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의 두 얼굴 - 사랑하지만 상처도 주고받는 나와 가족의 심리테라피
최광현 지음 / 부키 / 2012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가족의 두 얼굴』 상처 회복의 길, 나와 마주하기.

 

가장 치명적인 얘기는 안 하고 싶어지는 게 사람 마음이다. 치명적이라는 표현이 좀 강하게 들릴 수 있겠지만, 그것 말고는 딱히 어울리는 단어를 찾지 못하겠다. 꼭꼭 숨겨서 거짓으로 위장해야겠다는 것이 아닌, 굳이 드러내고 싶지 않은 주춤거림이다. 이런 내용의 많은 이야기 중에서 유독 그 깊이를 가늠하기 힘들게 하는 것이 가족 이야기다. 나에게도 그렇거니와 주변 사람들을 봐도 비슷한 생각을 많이 듣는다. 가족이 있어서 행복하고 다행이라고 생각하면서도 가장 아프고 깊은 상처를 주는 것이 가족이라는 모순을 끌어안고 살아간다. 나 역시도, 아주 모르쇠로 일관할 수 없는 마음이라는 것을 안다. 가족은 의지가 되고 안심이 되는 존재다. 반면, 나를 한없이 힘들게 하는 존재이기도 하다. 최광현의 『가족의 두 얼굴』은 이미 제목에서부터 그 내용을 드러내고 있다. 우리가 보는 가족에 대한 시선을 드러내는데, 그게 진실일 수도 있고 착각일 수도 있다. 한 가지 분명한 건, 어느 쪽으로든 마음이 편하지 않다는 거다. 그러면서도 이 책에 기대를 하게 된다. 오랜 시간 나에게, 내 주변 사람들에게 행복과 아픔이란 감정을 품게 하는 가족이란 화두를 제대로 들여다보고 싶었기에 말이다. 완벽하게는 아니더라도 조금은 더, 지금보다 나아지는 관계 회복을 위해서라도 가족이란 관계의 양면성을 보고 싶었다. 특히, ‘사랑하지만 상처도 주고받는 나와 가족의 심리테라피’라는 부제에서 무언가를 기대하는 마음은 커졌다. 치유, 그 이상의 것을 보고 싶은 바람이었는지도 모르겠다.

 

이 책은 가족 안에서 일어나는 그 문제, 그 상처의 시작이 어디부터인가를 보게 한다. 가족이 무엇이고 가족은 어떤 존재이며, 가족이란 이름에 함께 수반되어야 할 조건이 무엇인지 끊임없는 질문과 고민들을 한꺼번에 던진다. 우리가 오늘을 살면서 발생되는 많은 문제들, 심리적 ․ 경제적 그 이상의 문제들 속에 가족이 있다. 누군가 아픔을 호소하지만 상처가 겉으로 보이지 않는다. 눈으로 보이는 상처보다는 가슴 속에 품은 상처가 더 깊고 아픈데다 그 치료가 힘들다는 것을 한 번 더 알게 되는 순간이다. 분명 아프니까 고통을 호소하는데 그 고통의 원인을 쉽게 찾을 수가 없다. 그럼 어떤 치료를 통해 회복해야 하는지도 어려워진다. 이때, 저자가 들려준 답은 ‘아픔을 치료해야 하는 순간에 드러나야 할 것은 과거로의 회귀’였다. 우리가 아이였을 때나, 어른이 되었을 때 나타나는 문제의 근원을 찾아가야만 한다는 거다. 원인 없는 아픔은 없다. 지금 내 안에 가득한 상처들이 쌓인 이유와 근거가 분명히 있다. 그 치유의 시작이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이다.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이 가족의 테두리 안에서 발생한 아픔의 원인들이다. 우리에게 일어나는 많은 일들이 모두 가족에서 근원하는 건 아니지만, 가족이라는 관계는 내가 태어나서 가장 먼저 접하고 이루어가는 구성이니 그 시작이 가족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한 가족 안에서 만들어지고 키워지는 문제들은 우리가 더 나아가서 만날 학교나 사회, 그 이후로 펼쳐져야 할 미래까지 영향을 미친다. 저자가 이 책을 통해 들려주던 사례에서만 봐도 그렇다. 이유 없이 슬프고 외롭다고 하지만 찾아보니 이유가 있고, 가족에게서 벗어나고 싶다고 하는 이에게는 가족과 함께이기에 짊어져야 할 아픔이 있다.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외로움을 겪어야만 하는 이도 있다. 편안하고 만만한 화풀이 대상처럼 가족을 대하는 이도 있다. 아무렇지도 않게 상처가 되는 말을 쏟아 내는 모습에 상처는 더 깊어진다. 가족이니까 당연하게 감당해야 하는 것처럼 보였고, 또 그래왔던 시간들이 있다. 그렇게 만들어가는 인성과 환경, 가치관은 보편적으로 이어가는 사회생활이나, 배우자를 만나고 내가 만들어가는 새로운 가족이라는 관계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가족이라는 그 이름을 앞에 두고 우리는 무엇을 알고 있었나...

 

나와 가족을 둘러싼 문제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내가 나고 자란 가족이 그 상처의 원인인 경우가 많다고 한다. 굳이 소리 내어 말하지 않았을 뿐이지 어쩌면 우리의 내면에서 그 답을 이미 찾아내어 알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우리가 겪어왔던 어린 시절의 상처와 아픔에서 벗어나야만 한다. 그렇지 않으면 지금도 앞으로도 우리 안의 상처는 반복되어 불행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저자는 수학문제의 정답처럼 어떤 정해진 숫자를 내놓지 않았다. 다만, 쉽다면 쉽고 어렵다면 어려운 숙제 하나를 내주었다. 나와 마주하기. 내 안의 나를 직면하고, 상처의 시작이 되었던 나의 내면아이를 찾아내어 치유해야 한다는 것. 어린 시절, 나에게 시작되었던 상처를 직시해야만 하며, 그 시간을 보듬고 공감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 상처의 시작점을 찾아가라고. 결국 앞으로의 시간이 해결해주는 것이 아닌, 그 상처의 원인인 과거의 시간을 찾아가야만 치유의 시작이 진행된다는 것일 테다. 나와 가족을 둘러싼 문제들이 어떤 양상으로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지 직면하는 것이야 말로 명의의 처방이었다. 그 다음으로 무엇이 달라질지는 우리 자신의 의지에 달렸다. 얼마만큼의 나를 찾아내느냐, 어떤 마음으로 그 치유의 모습을 감당하느냐, 하는.

 

내가 얼마만큼 나아가고 치유해갈 수 있는지 알 수 없어서 두렵기도 하다. 불확실성에 대해 거는 기대가 무모해질까봐 무섭기도 하지만, 아무 것도 하지 않고 이 상처를 그대로 끌어안고 살아간다면 내일을 만나야 한다는 현실이 무의미해진다. 이대로는 치유되지 않는 상처에 발목 잡혀 삶이 이어질 것이다. 그러니 그 두려움, 무서움 떨쳐내고 저자의 처방대로 나를 돌아보는 그 시간으로 달려가는 것, 그게 지금의 나에게, 우리에게 주어진 숙제다. 이 책 속의 사례에 등장하는 사람들, 아직 드러내지 못한 상처들로 아파하고 있는 모든 이들에게까지 공통으로 주어진 숙제다. 모든 것은 나에게로의 회귀에서 다시 시작한다. 가족이란 이름과 관계를 다시 쓸 기회가 주어졌으니 잡아야 한다. 이제, 가족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이 주어질 그 순간을 기대하며 나(우리)를 만나러 간다. 모든 상처가 시작되었던 그때의 나(우리)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