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노트>    무조건 좋게 결정지어서 맡겨놓기


날짜:2025년 118

오늘의정진: 窮釋子口稱貧 (궁석자구칭빈) 궁색한 부처님 제자 입으로는 가난하다고 하나


- 100일 정진, 24일차


어제 증도가(證道歌스물 세번째 구절은 

<調古神淸風自高貌悴骨剛人不顧/조고신청풍자고모췌골강인불고

옛적의 신령하고 맑은 바람과 같은 곡조 스스로 높고겉 모습 초췌하나 뼈는 강한 사람은 뒤 돌아보지 아니한다> 였다


불고(不顧)는 좌고우면(左顧右眄이었다

왼쪽으로 돌아 보고 오른쪽을 흘겨보다는 의미이다

살불살조의 심정으로 살아야 함에도 우리는 늘 현실에 타협하고야 만다.

늘 의심해야 함에도 언제나 편안함에 안주하고야 만다.

불고(不顧)는 한 눈 팔며 돌아보지 말고 타협하지 말고 당당하게 걸으라는 말이었다.

수처작주,입처개진(随处作主,立处皆真머무는 곳 마다 주인이 되고서는 곳 마다 진리가 되게 하라는 임제(临济선사의 할과 같은 경책이었다.

그러니 성철 스님께서 하신 거뜰떠 보지 말라고 한 뜻도 결국 같은 맥락이었던 것이다.

수행의 길에서 진리가 아니면 거들떠 보지 마라.’

오직 구도를 향한 마음의심이 신심(信心)으로 변화한다.

 

오늘은 스물 네번째 구절

窮釋子口稱貧(다할 궁해석할 석아들 자입 구저울 청가난할 빈)

궁석자구칭빈 궁색한 부처님 제자 입으로는 가난하다고 하나

實是身貧道不貧 (사실 실바로 시몸 신가난할 빈길 도아닐 불가난할 빈)

실시신빈도불빈사실 몸은 가난하여도 도는 가난하지 않으리

 

어제의 구절 貌悴骨剛(모췌골강)’과 같은 맥락으로 이어진다

모체(貌悴)는 겉으로 보이는 모습은 초췌하다는 뜻이었다

궁석자(窮釋子) 는 궁색한 부처님 제자를 뜻한다

즉 궁색한 부처님 제자는 무소유를 실천하며 남들의 시선으로 보면 걸인과 다를 바가 없다

수행자는 세속적인 부에는 관심이 없다

그들이 추구하는 것은 세속(世俗)의 부(富)가 아닌 탈속(脱俗) ()이기 때문이다.

깨달음의 희열은 그 어떤 물질적인 만족 보다도 더 크다.

또한 골강(骨剛)  뼈처럼 강한 강건한 정신굳은 마음을 뜻한다고 했다.

결국 수행자는 겉모습은 초췌해 보이고 몸도 가난하지만 , 마음은 강건하여 도가 넘쳐 흐르니 어찌 가난하겠는가? ‘는 뜻으로 갈무리가 된다

 

<일일 소견>

나는 수처작주,입처개진(随处作主,立处皆真처럼 당당하게 살고 있는가?

한 눈 팔지 말고 움츠리지 말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