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
홍세화 지음 / 창비 / 199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 한국 외교관들의 미숙하고 불성실한 근무태도가 많은 국민들을 분노스럽게 하고 있다. 자국민들이 이역 땅에서 사형을 당하도록 면담한 번 하지 않고 이를 추궁하는 방송국 측에 태연히 잘못이 있으면 벌을 받아야 한다고 답하는 대한민국 외교관들. 그들은 비록 외무고시라는 어설픈 선발방식을 통해 외교관이 되었지만 실은 공연히 세금이나 축내는 "오적"과 같은 부류의 하나임이 틀림없을 것이다. 이 글을 쓴 홍세화는 서울대 외교학과를 졸업하였으며 그의 많은 동기들이 그와 같은 어설픈 외교관의 길을 걸었을 것이다. 그러나 외교는 공무원들만이 하는 것이 아니요 민간외교가 두나라의 이해와 발전을 위해 보다 중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그 민관외교는 이 책에서 말하는 바와 같이 다른 문화와의 접촉을 통해서가 가장 좋다. 홍세화가 20년에 걸쳐 만났던 다양한 계층의 프랑스인들과의 만남은 매순간이 한국사회와 프랑스사회의 접촉이자 산 외교의 현장이었다. 이 글을 베스트셀러화함에 의해서 프랑스 사회를 널리 소개하는데 성공한 홍세화야 말로 누구보다 훌륭한 한국과 프랑스의 민간외교관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국내 최고의 학부를 나온 엘리트로서 20년간 일생의 가장 중요한 시기를 이러한 일에 바쳐온 한국사회에 흔치 않은 "노블레스 오블레쥬"의 예라고 생각한다.
이 책은 박정희 시대에 서울 문리대를 다니며 유신말에 남민전이라는 조직에 가입했던 작가가 조직이 적발되면서 뜻하지 않는 프랑스 망명을 겪고 이를 통해 새로운 사회를 경험하게 되는 일종의 수기라고 해 둘 수 있을 것 같다. 개인적으로는 당장 한국이면서도 남과 북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으므로써 아무에게도 도움을 요청할 수 없던 그야말로 철저한 "이방인"이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의 기록이다. 또한 그와 함께 또 다른 세계와 만나고 점차 그에 익숙해 져가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기도 하다. 재미있는 점은 그가 그리고 있는 프랑스는 항상 그가 항상 돌아가야한다고 생각하지만 갈수 없는 조국 한국과 분리될 수 없는 "홍세화식의 프랑스"라는 점인 것 같다. 그 때문에 100여년 전 파리꼬뮌의 전사들의 묘지에 찾아가서도 문리대시절의 비슷한 꿈을 꾸었던 지난 시절과 그 때의 동료들을 생각하게 된다. 그가 만나는 모든 사람들 속에서도 한국과 한국사람들은 어떤 식으로든 나타난다. 그래서일까 저자가 주장하고픈 "똘레랑스"란 것도 한국사회에 비교해 너무 강조되는 것이 아닌가 싶다. 이 글에서도 최근 문제가 되는 아프리카 출신 이민자들의 폭동의 씨앗이 무엇인지 언급은 되어 있지만 저자는 그것을 과소평가하고 있는 것 같았다. 그러나 비록 이러한 한계가 있지만 새로운 사회를 택시운전사의 눈을 통해 거의 직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다는 면에서 매우 흥미로운 이야기들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어쨌든 이 책은 혼란한 한국사회에서 벗어나 그럭저럭 새로운 사회에 적응하는 작가가 남민전의 동료들의 석방소식을 듣고 안도하는 장면으로 끝난다. 이는 역시 작자가 비록 몸은 프랑스에 있어도 여전히 한국사회에 많은 미련을 갖고 있다는 한 예이다. 또 이런 좀 갑작스런 끝은 2탄 <세느강....>을 염두에 둔 포석같이도 느껴진다. 홍세화의 한국생활 중 그의 아버지의 일은 나같은 세대에게는 전혀 이해되지 않는다. 그의 동숭동시대는 EBS의 <지금도 마로니에에는>같은 드라마로 대충 이해가 되긴 하지만 말이다.
스위스나 프랑스가 어린시절 부터 줄기차게 살기좋은 나라라고 손꼽혀 온 것도 더욱 이 책을 즐겁게 읽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을 것이다. 별로 튀거나 재밌는 내용이나 표현은 없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우 재밌게 읽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