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보, 나좀 도와줘 - 노무현 고백 에세이
노무현 지음 / 새터 / 2002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노무현 신드롬이라. 이 글을 쓴 노무현 "의원"이 대한민국의 대통령이 될 줄은 정말 꿈에도 몰랐었다. 오늘의 복잡한 정치 문제는 뒤로 하고 이런 질문을 해 본다. 지금은 30퍼센트의 지지받기도 힘겨워하지만, 짧은 시간 동안 그 토록 열광적인 지지자들과 국민 과반의 지지를 이끌었던 2002년 대선에서 우리들은 과연 노무현에게서 과연 무엇을 바랬던 것일까. 이 책은 어렴풋이 나마 그 답을 이야기해 줄 수 있다.

이글을 통해 인간 노무현이 참 다양한 성격을 가진 인물이라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우선 그는 정치적인 인물이기 보다는 가정적인 인물인 듯 싶다. 솔직히 정치같은 일에는 어울리지 않다는 이야기로 들어도 좋다. 대통령 출마의 변으로 국민들에게 나 좀 도와 달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여보"의 도움이 필요한 줄로 착각하는 그는 실은 생각하는 반경이 아주 협소해 보이는 것도 사실일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정견에 있어어도 대다수의 정치광신도인 한국인처럼 그저 정치혐오 정서만을 가진 것으로 보이는 노무현 대통령. 그런 면에서 역시 정치인으로서는 어울리지 않는다는 생각이 든다.

그렇다고 그의 정치에 대한 무적성을 도덕적으로 비난하고 싶지만은 않다. 그것 외에 인간 노무현은 여전히 매력적인 인물이고 장점도 많다. 88년 민주화 이후 수많은 정치신인들이 등장해 각광받고 명멸해갔지만 그 만은 원칙과 소신을 가지고 자신의 지조를 지켰다는 점에서 그가 완전히 무능한 인물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또한 그가 밖에서만 민주주의자 인척 하는 그의 선배정치인들이나 "진보"들과 달리 가정에서나 밖에서나 일관된 민주주의자였다는 점을 이 책에서 확인할 수 있어 좋았다. 그는 야당내에서나 국회에서나 그 어느 곳에서나 일관된 민주투사였다는 점을 기억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그리고 인간 노무현은 고시공부시절 아내를 불러내 시골 데이트를 즐기던 시절을 회상하는 영원한 낭만주의자이기도 하다. 그리고 의협심이 강해서 시국사건 전문 변호사가 되어 노동자를 위한 투쟁에 발벗고 나선것도 어쩌면 낭만주의자로서의 타고난 기질때문이 아닐까하는 생각이다.

그러나 저러나 재밌는 것은 군사독재시절에는 독재를 그렇게 욕하던 사람들이 노무현 시절에는 노무현을 욕한다. 대통령은 이러나 저러나 욕먹는다는 말이 실감이 난다고 하겠다. 정치학자 마키아벨리는 민중이란 어려운 시절을 불평을 하지만 태평성대에도 권태를 느끼는 변덕스런 존재라고 갈파한 바 있다. 내가  이 책을 다시 읽고 생각한 것은 과연 대한민국  국민들이  대통령에게 무엇을 바라는지 아리송하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