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조仁祖 1636 - 혼군의 전쟁, 병자호란
유근표 지음 / 북루덴스 / 2023년 3월
평점 :
역사를 보면, 군주가 돼서는 안 될 인물이 군주가 되면 백성들이 어떤 고초를 겪게 되는 지를 일깨워 주는 장면들이 나온다.
우리 역사에서는 삼전도의 굴욕이 그 중의 한 장면이 아닐까 생각된다. <인조 1636>은 그 날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 책의 저자인 '유근표'는 약 20여 년에 걸쳐서 성곽과 병자호란을 연구했다. 그 결과물이 <인조 1636>이다.
저자는 2000년 초에 수풀 속에 방치된 성곽을 보고, 6년의 노력 끝에 '서울 성곽 탐방 안내도'를 만든다. 그 후에 서울 성곽 안내와 역사 강의를 하게 된다.
성곽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남한산성을 답사하면서 그곳이 지닌 역사적 의미에 주목하게 되는데, 그곳은 병자호란 당시 인조가 45일 간, 청과 항전을 하다가 굴복하게 된 치욕의 장소이기도 하다. 그런 생각은 저자 뿐만 아니라 남한산성을 찾는 사람들은 누구나 느끼게 되는 슬픈 역사이기도 하다. 그래서 저자는 10여 년에 걸쳐서 병자호란에 대한 사료 조사를 하게 된다. <인조실록>, <승정원 일기>,< 만문노당>등을 1차로 조사하고, 인조와 병자호란과 관련된 각종 자료를 연구하게 된다. 흔히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라고 하니, 반정에 의해서 왕위에 오른 인조에 대한 기록도 특정 사료만을 보면 주관적인 기록이 될 수 있으니 다양한 자료 연구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병자호란의 패배로 청에 갔다 돌아 온 소현세자와 관련된 내용은 더욱 그러하다.
이 책에 대한 평으로는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있다.
"10여 년 사료 연구를 바탕으로 인조와 병자호란에 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역사 평설 "
" 절대군주가 백성과 국가에 끼치는 해악에서 배우는 역사의 교훈"
이 책을 읽다보면 저자는 인조와 병자호란에 대하여 다각도로 분석하고 객관적인 해설을 덧붙였다고 생각하게 된다.
조선, 청 양국의 사료를 토대로 기술하였으며 당시의 상황을 조선은 광해군에서 시작하여 인조반정, 이괄의 난, 정묘호란, 병자호란, 소현세자의 볼모 생활, 소현세자, 강빈의 죽음, 소현세자 아들들의 죽음까기 자세하게 기술한다.
청의 경우에도 명과 조선의 관계, 후금, 청, 명과 청 사이에서의 조선의 상황 등을 상세하게 설명해 준다.
책의 구성을 보면,
제 1부 : 병자호란 전 인조
제 2부 : 병자호란 중 인조
제 3부 : 병자호란 후 인조
부록 : 남한산성
이 책을 통해서 저자가 말하고 싶은 것은 병자호란의 원인, 경과, 결과 보다는 인조의 무능함이 많은 백성들이 고통을 겪어야 했던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군주가 어리석으면 상황 판단을 제대로 할 수 없으며 그 결과 엄청난 재난이 몰려 올 수 있음을 안타까워 한다. 그 고통의 중심에는 병사, 의병, 백성이 있다.
백성들의 죽음, 청나라로 끌려가서 고초를 당했던 백성들...
당리당략에 눈멀어 백성은 생각하지도 않았던 주전파와 주화파의 논쟁, 볼모로 잡혀 갔다가 돌아 온 소현세자에 대한 냉대와 견제 그리고 세자의 죽음.
이제 우리는 여러 서적들을 통해서 병자호란 당시의 상황과 인물들에 대해서 다양한 분석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면 우리는 역사 속에서 무엇을 배워야 할까?
이성적으로 생각하면 훤히 보이는 것들, 그것을 자신들만의 논리로 해석하는 사람들, 그들이 조선의 대신들과 무엇이 다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