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형사 실프와 평행 우주의 인생들 민음사 모던 클래식 38
율리 체 지음, 이재금.이준서 옮김 / 민음사 / 201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진지하고 물리학적이고 어찌 보면 현학적이기까지 한, 그러면서도 사랑을 바탕으로 한 살인 동기로 일어난 살인 사건의 발단-전개-절정-결말을 읽으면서 뒤렌마트 생각이 났다. 물론 뒤렌마트처럼 비꼬인 유머감각을 보여주지는 않지만(그래서 약간 아쉬웠다) 매우 재미있게 읽었다. 게다가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이래로 이른바 문학작품 속에서 이렇게 강렬한 BL은 또 처음 본다. 뒤렌마트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 사람에게 추천하고 싶지는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지성주의 - 미국이 낳은 열병의 정체
모리모토 안리 지음, 강혜정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16년 12월
평점 :
절판


큰 기대를 안하고 보기 시작했는데 의외로 생각도 못한 사건들이 반지성주의의 모태로 호명되어 매우 놀랐다. 종교개혁, 미국건국, 신앙부흥운동...저자는 미국의 '종파성'을 '신과 각자 다른 방식으로 관계맺을 수 있는 자유'라고 매우 긍정적으로 보지만, 실제로 발현되는 반지성주의의 현상들(그 중에서도 트럼프 당선이 손꼽힐 만한 현상이라고 생각한다)을 보면 과연 이게 긍정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는지 의심스럽다. 


우리나라를 보아도 그렇다. 미국의 '신앙부흥운동'에 맞대응할 만한 것이 1903년 평양 대부흥운동과 6~70년대 순복음교회식 부흥회일 것인데, 이 좁은 국토에서 그 '종파성'은 평등을 향해 가는 것이 아니라 목사에 대한 맹종, 서로 이단이라고 물고뜯기, 신도수 확보를 위한 반강제적 가두선교 등 이른바 '개독'을 낳았다. 반지성주의에 대한 역사적 개괄은 재미있고 지금까지 생각도 해 보지 않았던 지점을 일깨우는 바가 있었지만, 반지성주의가 현재에 나타나는 모습들과 그 대책 부분도 서술하는 책이라면 좋았겠다. 조금 아쉽기는 해도 훌륭한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소프트웨어 객체의 생애 주기 에스프레소 노벨라 Espresso Novella 6
테드 창 지음, 김상훈 옮김 / 북스피어 / 2013년 8월
평점 :
절판


이제는 이 책이 SF로 읽히지 않고 사친회 솔로파파 솔로맘들의 로맨스로 읽힌다는, 딱히 그렇게 읽어도 무리가 없다는 슬픔. 게다가 테드 창은 글을 잘 쓰지만 로맨스 코드는 나와 잘 맞지 않는다. 뭐 그래저래 별 하나를 뺐다. 


우리가 아이를 자기 인생의 설계 주체로 인정하고 놓아주어야 할 때는 과연 언제쯤일까. 결국 '케바케'인 것 같다. 남주/여주 양쪽의 선택 다 이해가 가서 조금 슬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코브라 - 판타스틱 픽션 블랙 BLACK 10-3 판타스틱 픽션 블랙 Black 10
프레데릭 포사이드 지음, 이창식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11년 7월
평점 :
품절


트럼프가 미국을 다스리는 세계에서 적어도 미국 대통령이 '마약을 근절하라'고 비밀명령을 내리고 작전이 착착 맞아떨어지는 세계로 가니까 왜 이렇게 마음이 편한가. 현실은 국정원이 댓글부대나 운영하고 있지만. 


마지막 반전까지 역시 포사이스답다. 한국 배가 마약밀매선으로 나오는데, 그것조차도 포사이스 책에 들어가니까 왠지 국위선양한 느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웃집 살인마 - 진화 심리학으로 파헤친 인간의 살인 본성
데이비드 버스 지음, 홍승효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0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용은 오히려 "남자는 왜 사람을 죽이도록 진화했는가"에 가깝다. 여자들의 살인 이야기나 살인 판타지 이야기도 나오기는 하지만 이 책에서 다루는 살인범의 대다수는 압도적으로 남자다. 한 마디로  요약하면 "남자는 사람(같은 남자, 여자, 아이 등)을 죽여서 이익을 얻는 동물이다. 그러나 우리는 진화된 대로 살라는 법은 없다."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을 동물에서 많이 벗어나지 못한 존재로 보는 내 친구는 이 책을 권하면서 "우리는 진화된 대로 살라는 법은 없다" 부분을 "도덕적으로 흠잡히지 않으려고 굉장히 조심스럽게 썼지만 말야." 하고 웃었지만, 난 역시 그것이 핵심이라고 생각한다. 인간이 살인으로 이익을 얻도록 진화했다면, 윤리와 인권으로 더 많은 이익을 얻도록 진화한 것도 사실이니까. 그리고 이제 인간은 자기 진화의 속도는 모르겠지만 방향은 어느 정도 제어할 수 있을 만큼 진화했으니까(그러기를 바라니까). 


하여간 치안과 공공질서가 계속 유지되는 나라에서 평생을 살다 갈 수 있었으면 좋겠다.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이것이 살인 판타지보다 더 큰 판타지일 거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