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노트>    무조건 좋게 결정지어서 맡겨놓기


날짜:2025114

오늘의정진: 淨五眼得五力 (정오안득오력) 오안을 깨끗히 하여 오력의 힘을 얻는 것은


- 100일 정진, 20일차


어제 증도가(證道歌) 열 아홉 번째 구절은

<六般神用空不空, 一顆圓光色非色 (육반신용공불공, 일과원광색비색)

여섯가지 신통 묘용 공하면서 공하지 않고, 한 덩이 둥글고 빛나는 색이면서 색이 아니다.> 였다.


깨닫기 전에 이미 숙명통(宿命通), 천안통(天眼通,) 타심통(他心通), 천이통(天耳通), 신족통(神足通)등의 오신통(五神通) 얻었다 해도 () 아니다.

거기에 누진통(漏盡通) 해져야 이상이 없는 깨달음, 진정한 무상정각(無上正覺) 이루게 되는 것이다.


오늘은 스무 번째 구절

淨五眼得五力 (깨끗할 정, 다섯 오, 눈 안, 얻을 득, 다섯 오, 힘력)

정오안득오력/ 오안을 깨끗히 하여 다섯 가지 힘을 얻는 것은

唯證乃知難可測(오직 유, 증명할 증, 이에 내, 알 지, 어려울 난, 옳을 가, 잴 측)

유증내지난가측 / 오직 증득해야 알 뿐 헤아리기는 어려워라.


<금강경(金剛經)> 18() 일체동관분(一體同觀分) 에서는 오안(五眼)에 대하여 부처님과 수보리의 대화로 언급되어진다.

오안은 육안(肉眼), 천안(天眼), 혜안(慧眼), 법안(法眼), 불안(佛眼) 한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눈으로 본다고 하는 것은 육안을 말한다.

우리 인간은 육안을 통해 보이는 대상을 시각 정보화 하여 뇌로 전달되고 뇌에서는 정보를 바탕으로 이미지를 만든다.

우리는 사실 보는 대상의 본질을 보는게 아니라 뇌에서 만들어낸 시각정보의 이미지를 보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육안으로 인식할 있는 범위는 대단히 제한적이다.

빛이 없으면 우리는 아무 것도 수가 없다.

인간이 진화의 과정 형성된 생리학적 구조로 인해 우리의 시세포는 가시광선(可視光線) 있기 때문이다.

우리 육안으로 있는 가시광선은 빛의 전체 스펙트럼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적외선, 자외선, X, 감마선 같은 넓은 영역의 빛은 육안으로 결코 수가 없다.

그러나 천안(天眼)부터는 인간의 육안을 초월한 경지의 단계이다.


천안, 혜안, 법안, 불안 이라는 순서로 육안으로 없는 영역을 보는 것이.

그것을 모두 합쳐서 심안(心眼)이라고 한다

그렇다. 마음의 이다.

육안이 현상계의 () 있다면 천안(天眼) 색과 무색(無色) 보며 또한 넘어 인과(因果) 있는 눈이라 한다.

어제 설명했던 천안은 천안통의 신통처럼 천리 밖을 내다 있으며 전모(全貌) 속속들이 있다.

하지만 아직 대상의 본질을 뚫어 있는 경지는 아니다.

혜안(慧眼) 되어야 모든 대상의 실체와 본질은 본래 () 하다는 것을 있다

그러나 아직 만물만생을 비추어 있는 경지는 미친다.

법안(法眼) 만물만생을 두루 비추어 있고 그들을 또한  깨달음의 세계로 인도하여 있는 경지가 되었다.


여기까지만 이르렀어도 이미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 있는 경지에 이르렀다. 하지만 아직 움직임 없는 움직임, 무위(無爲) 경지에 이르지는 못했다.

마지막 불안의 단계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모든 우주적인 영역으로 비추어 봄을 자유자재(自由自在) 있다.

이처럼 육안을 넘어 심안으로 있는 오안의 힘이 바로 오력(五力)이자 오신통(五神通) 가진 힘이다.

이러한 경지는 범부가 아무리 생각으로 헤아려 볼래도 알 수가 없는 경지이다.

오직 몸소 깨우쳐 증득(證得) 해야만 하는 경지인 것이다.


바로 신라의 의상대사(義湘大師625~702)의 법성게(法性偈) 속의 한 구절 '證智所知非餘境(증지소지비여경)'  처럼 오직 깨친 지혜로 알일 일뿐 다른 경계로 알 수 없는 경지인 것이다.


淨五眼得五力, 唯證乃知難可測 /정오안득오력, 유증내지난가측

오안을 맑혀 오력을 얻음은 , 오직 깨우쳐 증명할 뿐 헤아리기는 어려워라.


깨달음과 신통력은 오직 체험을 해야 알 수 있다.

그러니 올바른 길을 인도(引導)하는 참 된 스승이 필요한 것이다.


<일일 소견>

장님이 앉은뱅이를 업고 길을 가듯 가는 길 헤메도니

언제 내 눈이 떠지고, 언제 내 걸음 내 딛을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