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노트>    무조건 좋게 결정지어서 맡겨놓기


날짜:2025213

오늘의정진: 爭似無爲實相門 쟁사무위실상문 /다툼이 없는 실상문에


- 100일 정진, 50일차


어제 증도가(證道歌) 마흔 아홉번 째 구절은

<勢力盡箭還墜 세력진전환추  /세력이 다하면 화살은 (바닥으로) 다시 떨어질 것이니

招得來生不如意초득래생불여의/  내생에 뜻과 같지 않은 과보를 불러 얻게 된다.> 였다.


우리가 사는 지구는 물리의 법칙에 지배를 받는다.

그러니 아무리 강한 힘으로 하늘을 향해 화살을 쏘아도 결국 지구의 인력으로 인해 땅에 떨어지고야 만다.

로켓의 강한 추진력이 있어야 지구의 인력을 벗어 날 수 있다.

윤회의 법칙도 같은 도리다.

아무리 착한 일을 많이 하고 살았다 하더라도 죽어서는 그에 상응하는 과보를 받게 된다.

오직 무심(無心)으로 하는 일이어야 인과에 메이지 않는다.


오늘은 쉰번 째 구절

爭似無爲實相門 (다툴 쟁, 같을 사, 없을 무, 할 위, 열매 실, 서로 상, 문 문)

쟁사무위실상문 /다툼이 없는 실상문에

一超直入如來地 (한 일, 뛰어넘을 초, 곧 직, 들 입, 같을 여, 올 래, 땅 지  )

일초직입여래지/  한 번에 뛰어넘어 여래의 경지에 바로 들어감과 같도다.


우리가 사는 이 세상엔 수 많은 언쟁과 다툼이 끊이질 않는다.

그래도 이 가운데 묵묵히 수행을 하는 사람들이 존재한다.

이들은 다툼의 원인이 분별심에서 생기는 것임을 분명히 안다.

분별이 사라지면 당연히 다툼도 사라진다.

그러할 때 실상문, 즉 깨달음의 문에 들어서게 된다.

결국 마음을 깨닫는다는 것은 세간의 분별에서 벗어났다는 의미이다.

그리고는 단번에 여래가 깨달았던 그 경지의 문에 들어선다는 의미가 된다.

우리의 생활은 유위법(有爲法)과 무위법(無爲法)의 조화를 이루고 살아야 한다.

유위법만으로는 세상의 50% 밖에 이해할 수 없다.

유무가 함께 공존함을 분명히 인식하고 있어야 한다.

()은 단박에 유위의 세상에서 무위의 세상으로 들어가는 문()이다.

본래 유무가 둘이 아니지만 우리의 인식은 둘로 나눠 보고 있다.

선은 그러한 인식을 단박에 놓도록 이끌어 주는 역할을 한다.


<일일 소견>

색즉시공, 공즉시색(色卽是空, 空卽是色) 색이 곧 공이고, 공이 즉 색이다.

불교는 우리의 현실은 실제가 아니라고 반야심경을 비롯하여 누누히 언급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세상이 진짜가 아니라는 말에 단번에 수긍하기 어렵다.

분명히 만져지고, 느껴지는 내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불교는 본래 내가 없음인 '무아(無我)' 를 여실히 깨달아야 한다고 했다.

무아를 알기전 까지는 세상은 실제다.

우리가 사는 세상이 환영(幻影) 임을 알기까지 얼마나 시간이 더 필요한지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