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철학사 - 상
B.러셀 지음, 최민홍 옮김 / 집문당 / 2008년 9월
평점 :
절판


 

철학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일생을 살아오는 동안 적지 않은 시간을
철학적 사고와 철학 서적에 투여하였다고 스스로를 생각해 온 지금 이 순간에도
철학이 무엇인지 간단히 정리하기는 쉽지 않았다.

다른 사람들은 이렇게도 이야기 한다. 사실상 서양철학의 시원이 된 플라톤이 정의하였듯
그것은 지식과 관련된 지식에 대한 일반론과 삶의 태도와 관련되는 듯 싶다.
동양세계가 서구문명에 압도당하고 박해받아 조롱과 자학을 일삼을 때 서양철학은 참된
지식의 모든 것이었다. 하지만 이제 동양에서도 어느정도 자신감과 문화적 정체성을
회복해감에 따라 이제 철학을 단지 "필로소피"로 서양에서 발생한 특수한 학문정도로
받아들이는 사람마저 생겼다.

러셀경의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나는 우선 이미 이 세상사람이 아닌
그에게 왜 Western philososphy란 말을 사용하였는지 묻고 싶다. 과연 그와 같은 철학의
대가가 동양적 philosophy란 말을 인정하였는지 하는 대목이 궁금하기 때문이다.

그건그렇고, 시중에는 정말 여러가지 철학사관련되는 서적들이 출간되었고 출간되고 있다.
가장 대중적인 것으로는 철학사인지 아닌지 조금 경계가 모호하지만 듀란트의 <철학이야기>
가 읽기가 쉽다. 정말 이 정도만 읽으면 왠만한 철학자들의 삶에 충분히 공감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왠만큼 철학에 열정이 있지 않은 사람이면 철학사는 읽지 않았으면 한다.
괜히 철학에 관한 흥미를 잃기 쉽기 때문이다. 특히 힐쉴베르거의 책의 경우는 내용이 방대하고
초심자에게는 너무나 어렵다.

반면에 러셀철학사의 경우는 사실 철학에 대해 꽤 자세히 다루고 있으면서도 형식면에서나
내용면에서 깊이 따지고 들어가면 철학사인지 그냥 이야기인지 애매해지는 면이 있다.
아마도 그의 독특한 철학관 -종교적인 것과 과학적인 것의 중간자로서의 철학-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 책은 철학의 전문가 뿐 아니라 그 외에 평범한 생활인을 대상으로
집필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면서도 철학 전공자들조차 20세기 뛰어난 철학자 중의 한사람의
러셀의 간단 명료한 정리솜씨에 놀라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사실 러셀이 하고 싶어하는 이야기는 단순히 학자나 직업으로서의 철학을 가진 철학도를
대상으로 할 난해한 이야기는 아닌 것같다. 그래서 그는 조금은 독단적이지만 철학에 관한
내용은 특유의 재치로 놀라울 만큼 압축해서 독자들에게 전달하고 나서 그 다음에는 진정으로
자신이 하고 싶은 이야기들을 진행해 나간다. 이 책의 다른 철학사와 또 다른 이상한 점은
영국의 철학자로서 경험론의 계승자로서 러셀의 독특한 입장인데 대체로 대륙에서 괴테가
들어갈 자리에 바이런이 들어가 있다든가 하여간 서양철학 특히 대륙쪽의 입장에서
볼 때는 좀 독특한 시점의 글쓰기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분명 비철학도에게도 상당한 교양과 재미를 줄 뿐아니라 철학도들에게도
상당한 통찰을 보여줄 것이라고 감히 추천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