칭기스칸, 잠든 유럽을 깨우다
잭 웨더포드 지음, 정영목 옮김 / 사계절 / 200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이 책을 읽게 된 동기는 이런 것이었다. 인터넷 뉴스 <프레시안>의 기획물 <김운회의 대쥬신을 찾아서>를 읽어가면서 우리민족의 기원과 만주와 연해주 및 중앙아시아에 걸쳐 널리 분포하는 유목민과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들에 대해 눈뜨기 시작한 것이다. 고려시대만 해도 우리는 중국 민족이 우리를 오랑캐(夷)라 부른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그런데 어쩐 일이진 조선시대에 와서는 그런 기억들이 희미해지고 자신을 그런 오랑캐와 같으리라고는 꿈에도 생각하지 않았던 것 같고 나 역시 그런 생각들에 둘러싸여 성장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심지어 우리가 우리만의 전유물로 생각하는 단군이나 동명왕의 건국신화 역시 이들 유목인들 공통의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그들과 문화적 언어적으로 더욱 많은 것을 공유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을 때 나는 이 칭기스칸에게 주목하게 되었다.

하지만 지금의 유목민의 역사란 매우 한심한 것이 아닐 수 없다. 과연 유목민의 과거의 영광이 오늘날 재현될 수 있을까 도대체 이런 옛날 이야기가 요즘같은 산업사회에 우리에게 무슨 교훈을 줄 수 있단 말인가하는 생각조차 들었다. 과거 산업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사회에서는 유럽이나 중국 이슬람의 찬란한 정주문명세계가 문화 생활에서 오는 문약함으로 인해 끊임없이 거친 야성적 기질의 유목민들에게 정복당했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현재는 그러한 야성적 기질로 세상을 지배하고 그 발전에 이바지 할 수가 없을 것이다. 오히려 이제  유목인은 중국이나 러시아같은 안정된 정주문명에 의해 정복되고 그들에 의해 문화적 발전을 의존할 수 밖에 없을 만큼 오늘 날의 문명은 너무도 고도화 된 것이다. 우리의 유목인적 시절의 유산에 하나인  조그만한 주방도구들을 나는 오늘 바라보면서 어떤 처량한 비감을 느끼지 않을 수 없었다. 도대체 얼마나 바빳길래  우리의 조상들은 이 한반도라는 곳으로 쫓겨 들어와서 주방도구조차 바꾸지 않고 그냥 수 천년을 그대로 살아왔던 것일까?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같은 뿌리를 가진 최대의 세계제국을 건설했던 칭기스칸에 대한 자랑스러움 때문에 나는 이 책을 선택했다. 그러나 그가 도달했던 지위 만큼이나 칭기스칸에게서는 본 받아야 할 점들이 많다는 점을 알게 되었으며 칭기스칸을 자랑스럽게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뿐만 아니라 서양에서도 저자 웨더포드 씨를 비롯하여 칭기스칸의 재능을 알아준 수많은 명사들이 존재했음을 다행스럽게 생각한다. 로저베이컨 같은 중세의 선각자들은 이미 칭기스칸의 위업이 단순히 난폭과 야만의 결과가 아닌 과학과 철학을 결합한 결과였다고 이 책은 언급하고 있다.
로마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았듯이 몽고제국 역시 칭기스칸이란 불굴의 의지와 냉철한 지성을 갖춘 영웅에 의해 이룩되었음을 이 책을 통해 확인 할 수가 있다. 칭기스칸이 어렸을 때 아버지를 잃고 오직 생존본능에 의해 살아가다가 마침내 협력자들을 얻어 몽고를 통일하고 부족을 재정비하여 세계대제국의 기초를 닦는다는 것은 참으로 격찬을 보내지 않고는 보기 힘든 인간드라마가 아닌가 한다. 게다가 그가 이 엄청난 세기적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제정했던 유목생활을 개선하고 교역과 통치를 원활히하는 선진적 제도들 그리고 새로운 전투기술들. 그것들은 유럽의 중세사회를 온통 흔들어 잠에서 깨웠던 것이다. 뿐만 아니라 그는 훌륭한 후계자들을 두었다. 우구데이와 쿠빌라이는 테무친의 유업을 계승 각각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유럽과 중국을 정복하는데 성공한다. 이것이 몽고제국의 역사이다.오만한 서양제국주의자는 몽고인의 미개함과 잔인함을 이야기 하지만 그것은 전쟁중에 재치있는 몽고인들이 택한 유언비어전술에 불과함을 이 책은 밝혀주고 있었다. 칭기스칸의 위업! 그것은 지성의 승리였다.

책을 다 읽고 나니 현실로 돌아와 그럼 지금 우리는  도대체 무엇을 할 것인가를 생각해 보았다. 확실히 우리의 기원이 유목인이라 해서 우리가 다시 유목생활 비문명생활로 돌아갈 수는 없다. 우리앞에는 고도산업사회라는 새로운 넘어야할 험준한 산맥이 가로 놓여 있는 것이다. 우리의 선조들이 아득한 옛날 유목생활에서 농경생활로의 적응에 성공했듯이 이제 우리는 부족한 자원과 협소한 지리적 제약이란 악조건을 극복하고 한반도를 둘러싼 강대국들 사이에서 어떻게든 나름의 길을 모색해 내야 하는 절박한 시점에 와 있다. 나는 이 책에도 이야기 되었듯 구 소련이 행했던 몽고역사에 대한 약탈과 박해에 대해 심히 유감으로 생각한다. 본래 그들은 먼저 개화한 문명국으로서 미개척한 주민들에게 문명전파라는 숭고한 사명을 달성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도리어 약소민족의 등을 친 경우라 더욱 분개스럽다. 그러나 그것이 비단 몽고나 위구르 같은 민족들 뿐만의 일일까. 서구세력은 이미 동양의 정주 세계에도 문명화라는 이름으로 이와 같은 문화파괴와 약탈을 해 왔던것을 보면 꼭 이 일은 러시아만의 문제는 아닐 것이다. 어쨌든 우리에게도 서세동점은 공과 과가 공존한다. 우리나라만 해도 민주화와 산업화를 이룩했다. 비록 나라는 둘로 갈라졌지만서도... 이제는 러시아나 중국같은 정주문명국이 더 이상 이들에 대한 박해를 중단하고 본연의 임무 문명전파의 사명을 다 했으면 하는 것이 나의 바람이다. 그리고 이제 우리나라나 유목민들도 더 이상 조상대대의 그러한 삶을 계속할 수 없음을 깨닫고 테무친의 개척정신과 의지를 새로운 상황에 창조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인류공영에 이바지 할 수 있어야 하겠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