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가 누구인지 말할 수 있는 자는 누구인가
이인화 지음 / 세계사 / 1992년 3월
평점 :
품절
승단의 비구들이 그대를 나가세나라고 부르는 것은 무슨 까닭입니까?
그 나가세나는 무엇입니까? 그대의 머리카락이 나가세나입니까?
대왕이시여. 그런 말이 아닙니다.
그렇지 않다면 그대의 몸에 난 털이 나가세나입니까?
아닙니다.
그렇지 않다면 손톱, 치아, 피부, 살갗, 신경, 뇌, 혹은 그외의 어떤 것이 나가세나입니까?
아니면 이들 전체가 나가세나라는 말입니까?
그러자 나가세나 존자는 그 어느 것도 아니라고 답했다.
- 밀란다 왕의 질문(불교 경전)
80년대에서 90년대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엄청난 논란을 일으켰던 화제작 <내가 누구인지 말할 수 있는 자는 누구인가>. 이 책은 당시를 사는 인간들 뿐만 아니라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도 미쳐 깊이 생각해 볼 겨를이 없었던 문제 즉 내가 누구인지하는 자아에 대한 문제제기를 해주는 문제작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이 사용하는 포스트모더니즘 논란을 일으키기 까지한 새로운 문체와 구성과 특이한 시점은 너무나 매력적이기 까지 하다. 그 뿐인가. 한장의 첫머리에 삽입된 우리나라의 시인들의 시를 보면서 우리에게도 저렇게 좋으면서도 알지 못했던 시들이 있었나하는 생각과 함께 우리문학의 멋을 독자들에게 알려줄 뿐 아니라 주제와 결부되어 더욱 주제의식을 드높이는데 성공하고 있는 것 같다.
이 글은 80년대 대학생이었던 인물들이 90년대를 맞이하면서 느끼는 감성과 내적인 고뇌를 여러 인물들의 독백을 통해서 우리에게 제시하고 보다 나은 자아실현을 모색하는 과정이라고 보아도 무방할 듯 하다. 비록 여기에 나오는 인물들이 당시의 세태나 상황을 다 대표한다고 하기는 부족하지만 작가는 나름대로의 관점을 가지고 자신만의 자아관을 이야기한다. 의대출신으로 작가를 지망하며 <내가 누구인지 말할 수 있는 자는 누구인가>란 작품을 쓰고 있는 중이면서 작품에 "인생이 내게 가르쳐준 모든 것, 나에게 생을 견디게 한 모든 것"을 담겠다는 은우는 이 글의 여러화자 중 단연 주인공이라 할 수 있을 것같다. 은우의 조력자이며 담당비평가로 파쇼적인 성향에 지금은 제2의 다까끼 마사오(박정희)의 탱크소리를 기다리는 문수, 문제의식을 가지 활동가로 조직생활을 계속하고 있는 규진, 규진의 여자친구이며 동지이지만 변화된 현실 앞에서 갈팡질팡하는 정임, 소시민적인 인물들로 은우의 애인인 모범생스타일의 의사인 윤희와 방탕한 쾌락주의 의사 성규.
사실 형이상학적 측면에서 나의 존재의 본질에 대하여 대답하기란 철학의 대가에게도 그리 쉽지 않은 질문 더 심하게 말하면 하나의 우문(愚問)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개인의 욕망에 대해 말하기를 극도록 꺼리고 또 그것을 공적인 장소에서 밝히기를 매우 어려워하는 우리 사회의 답답한 풍토에서 사회현실이나 국가의 나아갈 방향을 이야기 하기 전에 자기자신의 문제를 당당히 밝히고 해결애야 함을 이야기 한다는 점에서 이 글이 주장하는 자아회복에 대해서 많은 부분 공감하게 된다.
아쉬운 점은 이후 작가의 실망스런 행적이라 하겠다. 강준만 교수의 글에서 박정희를 예찬하는 이인화의 <인간의 길>을 파시즘의 길이라는 것을 읽은 적이 있다. 도대체 이처럼 진지한 자아의 탐구자를 이토록 邱시킨 원인은 무엇일까. 작가는 문수를 통해 우회적으로 愚衆들과 졸부에 대한 분노가 그 이유라고 말하고 있지만 진실성이 의심스럽다. 파시즘이란 자아확립이 미숙한 강력하고 폭력적인 인간을 영웅으로 숭배하고 동일시함으로서 자아도피를 하는 인간의 전형을 산출한다는 면에서 작가 이인화의 타락은 차라리 안쓰러워 보이기 까지 한다.