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노트> 무조건 좋게 결정지어서 맡겨놓기
날짜:2025년3월30일
오늘의정진: 獅子吼無畏說/사자후무외설/사자후의 두려움 없는 설법이여
- 100일 정진, 95일차
어제 증도가(證道歌) 백 열 일곱번째와 백
열 여덟번째 구절은
<在欲行禪知見力/재욕행선지견력/욕망 속에서 선정에 든 지견의 힘이여
火中生蓮終不壞/화중생련종불괴/불꽃에서 연꽃이 피니 끝내 시들지 않도다
勇施犯重悟無生/용시범중오무생/용시 비구는 중죄 짓고도 남이 없는
법을 깨치니
早是成佛于今在/조시성불우금재/벌써 성불하여 지금에 있음이로다> 였다.
수행자가 수행을 하는 목적이 번뇌를 없애기 위해서라고 흔히들
생각한다. 또한 죄를 지어서는 절대 안되고 계율은 꼭 지켜야 한다고 여긴다. 불자라면 가장 기본적인 5계는 물론 출가하신 비구스님은 250계, 비구니 스님은 348계나
되는 계율을 지켜야 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선(禪) 은 이러한 보편적인 상식을 뒤집어 놓는다. 선에서는 오히려 묻는다. 본래 내가 없는데 지은 죄가 어디 있는가? 어떠한 중죄(重罪)를 지었어도 무생(無生)의 도리를 깨우치면 가고 옴이 본래 공(空)하니 죄 또한 공함을 알게 된다는 것이다.
오늘은 백 열 아홉번째와 백 스무번째 구절
獅子吼無畏說/사자후무외설/사자후의 두려움 없는 설법이여
深嗟懞憧頑皮靼/심차몽동완피달/어리석은 완피달은 몹시 슬퍼하는 도다
只知犯重障菩提/지지범중장보리/중한 죄를 범하면 보리를 막는 줄만
알뿐
不見如來開秘訣/불견여래개비결/여래께서 비결을 열어 두심은 보지 못하도다.
현대 중국어에서 頑皮(wán pí 완피)는 ‘말썽
꾸러기, 두꺼운’ 같은 뜻이 있다. 즉 아직 다스려지지 않은, 가공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달(靼) 은 ‘가죽’ 이란 뜻으로 완피달이란 가공되지 않은 무척 두꺼운 가죽으로
여기에서는 마음이 완피달 같이 무척 두껍다는 것이다. 사자의 두려움 없는 설법은 바로 돈오(頓悟)의 가르침이다. 사자후(獅子吼)같이 내지르는 돈오의 깨우침을 어리석은 완피달 같은 마음이라면
얻지 못한다. 깨달음은 죄가 없어야 구원받는 결과물이 아니다. 부처를
이루는 깨달음과 죄가 있고 없음은 아무런 관계가 없다. 그것이 바로 여래가 알려 주신 비결임에도 사람들은
알지 못한다는 것이다.
부처의 마음은 모든 생명을 잉태하는
바다와 같다. 바다물은 깨끗하고 청정한 물로만 이루어 진 것이 아니다.
바다물은 더럽고 깨끗한 물을 구별하지
않고 세상 온갖 물들을 받아들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다에는 수 없이 많은 생명들이 넘치고 살아 숨쉬는
곳이다.
부처의 마음도 그와 같아 죄가
있든 없든 결국엔 부처를 이루게 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자비(慈悲)에 차별이 있다면 그건 자비가 아니다. 그래서 불교를 자비의 종교라고 하는 것이 아닐까?
여기서 주의할 점이 있다. 부처의 자비는 이미 지은 죄에 대한 고통을 받지 말고 어서 벗어나라는 뜻이지 그렇다고 일부러 죄를 짓는 어리석음에
빠져서는 안된다.
<일일 소견>
긴 겨울의 끝에 봄인 줄 알았는데
겨울은 아직도 떠나기를 온 몸으로 거부하는 것 같다.
얼마나 더 떨고 나서야 꽃 잎
피어나는 따사로운 봄을 맞이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