춤추는 고복희와 원더랜드
문은강 지음 / 다산책방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 문은강은 1992년생이다.

79년생인 나도 가물거리게 어렴풋 지나가버린 부모님 세대의

 경제적 침체를 아주 가까이서 마주하며 소설에 녹였다.

책을 읽기전에 책표지를 처음 보고 왜 이런 인물그림이 있을까 싶었다. 뭐지?

예쁘지는 않았고, 삶의 연륜이 느껴지는 모습도 아니라

크게 매력적이지 않는 이 인물을 왜 표지에 싫었을까?

어떤 힌트도 얻지 못한체 읽게된 이소설을 읽어가며

고복희가 묘사될 때마다 다시 표지를 넘겨다 보기를 자주 그랬다.

 그러다 보니 딱이네!

표지가 왜 이렇게 나왔는지를 알것만 같았다.

살아오던 자신의 원칙과 루틴을 깨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원더랜드의 원칙을 깨고 재정난의 돌파구로써

 '원더랜드에서 한달 살기'프로젝트는 시작되었다.

어느 누가,
인기 없는 여행지인 캄보디아의 프놈펜에서,
그것도 고복희가 운영하는 호텔에서
한달 살기를 자청할까?
불가능한 계획이라고 고복희는 생각했다.


한국에서 별다른 일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던 박지우는 충동적으로 결제 버튼을 눌렀다.

나도 한번 가보지, 그깟 외국 여행.
동시에 그러고 나면 기적같이 모든일이 마법처럼 술술 풀릴것만 같았다.

우리는 SNS에 본것을 부러워하고 나는 왜 못하지 자괴감을 느끼고

 나도 열과 성을 다해 찍은 사진을 올리고

, 검열 받듯 내 삶을 투명한 유리속으로 몰아 넣는다.

"아가씨가 살기는 한국이 낫지. 아가씨처럼 젊은 사람은 몰라.

여기는 딱 70년대 우리나라 풍경이야.

도심은 그래도 낫지. 외곽으로 갈수록 더해요, 아가씨 나이가 몇살이야?"

"저 94년생인데요."

"딱 아가씨 부모님이 살던 모습이야. 아가씨가 봤을때 완전 후지지?

 뭐 이딴 나라가 있나 싶지? 근데 우리 어렸을 적에 다 이러고 살았어.

이렇게 살면서 열심히 공부해서 대학도 가고 취직도 하고 자식도 기르고 다 했다고..."


이 대목에서 부모님 생각이 스쳤다.

 너무 빠르게 변하고 있어서 부모님들이 살았던 그 정신없고 배고프고 불우했던 시절이 웬지 갑자기 없어져 버린듯한 새로운 시대에서,

 공감을 나누기 힘들게 단절되어 있던 무언가를 찾을 수 있겠다는

 생각으로 들뜨는 기분을 느꼈다.

말로만 듣던 부모님의 힘든 시절을 들여다보고

 잠시나마 위로와 공감을 할 수 있다면

 부모님과 함께 캄보디아 여행을 기꺼이 선택해서

 현지인들의 모습을 잘 볼 수 있는 곳들로 자유여행 하고 싶다는 마음까지 생겼다.

이 소설에서 다른 세대의 다른 삶을 공감할 수 있는

 교두보 느낌을 받으며 이 소설의 필요성을 생각했다.

세상은 이전과는 다른 방식으로
작동되고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 만난 물고기
이찬혁 지음 / 수카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https://m.blog.naver.com/kih451145/221682435355

이 책은 바다를 연상 시키듯, 파랑색 글자로 책 전체가 써내려졌다. 블루의 이미지!
천천히 유유히 일렁이는 바다. 자유와 평화.

이책 덕분에 느리게 흐르는 시간을 배운다.
하루하루 살다보니 내눈이 어딜 보고 있는지, 귀는 무얼 듣고 있는지 자각해본 일이 거의 없는데, 이 소설을 통해 내가 들이 마시고 내밷는 숨까지 들여다 보게 된다.

남자들은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하기 힘들다고 하던데, 어쩜 이리 섬세하게 많은 것들을 받아들이고 내보내는지...

내가 아는 사랑이 담백하고, 간단 명료한 반면 그의 사랑은 나노로 쪼개어진 감정선을 가졌다.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감정 또한 그렇다.

우선 나는 듣는 음악만을 즐길 수 있는 사람이라 음악으로 표현해 내는 사람들이 신기하고 부럽기 그지 없다. 내게 그들은 마치 5개국어나 외계어가 가능한 사람처럼 우러러 보인다.

음악인 이찬혁의 소설이라니~~~

책 초반부 읽어가기가 더뎠던 이유는 내가 모르는 감정언어로 이런 감정선들을 얘기하고 있다 보니 단순한 언어만 반복적으로 사용하던 나는 마치 제2외국어라도 만난듯이 이해하려 애쓰고 있었는지 모른다. 사실은 그래서 이책이 좋았다.

신선한 매력으로 깊은 마력으로 독자를 이끈다.

음악을 소설로 표현하면 이렇고
소설을 음악으로 표현해도 이렇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 만난 물고기
이찬혁 지음 / 수카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https://m.blog.naver.com/kih451145/221682435355

이 책은 바다를 연상 시키듯, 파랑색 글자로 책 전체가 써내려졌다. 블루의 이미지!
천천히 유유히 일렁이는 바다. 자유와 평화.

이책 덕분에 느리게 흐르는 시간을 배운다.
하루하루 살다보니 내눈이 어딜 보고 있는지, 귀는 무얼 듣고 있는지 자각해본 일이 거의 없는데, 이 소설을 통해 내가 들이 마시고 내밷는 숨까지 들여다 보게 된다.

남자들은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하기 힘들다고 하던데, 어쩜 이리 섬세하게 많은 것들을 받아들이고 내보내는지...

내가 아는 사랑이 담백하고, 간단 명료한 반면 그의 사랑은 나노로 쪼개어진 감정선을 가졌다.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감정 또한 그렇다.

우선 나는 듣는 음악만을 즐길 수 있는 사람이라 음악으로 표현해 내는 사람들이 신기하고 부럽기 그지 없다. 내게 그들은 마치 5개국어나 외계어가 가능한 사람처럼 우러러 보인다.

음악인 이찬혁의 소설이라니~~~

책 초반부 읽어가기가 더뎠던 이유는 내가 모르는 감정언어로 이런 감정선들을 얘기하고 있다 보니 단순한 언어만 반복적으로 사용하던 나는 마치 제2외국어라도 만난듯이 이해하려 애쓰고 있었는지 모른다. 사실은 그래서 이책이 좋았다.

신선한 매력으로 깊은 마력으로 독자를 이끈다.

음악을 소설로 표현하면 이렇고
소설을 음악으로 표현해도 이렇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 만난 물고기
이찬혁 지음 / 수카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바다를 연상 시키듯, 파랑색 글자로 책 전체가 써내려졌다. 블루의 이미지!
천천히 유유히 일렁이는 바다. 자유와 평화.

이책 덕분에 느리게 흐르는 시간을 배운다.
하루하루 살다보니 내눈이 어딜 보고 있는지, 귀는 무얼 듣고 있는지 자각해본 일이 거의 없는데, 이 소설을 통해 내가 들이 마시고 내밷는 숨까지 들여다 보게 된다.

남자들은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하기 힘들다고 하던데, 어쩜 이리 섬세하게 많은 것들을 받아들이고 내보내는지...

내가 아는 사랑이 담백하고, 간단 명료한 반면 그의 사랑은 나노로 쪼개어진 감정선을 가졌다.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감정 또한 그렇다.

우선 나는 듣는 음악만을 즐길 수 있는 사람이라 음악으로 표현해 내는 사람들이 신기하고 부럽기 그지 없다. 내게 그들은 마치 5개국어나 외계어가 가능한 사람처럼 우러러 보인다.

음악인 이찬혁의 소설이라니~~~

책 초반부 읽어가기가 더뎠던 이유는 내가 모르는 감정언어로 이런 감정선들을 얘기하고 있다 보니 단순한 언어만 반복적으로 사용하던 나는 마치 제2외국어라도 만난듯이 이해하려 애쓰고 있었는지 모른다. 사실은 그래서 이책이 좋았다.

신선한 매력으로 깊은 마력으로 독자를 이끈다.

음악을 소설로 표현하면 이렇고
소설을 음악으로 표현해도 이렇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후변화의 과학과 정치 - 일반인을 위한
공우석 외 지음 /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경희대학교출판부)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https://m.blog.naver.com/kih451145/221680261146

기후변화가 우리 시대의 결정적 이슈이고 우리는 결정적인 순간에 살고 있다.

얼마전 본 소설속에서, 인간은 더이상 회생이 불가능해진지구를 버리고 우주로 떠나고자 했다.

어떻게 하면 지구를 버려야할 정도로 지구가 사람이 살 수 없는 곳이 되는지 쉽게 그려지지가 않았다. 핵과 방사능? 전쟁? 사실 지구탈출이라는 비극을 낳은 원인은 어떠한 큰 사건이 아닐 수 있다는 것을 오늘 이책으로 알수 있었다.

인간활동이 낳은 환경파괴의 원인과 향후 결과를 생각해 볼 수 있어서 도움이 되는 동시에 경각심과 동기유발을 기대한다.

어제도 내가 만들어낸 쓰레기와,음식쓰레기가 많다. 쓰지 않기는 힘들다해도 줄이기는 할 수 있다. 일회용품 줄이기, 음식쓰레기줄이기, 전기사용 줄이기, 물 아껴쓰기라도 개개인이 각성하고 실천해 간다면 우리 아이들의 미래텃밭이 보존될 수 있다.

우리 모두의 책임이라는 것을 잊지 말았으면 하는 마음이가득해진다.

파리기후체제에서는 각국이 자발적으로 자국에 맞는 목표를 세우고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보고해야 한다.

지금 우리나라의 저탄소운동을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하는것이 이런 환경기준을 지켜내기 위함인 것이다.

파리협정에 이르기까지 몇가지 중요 쟁점중에 하나가 선진구만의 에너지 감축으로는 기후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몰랐던 사실이기도 한 하나는 인도에 관한 부분이었다. 선진국이 아니지만 인도는 온실가스 배출3위국이다. 화석연료만이 온실가스를 배출하는것은 아닌것이다.


온실가스배출 1위 중국이 28% 미국이 16% 인도 6%로 3위이다.

인도의 인구는 13억 6000만명으로 중국 다음 세계2위이고, 인구증가율은 중국의 서 배쯤 되어,곧 세계 1위로 올라설 예정이다.

그런데 인도는 국제사회에서 개발제한을 요구할 수 없을 정도로 너무 가난하다. 인도와 같은 개도국이 화석연료를 그다지 쓰지 않고 1차 에너지원을 이용하지만 땔내무, 숯,작물,잔여물,동물배설 등의 바이오매스는 단지 가난해서 쓸 수 밖에 없는 에너지원이다. 에너지 빈곤에 시달리는 인구가 3억 명이 넘는다.


국가가 기후변화라는 문제에 대응하는 사정과 속내는 모두 다르다. 아직까지 구속력이 아니라 자발적 감축에 의존하고 있기에 현실이 매우 암담하다. 근본적으로 국가는 국제공동체의 선보다는 자국의 이익에 더 충실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