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eBook] [합본] 비정규직 황후 (전3권/완결)
한민트 / 퀸즈셀렉션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확실히 난 주인공들이 좀 괴로워해야 몰입하는 경향이 있다. 그 점에서 이 책은 내 취향이 아니라서 일단 별 하나 빼고. 글은 상당히 좋다. 특히 두 가지가 좋았는데.


(스포일러 있음)



서브남주가 여주를 십몇 년 동안 못 잊고 있는 심리 묘사가 좋았다. 그렇지. 자기가 평생을 건 일에서 천재를 만나버렸는데 그 상대가 연애가능성별연령이야. 게다가 첫사랑이야. 십몇 년 아니라 평생 가도 안 잊고 집착에 시달릴 만하지. 살리에리가 한참 성가 날리고 있는데 19세 미소녀 모짜르트를 만났다면 느낄 만한 감정? 


그 다음에는 콘스탄체가 여성 혁명(?)을 저지하는 부분. 거기서 나와 (내게 이 책을 소개한) M은 결국 참지 못하고 "으...역시 멘셰비키가 문제야 제일 나빠나빠." 하고 내뱉었으며, M은 "게다가 그 다음이 분리주의라니, 이건 마치 세계혁명을 포기하고 일국사회주의로 전환한 쏘-련의 노선과 같지 않습니까!"하고 분통을 터뜨렸던 것이다. 아...정말 말 그대로 '한마음 한뜻'의 세계혁명(?)을 볼 수 있었는데 아쉬웠다. 


하여간 재미있고 치밀한 복안, 잘 쓴 글이었다. 

무슨 수단으로 숲을 엘첸 안에 출현시켰는지는 알 수 없지만, 숲이 섞이고 여자가 나무로 변했다. 마녀의 지배력이 어디까지 미치는지도 파악할 수 없었다. 지각변동은 계속되고 있었고, 몬스터가 나왔다.
게다가 가용 병력의 수는 적었다.

천 년의 세월은 모든 종족의 생활 방식을 바꿨다. 오크와 인어는 인간과 교역을 시작했고, 켄타우로스는 작은 씨족 단위로 분리되어 더 깊은 숲으로 숨었으며, 리자드맨과 라미아, 하피는 힘을 합쳐 인간과 비슷한 형태의 왕국을 세웠다. 더 이상 종족의 명운을 걸고 인간과 전쟁을 하려는 이들은 없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북유럽 신화
닐 게이먼 지음, 박선령 옮김 / 나무의철학 / 2017년 7월
평점 :
판매중지


뭐, 딱 그러한 느낌이었다. 


북유럽 신화 원전이 한정되어 있는데 이야기가 변해봤자 어디로 가랴마는, 닐 게이먼이라서 기대한 기괴함이나 웅대한 분위기 같은 건 별로 없었다. 그냥 '북유럽 신화를 잘 정리해 놓은 우등생의 수업노트' 같았달까. '북유럽신화에 이런 게 어디 있어' 할 부분도 없고 '북유럽 신화에 이런 것도 있었어?' 할 부분도 없다. <안인희의 북유럽 신화>와 다른 부분이 있다면 니벨룽의 반지나 로엔그린 이야기가 들어 있는 3권 부분을 다 빼버리고 천지창조부터 라그나로크까지로 깔끔하게 정리해놓았다는 것 정도. 


다른 북유럽 신화 책에 비해 딱히 추천할 만한 장점은 안 보인다. 

"들불이 골짜기를 타고 내려오면서 그 길에 있는 걸 다 태워버리는 모습을 본 적이 있는가? 자네는 뭐든 누구보다 빨리 먹을 수 있다고 생각하지? 하지만 로기만큼 빨리 먹는 건 불가능해. 왜냐하면 로기는 불의 화신이라서 음식과 그게 담겨 있던 나무통까지 다 태워버리니까 말이야. 난 자네처럼 빨리 먹는 자를 본 적이 없어." (거인왕이 신들에게 사기치는 부분-내가 북유럽신화에서 제일 좋아하는 부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죽이는 책 - 세계 최고의 미스터리 작가들이 꼽은 세계 최고의 미스터리들
존 코널리 외 엮음, 김용언 옮김 / 책세상 / 201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 문학을 찾아서>를 읽었을 때 그 공저자들이 소개하는 책을 읽고 싶지 않았던 건 정말 그들이 글을 못 써서였는가. <죽이는 책>에 나오는 책들 중에는 내가 읽은 책도 몇 권 되고 못 읽은 책은 훨씬 많고 그 중에서 몇 권은 영미권으로 넘어가도 구하기 힘든 책이라는 뉘앙스로 쓰여 있는 책들도 있는데, 어쩌면 이렇게 몽땅 재미있어 보일 수가 있는가. 


내가 외국 작가가 하는 말은 더 귀 기울여 듣는 사대주의자일 수도 있고, 미스터리라는 장르 특성상 소개 대상 책이 재미가 없을 수가 없지 않냐는 반론도 일리가 있다고 생각하고, 하여간 생각할 수 있는 여러, 모든 반론들을 감안하고 보아도 <죽이는 책> 쪽이 훨씬 재미있는 것이다. 책 소개서로도, 독립된 하나의 책으로도. 


그냥 봐도 재미있고, 미스터리 소설 팬이 본다면 백 배는 더 재미있을 것이다. 

이 소설 속에서 괜찮은 사람들은 다들 너무 품위를 지키는 게 문제다. 그들이 정신을 차리고 보니 어느새 자기 잇속만 챙기는 실용주의자들과 자기 연민에 뒤범벅이 된 괴물들이 옆에서 함께 헤엄치고 있는데, 이 상황에서 괜찮은 사람들은 쉽게 살아남지 못한다. 소설 속 악당들은 대부분 자신이 크게 비난받을 게 없는 삶을 산다고 생각한다. 그들이 저지른 대학살은 사전에 계획된 것이 아니라, 어떤 사안에 대한 반응으로서의 행위이자 부수적인 결과였을 뿐이다. 그들은 나쁜 짓을 하고 싶지 않았다. 그저 불편한 감정을 계속 느끼기보다 제거하는 쪽을 선호했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