 먹고, 목 마르면 물 마시고, 배 아프면 화장실 가고, 졸리면 자는 행위가 바로 그냥 하는 무위이다.

그냥 하는 경지. 분별이 없는 경지 그게 바로 무위다.

신심명과 증도가는 도의 경지를 글의 맨 앞 구절에 확실히 선포를 해버렸다.

깨달음의 상태에서 바로 그대로 들어가 버린 것이다.

마치 베토벤 운명 교향곡의 서곡과 같은 강한 충격과 인상을 마음 속에 새겨 놓는다.

증도가와 심신명의 첫, 두 구절뒤에 이어지는 구절들은 앞의 구절을 전부 변주하며 이어지는 것 과 같다.  깨달음의 오케스트라가 펼쳐지는 것이다.


絶學無爲休道人 절학무위휴도인 ( 배움이 끊어지고 함이 없는 한가운 도인은)

不除妄想不求眞 불제망상불구진 (망상을 제거하지도 않고 참을 구하지도 않는다.)

2000 1 7일은 내가 중국으로 처음 취업을 해서 오게 날이다.

지금이 2024 12 이니 벌써 25년이 지났다.

25년전 집을 떠날  나의 스승님께서 손수 그리시고 써주신 구절이 바로 증도가의 '絶學無爲休道人'  이였다.  

화선지에는 옛 사람이 크고 둥근 달 빛 아래 낚시대를 드려놓고 앉았고, 맞은편 멀리 초가집 한채가 옛 사람를 기다리고 있다.  

그림 아래 써 주셨던 '絶學無爲休道人'  구절은 지금도 내 마음 속에 간직되고 있다.

어쩌면 이번 100일 정진은 그 시절 , 그 마음 상태로 환본(還本)하는 정진이 될 지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