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범일지 (양장) - 백범 김구 자서전
김구 지음 / 돌베개 / 199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대 가장 뛰어난 역사가 중의 한 사람인 사마천은 그의 사기열전의 첫 장을  백이숙제를 기록하고서 공자의 말을 상기시켰다.
"도를 같이하지 않는 사람끼리는 함께 일을 도모하지 않는다."
"부귀가 뜻대로 얻을 수 있는 것이라면, 나는 천한 마부의 일이라도 사양하지 않겠다. 부귀가 천명이어서 나의 뜻과는 상관 없는 것이라면, 나는 내가 좋아하는 성현의 도를 쫓겠다."
"추운 겨울이 되어야만, 송백이 다른 초목이 조락한 후에도 푸르름을 잃지 않는다는 것을 안다"
그리고  세상이 혼탁한 후에야 청렴한 선비가 더욱 돋보이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우리 근현대사를 돌아보면 말로는 모두 애국자요 충의지사였으나 탄압이 심해질 수록 째직을 피해 당근을 쫓아다니는 위선자들이 너무 많았다. 그런 면에서 백범은 일그러진 한국현대사의 꺼지지 않는 등불이라 할 만하다는 것의 나의 생각이다.

백범의 정치활동은 나라사랑과 우국충정과 일관되게 맥이 닿아있다. 소년 장군으로 동학군을 이끄는 접주로 활동할 때도 국모를 시해한 원수를 갚은 것 그리고 임시정부의 문지기가 되기를 자청하던 그 순간 부터 임정과 한국독립당의 주석으로 죽음에 이르던 그 순간까지 그의 행동의 목표는 너무나 분명했다. 그러한 헌신적 노력을 조국을 위해 바치면서도 자신을 푸대접한 조국을 원망하지 않았고 대통령 안 시켜준다고 안달하지도 않았다. 그리고 이 책의 끝에 자신의 소원을 오진 "우리나라 대한의 완전한 자주독립이오" 이라 말하고 있다. 공자는 평생에 어진 사람이란 평가를 하기를 아꼈는데 백범이야 말로 진정한 인(仁)자가 아닌가 한다.

그러나 현실정치인으로 백범의 여러가지 실수들에 대해 좀 안타까운 마음을 가지고 싶다. 내가 정치인 김구보다  백범을 하나의 사상가로 백범이 그와 같은 과감한 의거를 실행하게 했던 생각들을 백범사상으로 받아들이고 싶은 것이 바로 이 때문이다. 정치인 김구는 비록 고지식했으며 이승만 같은 이들에게 이용만 당할 때도 적지 않았으나, 그의 이상과 올곧은 행동만은 한국인의 가슴속에 영원히 간직할 만하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이 책은 그러한 백범의 삶은 직접 기록한 성전이라 할 만하다. 나의 소원이란 글은 이미 하나의 노혁명가의 유언이 되었지만 정치나 무력의 만능이 아닌 보다 다양성을 함축한 문화에 가치를 둔 균형있는 사상이라고 생각한다. 비록 백범이 이러한 나라를 만들만한 방안을 가진 것은 아니었으며 사실 그는 정치에 있어 여러번 남에게 속은 순진한 인물이기도 했다는 것을 인정하더라도 말이다. 그리하여 그러한 나라를 만드는 것은 우리 모두의 숙제가 되어버린 것이다.

동서고금의 수많은 사상가들의 사상이 다 거기서 거기라는 것을 알게 된 나는 구태여 그들을 배우지않는다. 오히려 가까이 백범의 절절한 호소에 더 큰 가치를 두며 그것이 오히려 더 가까운 구체적 현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